조선후기361 [조선후기/사회문화]골패(조선 후기의 도박) 골패 (조선 후기의 도박) ★ 골패(骨牌) : 놀이 도구의 하나. 상아나 짐승뼈를 대쪽에 붙여 만들고 수를 새긴 크고 작은 구멍을 새긴다. 골패의 모양은 오늘날 마작과 비슷하다. 정약용의 에 “강패”(江牌)라 하며 도박으로 여긴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4. 30. [조선후기/문화예술/기록화] 신미 정주성 공위도 신미 정주성 공위도 ★ 신미 정주성 공위도 : 홍경래의 난때 관군이 정주성을 에워싸고 농민군을 공격하는 모습을 그린 그림. 2020. 4. 27. 정조의 <만기지가> 도장 정조의 도장 ★ 만기지가(萬機之暇) : ‘만가지 일을 처리하는 여가에 책을 읽는다’는 뜻으로 국왕의 독서를 의미한다. 규장각 소장.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4. 27. 정조가 어린 시절 공부한 소학 정조가 어린 시절 공부한 소학 ★ 영조가 첫돌을 맞은 사조세자에게 하사한 책으로, 사도세자는 아들 정조가 첫돌은 맞이하자 하사하였다. ★ 소학(小學) : 1187년에 완성된 중국 송나라의 유자징이 지은 수양서. 동아시아에 널리 유포되었으며, 주로 어린이들의 교육에 활용되었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4. 26. 정조의 수결 정조의 수결 ★ 정조 수결 : 수원 유수 채제공에게 내린 전령에서 인용. 개인 소장. ★ 수결(手決) : 신분의 증명이나 확인을 위하여 이름이나 직함 아래에 자필로 쓰던 부호.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4. 26. 정조의 어릴 적 서체 정조의 어릴 적 서체 ★ 정조(正祖, 1752~1800, 재위 1776~1800) : 조선 제22대 왕이자 대한제국의 추존 황제. 생부 사도세자(장조)가 임오화변으로 죽은 뒤 요절한 효장 세자(영조의 장자)의 아들로 입적되어 왕위를 계승하였다. 영조의 탕평책을 이어 발전시켰으며 다양한 개혁 정책을 펼쳤다. 조선의 중흥을 이룬 왕으로 평가받는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4. 26. [조선후기/정치]정인홍의 묘 정인홍의 묘 ★ 정인홍(鄭仁弘, 1535~1623) : 조선중 ․ 후기(선조~광해군 대)의 문신이자 성리학자, 임진왜란 때의 의병장. 당색으로는 동인이었다가, 정철의 처벌을 놓고 동인이 남인과 북인으로 나뉠 때는 강경파로 북인이었다. 광해군을 지지하여 영창대군 제거를 주장하였으며, 인조반정 이후 참형에 처해졌다. 경상남도 합천 소재.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4. 25. [조선후기/정치행정]장붕익 선정비 장붕익 선정비 ★ 장붕익(張鵬翼, 1674~1735) : 조선후기 한성부윤, 훈련대장, 형조판서 등을 역임한 무신. 이인좌의 난을 평정하는 데 공을 세웠고, 검계(현대의 조직폭력배에 해당) 소탕에 크게 활약하였다. 경상남도 창원시 동정동 소재.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4. 24. [조선후기/정치]장경 신도비 장경 신도비 ★ 장경 신도비 : 희빈 장씨를 왕비로 책봉하기 위해 그녀의 아버지 장경을 숙종 15년(1689)에 추증하고 세운 신도비. 고양시 일산동 소재.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4. 24. [조선후기/왕실문화]작헌도 작헌도 ★ 작헌도 : 왕세자가 겅균관 대성전에서 술잔을 올리는 장면. 대문에서 계단으로 이어진 노란색 건이 왕세자가 입장하는 길이다. 수록. ★ 왕세자입학도첩(王世子入學圖帖) : 1817년(순조 17) 3월 11일 성균관에서 치러진 효명세자(孝明世子, 1809~1830, 익종(翼宗)으로 추존)의 입학례를 기념한 화첩. 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 제307호.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4. 22. [조선후기/사회문화]자매문기(自賣文記) 자매문기(自賣文記) ★ 자매문기(自賣文記) : 조선시대 자신 또는 처자를 노비로 팔기 위하여 작성한 문서. 