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시2528

2022학년도 서울대학교 신입생 입학 전형 * 화운의 역사사회교실에서 제공하는 교육정보 및 체험탐방 정보입니다. 2022학년도 서울대학교 신입생 입학 전형 서울대학교에서 2022학년도 신입생 입학 전형 주요 사항을 발표하였다. 기본 방향은 크게 변화가 없다. 가장 두드러진 변화는 정시모집 지원군이 가군에서 나군으로 바뀌었고, 정시 모집 비중이 증가한 것이다(23.2% →30.3%). 2023학년도에는 정시 모집 비중이 40%까지 오를 예정이다. ※ 자세한 사항은 첨부파일을 확인 바랍니다. 2020. 5. 8.
[조선후기/왕실문화]인목대비의 편지 인목대비의 편지 ★ 인목대비의 편지(1603) : 인조의 계비 인목왕후(1584~1632)가 딸 정명공주의 병 때문에 의관과 의녀를 청하는 편지.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4. 20.
[조선전기/의학]의방유취 의방유취(醫方類聚) ★ 의방유취(醫方類聚) : 조선 세종 때 편찬한 의학서로 세종 27년(1445년)에 완성하였고, 성종 8년(1477)에 간행되었다(30권). 조선과 중국의 의학을 종합하여 정리한 저서로 조선 의학 발달의 초석이 되었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4. 18.
[조선/의학]은침과 침통 은침과 침통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4. 18.
[조선후기/의학]인체도(人體圖) 인체도(人體圖) ★ 인체도 : 증수무원록언해에 실인 인체도(人體圖). ★ 증수무원록언해(增修無寃錄諺解) : 조선 후기(1790) 간행된 법의학서 을 한글로 번역한 의서.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4. 18.
[조선후기/국방]유수부(留守府) 유수부(留守府) ★ 유수부(留守府) : 고려와 조선 시대에 옛 도읍지나 행행지 및 군사적인 요지에 설치되었던 행정 기관으로 부 가운데 유수(留守, 정2품)가 우두머리로 있는 곳. 조선 시대에는 강화·개성·수원·광주(廣州)에 설치되었다. 위 지도에는 정조 17년(1793) 수원(화성)에 설치한.. 2020. 4. 17.
[근대/대한제국및황실]순정효황후와 궁녀들 순정효황후와 궁녀들 순정효황후(순종의 계비)와 궁녀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4. 17.
[조선후기/왕실문화]육전조례의 보양청과 강학청 규정 육전조례의 보양청과 강학청 규정 ★ 육전조례(六典條例) : 조선말기 각 관청에서 맡은 사목(事目) 및 시행규례를 수록한 책이자 행정규범집. 1865년에 편찬된 대전회통으로 전장법도가 구비되었으나, 여기에 빠진 사례가 많아 같은 해 2월 왕명으로 편찬케하고, 1867년에 인쇄, 배포했다. .. 2020. 4. 17.
[조선후기/사회문화]유언호 묘표 유언호 묘표 ★ 묘표(墓表) : 사대부 묘소 앞에 세웠던 묘비의 하나. 조선 후기 사대부(1730~1796) 유언호의 묘포로 검박하고 단정한 조선 고유의 형식이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4. 17.
[조선후기/사회문화]열녀각과 충노각 열녀각과 충노각 ★ 열녀문과 충노각(경북 영주) : 순조 22년(1882), 경북 영주에서 젊은 과부 박소사가 임신했다는 소문이 퍼지자 자살하는 사건이 일어나자, 암행어사가 이를 조사하여 헛소문임을 밝히고 박소사의 명예를 회복하였다. 박소사에게 열녀각을 내리고 박소사의 원통함을 알.. 2020. 4. 16.
[조선/공예]옹기(甕器) 옹기(甕器) 동이 병 주전자 풍로 ★ 옹기(甕器) : 질그릇과 오지그릇의 통칭으로 한민족이 선사시대부터 생활용기로 사용하였다. 음식 보관, 김치 및 장류 발효, 굴뚝이나 하수관 등 다양한 용도로 이용되었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4. 16.
[조선후기/의학]우두 접종 우두 접종 ★ <마과회통> 부록에 실인 우두 접종 칼과 우두 접종처 ★ 마과회통(麻科會通) : 조선후기 실학자 정약용이 홍역의 병증과 치료법을 수록하여 1798년에 편찬한 의서.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4. 15.
[조선후기/문화와예술]연잉군 초상(영조) 연잉군 초상(영조) ★ 연잉군 초상(延礽君肖像) : 조선 제21대 왕 영조의 왕자 시절 초상화. 숙종 40년(1714), 화원 진재해(秦再奚)가 그렸다. 6.25 전쟁 때 부산으로 옮겨졌다가 화재를 당하여 화폭의 1/3 가량이 소실되었다. 보물 제1491호,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 영조(英祖, 1694~177, 재위 1724~1.. 2020. 4. 15.
[조선/임진왜란]용사일기(龍蛇日記) 용사일기(龍蛇日記) ★ 용사일기(龍蛇日記) : 임진왜란 때 공을 세운 송암 이노(1544∼1598)가 쓴 전쟁일기. 선조 30년(1597)에 완성하였으며, 영조 39년(1763)에 후손 이당혁에 의해 간행되었다. <난중일기>와 더불어 임진왜란사를 연구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 현재 경.. 2020. 4. 15.
[조선/정유재란]제1차 울산성 전투 제1차 울산성 전투 제 1차 울산성 전투(위 : 전체, 아래 : 부분) ★ 제1차 울산성 전투(第一次蔚山城戰鬪)는 1598년 1월 29일 ~ 2월 9일에 일어났다. 당시 울산왜성은 일본군에 점령당한 상태였는데, 가토 기요마사(加藤清正)와 왜군 1만 5천명이 지키고 있었다. 조명 연합군(조선군 1만 1천 5백명.. 2020. 4. 15.
[조선/왕실문화]왕세자의 면복 왕세자의 면복 ★ 면복(冕服) : 고대 중국에 연원을 둔 예복으로 동아시아 각국의 제왕(帝王)이 착용하였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4. 14.
[조선/왕실문화]왕세자인 왕세자인 ★ 왕세자인(王世子印) : 왕세자의 도장. 옥으로 제작하였으며 ‘왕세자인’이라 새겨져 있다. 궁중유물전시관 소장.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4. 14.
[조선후기/왕실문화]문효세자의 왕세자 책봉식 문효세자의 왕세자 책봉식 ★ 문효세자(文孝世子, 1782~1786) : 조선의 제22대 정조의 장자로 후궁 의빈 성씨의가 낳은 첫 아들이다. 왕세자(王世子)로 책봉되었으나(1784), 어린 나이에 병으로 훙서(사망)하였다. 대한제국 수립 후 태자로 추증되었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 2020. 4. 14.
[조선후기/왕실문화]조선 국왕의 공부 조선 국왕의 공부 ★ 열성진강책록, 열성조계강책자차제, 진강책자차제 : 조선 후기 국왕들의 학습 내용을 기록한 책. 효종에서 고종까지 국왕별로 학습한 서적의 이름과 학습 날짜를 기록하였다. 규장각 소장.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4. 13.
[조선후기/왕실문화]선조의 열성어첩 선조의 열성어첩 ★ 어첩(御牒) : 왕실(王室) 계보(系譜)의 대강을 간추려서 적은 책.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4.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