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사사진자료실2246

[신라상대]진흥왕 순수비 진흥왕 순수비 ★ 진흥왕 순수비(眞興王巡狩碑) : 신라의 제24대 국왕 진흥왕이 한반도 각지에 세운 네 개의 순수척경비를 가리킨다. 북한산 진흥왕 순수비, 황초령 진흥왕 순수비, 창녕 진흥왕 척경비, 마운령 진흥왕 순수비이다. 2023. 9. 23.
[개화기/유물유적]고종이 에비슨에게 하사한 족자(1900년대 초) 고종이 에비슨에게 하사한 족자(1900년대 초) "에비슨 대인 합하. 양약을 투약하는 것이 요임금 때 역귀를 물리핌 무함과 같다"라고 적혀 있다. ★ 올리버 R. 에비슨(Oliver R. Avison, , 1860~1956) : 캐나다의 선교사이자 의사. 한국 이름 어비신(魚丕信). 1893년 부터 1935년까지 한국에서 체류하며 활동하였다. 제중원의 제4대 원장, 세브란스 의학전문학교와 연희전문학교 교장을 역임하면서 오늘날 연세대학교의 기틀을 마련하였다. 2023. 9. 1.
[개화기/의학]알렌의 의료기구(1880년대) 알렌의 의료기구(1880년대) ★ 호러스 뉴턴 알렌(Horace Newton Allen, 1858~1932) : 미국의 조선 주재 외교관, 선교사. 한국 이름은 안련(安連). 미국 장로교회의 의료 선교사로 1894년 조선에 와서, 미국 공사관의 의사로 일하였다. 갑신정변에 중상을 입은 민영익을 치료한 것을 계기로 제중원(광혜원) 설립하고 서양 의학을 가르쳤다. 또, 왕실 의사 겸 정치 고문으로 활동하였으며, 미국 공사관 서기관, 총영사, 대리 공사 등을 역임하여 외교활동을 하였다. 한국의 의학 발전과에 기여한 바가 많으나, 한국의 경제적 이권을 미국에 넘겨주기도 하였다. 1905년 을사늑약이 체결된 뒤 미국으로 건너가 의사로 활동하였다. 2023. 8. 31.
[개화기/경제]보부상의 절목과 완문 보부상의 절목과 완문 ★ 보부상(褓負商) : 전통사회에서 시장을 중심으로 봇짐이나 등짐을 지고 행상을 하면서 생산자와 소비자 사이에 교환경제가 이루어지도록 중간자 역할을 했던 전문적인 상인. 상호 간에 규율, 예절, 상호 부조의 정신이 강하였다. 조선 중기 이후 장시의 발달과 함께 더욱 활발한 상업 활동을 전개하였다. 개항 이후 관군과 동학농민군 토벌에 참여하고, 황국협회를 결성하여 독립협회와 대립하기도 했다. 일제강점기 이후 일본의 탄압으로 보부상 조직은 거의 소멸되었으며, 일본 자본에 밀려 점차 줄어들었다. ★ 절목(節目) : 조선에서 사용한 특정한 사안에 대한 시행세칙 ★ 완문(完文) : 조선시대 관부에서 향교·서원·결사·촌·개인 등에게 발급하는 문서. 관문서. 2023. 8. 7.
[일제강점기/문화예술]정월 초하루 나들이(엘리자베스 키스) 정월 초하루 나들이 (엘리자베스 키스) ★ 엘리자베스 키스(Elizabeth Keith, 1887~1956) : 동북아시아, 동아시아의 풍속을 소재로 다양한 목판화를 남긴 영국의 여성 판화작가. 한국의 풍속을 담은 작품을 여러편 제작하였다. 2023. 5. 10.
[일제강점기/문화예술]금강산 절 부엌(엘리자베스 키스) 금강산 절 부엌 (엘리자베스 키스) ★ 엘리자베스 키스(Elizabeth Keith, 1887~1956) : 동북아시아, 동아시아의 풍속을 소재로 다양한 목판화를 남긴 영국의 여성 판화작가. 한국의 풍속을 담은 작품을 여러편 제작하였다. 2023. 5. 8.
[신라상대/정치행정]경주 남산 신성비 경주 남산 신성비 ★ 경주 남산 신성비(慶州南山新城碑) : 신라 진평왕 13년(591) 신라 도성인 경주의 남산에 산성(남산 신성)을 쌓을 때 축성 공사와 관련한 내용을 새겨 세운 비석. 지금까지 총 10개의 비석이 발견되었는데, 각 비문의 내용과 형식은 대체로 비슷하다. 축성 시기, 공사 구간, 공사 인원, 관리자의 책임 여부 등이 기록되어 있다. 2023. 5. 1.