조선 후기에는 신분의 상승 이동이 일반적인 추세였으나 빈곤이나 부채 때문에 자신이나 가족을 노비로 파는 경우가 적지 않았다. 자매문기는 현존하는 것이 상당수 있으며, 조선 후기의 신분제도사 및 사회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이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4. 22. [조선후기/왕실문화]인목대비의 편지 인목대비의 편지 ★ 인목대비의 편지(1603) : 인조의 계비 인목왕후(1584~1632)가 딸 정명공주의 병 때문에 의관과 의녀를 청하는 편지.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4. 20. [조선후기/정치행정]일성록(日省錄) 일성록(日省錄) ★ 일성록(日省錄) : 조선후기(1760)부터 1910년까지 국왕의 동정과 국정에 관한 제반 사항을 수록한 등록, 정무일지. 정조 때부터 고종까지 기록하였으며, 왕의 일기 형식으로 기록되었다. 국보 제 153호.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4. 20. [조선후기/실학]육해법(陸海法) 육해법(陸海法) ★ 육해법(陸海法) : 조선후기 실학자 최한기가 각종 양수기(揚水機)의 구조양식과 조립방법에 대하여 간행한 도설서(1834).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4. 19. [조선후기/의학]인체도(人體圖) 인체도(人體圖) ★ 인체도 : 증수무원록언해에 실인 인체도(人體圖). ★ 증수무원록언해(增修無寃錄諺解) : 조선 후기(1790) 간행된 법의학서 을 한글로 번역한 의서.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4. 18. [조선후기/국방]유수부(留守府) 유수부(留守府) ★ 유수부(留守府) : 고려와 조선 시대에 옛 도읍지나 행행지 및 군사적인 요지에 설치되었던 행정 기관으로 부 가운데 유수(留守, 정2품)가 우두머리로 있는 곳. 조선 시대에는 강화·개성·수원·광주(廣州)에 설치되었다. 위 지도에는 정조 17년(1793) 수원(화성)에 설치한.. 2020. 4. 17. [조선후기/왕실문화]육전조례의 보양청과 강학청 규정 육전조례의 보양청과 강학청 규정 ★ 육전조례(六典條例) : 조선말기 각 관청에서 맡은 사목(事目) 및 시행규례를 수록한 책이자 행정규범집. 1865년에 편찬된 대전회통으로 전장법도가 구비되었으나, 여기에 빠진 사례가 많아 같은 해 2월 왕명으로 편찬케하고, 1867년에 인쇄, 배포했다. .. 2020. 4. 17. [조선후기/사회문화]유언호 묘표 유언호 묘표 ★ 묘표(墓表) : 사대부 묘소 앞에 세웠던 묘비의 하나. 조선 후기 사대부(1730~1796) 유언호의 묘포로 검박하고 단정한 조선 고유의 형식이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4. 17. [조선후기/문화와예술] 연잉군 초상화(영조) 연잉군 초상화(영조) 연잉군 초상(延礽君肖像) : 조선 제21대 왕 영조의 왕자 시절 초상화. 숙종 40년(1714), 화원 진재해(秦再奚)가 그렸다. 6.25 전쟁 때 부산으로 옮겨졌다가 화재를 당하여 화폭의 1/3 가량이 소실되었다. 보물 제1491호,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영조(英祖, 1694~177, 재위 1724~1776) : 조선의 21대 왕. 붕당 정치를 억제하는 탕평책, 악형 폐지, 서적 간행 등의 개혁 정책을 펼쳤다. 정조와 더불어 조선의 중흥을 이끈 왕으로 평가받는다. 2020. 4. 15. [조선후기/왕실문화]문효세자의 왕세자 책봉식 문효세자의 왕세자 책봉식 ★ 문효세자(文孝世子, 1782~1786) : 조선의 제22대 정조의 장자로 후궁 의빈 성씨의가 낳은 첫 아들이다. 왕세자(王世子)로 책봉되었으나(1784), 어린 나이에 병으로 훙서(사망)하였다. 대한제국 수립 후 태자로 추증되었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 2020. 4. 14. 이전 1 ··· 5 6 7 8 9 10 11 ··· 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