[개화기/항일운동]국채 보상 운동 국채 보상 운동 ★ 국채 보상 운동(國債報償運動) : 일본 제국이 대한제국을 경제적으로 예속시키고자 제공한 차관 1300만원을 국민들이 갚고자 한 운동. 1907년 2월 경상북도 대구에 있는 국채보상운동기념공원를 중심으로 해서 서상돈, 김광제, 윤필오 등에 의해 처음 시작되어 전국으로 번져나갔다. 그러나 조선통감부가 베델이 모금액 중 2만원을 사적으로 투자했다가 원금을 받지 못했다는 괴소문을 퍼뜨리는 등 방해를 일삼으면서 운동은 소멸되고 말았다. 2023. 4. 30.
[근대/의학]대한의원 대한의원 ★ 대한의원(大韓醫院) : 1907년에 대한제국 내부 소관의 서양식 병원인 광제원, 학부 소관인 의학교부속병원, 그리고 궁내부 소관인 대한국적십자병원을 통합 ․ 설립되었으며, 의정부 직속으로 운영된 국내 최고의 의료기관이었다. 지금의 대학병원(University Hospital)의 기능을 대신했다. 일제의 한국 강점(1910) 이후 조선 총독부의원이었다가 1928년 경성제국대학 의학부 부속병원이 되었으며, 광복(1945) 이후에는 서울대학교 부속병원이 되었다. 1978년 서울대학교 병원 신관이 개원하며 본관 주변 건물 대부분이 철거되었다. 옛 본관은 병원 연구소로 사용되다가 현재 서울대학교 의학박물관으로 사용되고 있다. 2023. 4. 20.
[신라중하대/고분]김유신 묘 십이지상 탁본(호랑이) 김유신 묘 십이지상 탁본(호랑이) ★ 김유신묘(金庾信墓) : 신라의 장군이자 재상이었던 김유신의 무덤으로 알려진 고분. 신라중대(통일신라)의 고분으로 굴식돌방무덤(횡혈식 석실분)이다. 봉분 자락에 면석과 탱석을 24개씩 사용한 호석 구조이며, 회랑을 따라 난간석을 둘렀다. 탱석에는 십이지신상을 부조로 새겼다. 8~9세기 신라 왕릉의 형식을 갖추고 있다. 김유신묘가 아니라 신라 45대 왕 신무왕(재위 839)의 무덤이라는 주장도 있다. 경상북도 경주시 충효동 소재. 사적 제 21호. 2023. 4. 15.
[신라/정치행정]울진 봉평리 신라비(탁본) 울진 봉평리 신라비(탁본) ★ 울진 봉평리 신라비(蔚珍 鳳坪里 新羅碑) : 경상북도 울진군 죽변면 봉평리에 있는 신라시대의 비석. 1988년 발견되었다. 비무 일부가 마모되어 정확한 판독은 어려우나 신라 법흥왕 11년(524)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된다. 사각장방형의 자연 화강암에 한 면을 다듬어 비문을 새겼는데, 예서풍의 10행 398자로 이루어져 있다. 규모는 작으나 고구려의 광개토대왕비와 유사하다. 비문의 내용은 당시 신라의 영토확장으로 인한 지역 주민과의 분쟁과 이 처리 과정 및 결과 등이다. 6세기 신라의 영토, 율령체제, 왕권의 한계, 관료제도 등을 알 수 있는 자료이다. 국보 제242호. 2023. 4. 9.
[신라/정치행정]포항 냉수리 신라비 포항 냉수리 신라비 ★ 포항 냉수리 신라비(浦項 冷水里 新羅碑) : 경상북도 영일군(현재 포항시) 신광면 냉수리에서 발견된 신라 시대의 석비. 신라 지증왕 4년(503년)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며, 1989년에 발견되었다. 자연석의 앞면, 뒷면, 윗면 삼면에 글을 새겼으며, 앞면 12행 152자, 뒷면 7행 59자, 윗면 5행 20자 등 총 231자가 쓰여져 있다. 비문은 지증왕을 비롯한 신라 6부의 대표 7명이 주민의 재산 상속 문제에 대해 논의한 내용이다. 국보 제264호. 현재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신광면사무소 마당에 있다. 2023. 4. 7.
[개화기/국방]별기군과 구식 군인 별기군과 구식 군인 ★ 별기군(別技軍) : 고종 18년(1881) 일본을 롤모델로 삼아서 창설한 신식군대. 일본인 교관이 훈련하였고 신식무기를 사용하였다. 별기군은 구식군대에 비해 급료나 피복 등 모든 대우가 좋았으며, 차별받던 구식 군인들이 임오군란을 일으키는 원인 중 하나로 작용하였다. 2023. 4. 6.
[개화기/열강의침략]일본인에게 발급되었던 내륙통행허가증 일본인에게 발급되었던 내륙통행허가증 ★ 일본인에게 발급되었던 내륙통행허가증 : 1898년 인천감리서에서 발행한 일본인을 위한 일종의 여권. 일본인에게 조계지 외의 지역을 여행할 수 있는 혜택을 주었다. 일본 영사가 마음대로 발행하고 인천감리서는 형식적인 승인만 하였다. 2023. 3. 31.
[신라/유적]경주역사유적지구 경주역사유적지구 월성지구와 대릉원지구 ★ 경주역사유적지구(慶州歷史遺蹟地區) : 2000년 12월 유네스코에서 지정한 대한민국의 세계유산으로 경주시 일대의 신라 유적,유물들. 경주역사유적지구는 월성지구(月城地區), 황룡사지구(黃龍寺地區), 산성지구(山城地區), 남산지구(南山地區), 대릉원지구(大陵苑地區)의 5개 지구로 나뉜다. 2023. 3. 27.
[신라/유적]경주 월성(상상도) 경주 월성(상상도) ★ 경주 월성(慶州 月城) : 경상북도 경주시 인왕동에 있는 신라시대에 궁궐. 지형이 초승달처럼 생겼다하여 신월성 또는 반월성이라 불렀다. 2017년부터 발굴조사중이다. 101년(파사왕 22)에 건립되었다는 기록과 달리 4~5세기 경에 완공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사적 제16호. 2023. 3. 26.
[근대/정치행정]19세기 조선의 사회 혼란 19세기 조선의 사회 혼란 ★ 세도 정치(勢道政治) : 조선 왕조의 외척이 된 가문이 왕의 위임(委任)을 받아 정권을 잡고 나라를 다스리던 정치. 순조 즉위 이후(1800년) 본격화되어 정치 기강과 삼정(정전, 군정, 환곡)이 문란이 극심해져 사회 혼란이 심화되었다. 2023. 2. 23.
[백제/고분유물]서산 부장리 고분군 출토 금동관모 서산 부장리 고분군 출토 금동관모 ★ 서산 부장리 고분군 출토 금동관모(瑞山富長里古墳群出土金銅冠帽) : 충청남도 서산시 음암면 부장리에 있는 서산 부장리 고분군의 널무덤 목관 내에서 출토된 금동관모. 제작 시기는 4~5세기로 추정한다. 백제의 왕이 서산 지역 유력자에게 하사한 것으로 추정하며, 당시 서산 지역이 지역의 주요 거점임을 보여준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2. 12. 27.
[백제/국제관계]백강 전투(白江戰鬪) 백강 전투(白江戰鬪) ★ 백강 전투(白江戰鬪) : 663년 백강(현재 금강 하구)에서 벌어진 백제·왜의 연합군과 당·신라의 연합군이 벌인 전투. 660년 나당 연합군에 백제가 멸망하자 유민들은 부흥운동을 벌였고, 백제와 긴밀한 관계였던 왜(倭)는 백제 부흥운동을 지원하였으며, 663년 대규모의 수군을 파병하였으나, 백강(금강 하구)에서 나당엽합군과의 전투에서 패하여 전멸하였다. 내분과 왜의 원군마저 패하면서 백제 부흥운동은 결국 실패하였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2. 12. 26.
[백제/인물]계백 장군 묘 계백 장군 묘 충청남도 논산시 부적면 신풍리 소재 ★ 계백(階伯, ? ~ 660) : 백제 말기의 군인. 660년 나·당 연합군이 백제를 침략할 때 군사 5천을 이끌고 황산벌에서 5만의 신라군과 네 차례의 전투를 벌인 끝에 백제군이 전멸하고 계백도 전사했다. 성충, 흥수와 함께 백제의 충신이라 불린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2. 12.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