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후기361 [조선후기/정치]박규수(朴珪壽) 박규수(朴珪壽) ★ 박규수(朴珪壽, 1807~1877) : 조선 말기의 문신. 실학자들의 학문과 사상을 계승하여 개화를 주장하였다. 제네럴 셔먼 호를 격퇴하고 강화도 조약을 체결하는 데도 기여하였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1. 20. [조선후기/국방] 무예도보통지 무예도보통지 ★ 무예도보통지(武藝圖譜通志) : 규장각 검서관인 이덕무, 박제가와 장용영 장교인 백동수 등이 정조의 명으로 정조 14년(1790년)에 편찬한 훈련용 병서. 2017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되었다. 2020. 1. 19. [조선후기/정치행정]무신역옥추안 무신역옥추안 ★ 무신역옥추안 : 영조 4년(1728)에 경기, 충청도, 전라도, 경상도 지역에서 영조의 왕위계승 정통성을 부정하며 일어난 반란 무신란(戊申亂)에 대한 처결 기록.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1. 19. [조선후기/사상과학문]모훈집요(謨訓輯要) 모훈집요(謨訓輯要) ★ 모훈집요(謨訓輯要) : 1818년 윤응대·이규현·김남순이 순조의 명으로 세자를 위하여 편찬한 교과서.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1. 18. [조선후기/의학]마과회통(麻科會通) 마과회통(麻科會通) ★ 마과회통(麻科會通) : 조선후기 실학자 정약용이 홍역의 병증과 치료법을 수록하여 1798년에 편찬한 의서.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1. 17. [근대/의학]동의수세보원(東醫壽世保元) 동의수세보원 (東醫壽世保元) ★ 동의수세보원(東醫壽世保元) : 조선 말기의 의사 이제마가 저술한 의학서. 고종 30년(1893년)에 착수하여 고종 31년(1894)에 완성하였다. 사람의 체질은 4가지로 구분하는 사상의학설을 제창하였다. 2020. 1. 17. [조선후기/건축]<동궐> 배치도 <동궐> 배치도 ★ 동궐(東闕) : 창덕궁와 창경궁.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1. 16. [조선후기/의학]급유방(及幼方) 급유방(及幼方) ★ 급유방(及幼方) : 조선후기 의학자 조정준이 소아에게 나타나는 질환을 중심으로 1749년에 편찬한 의서. 중국 의서의 모방을 탈피하여 독자적이고 새로운 내용을 체계적으로 기술하였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1. 16. [조선후기/지리학]곤여만국전도(부분) 곤여만국전도(부분) ★ 곤여만국전도(坤輿萬國全圖) : 1602년에 예수회 이탈리아인 신부 마테오 리치와 명나라 학자 이지조(李之澡)가 함께 만들어 목판으로 찍어 펴낸 지도. 아시아, 유럽, 아프리카, 남북아메리카, 오세아니아, 남극이 표현되어 있다. <곤여만국전도>의 전래는 중국 .. 2020. 1. 15. [조선후기/왕실문화]‘동궁초강효경지희' 현판 ‘동궁초강효경지희’ 현판 (東宮初講孝經之喜) ★ ‘동궁초강효경 지희(東宮初講孝經之喜)’ 현판 : 세자(순조)가 처음으로 <효경(孝經)>을 배우기 시작하자 정조가 이를 기념하는 시를 경연관에게 주었다. 궁중 유물 전시관 소장.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1. 15. [조선후기/문화와예술]동국진체(東國眞體) 동국진체(東國眞體) ★ 동국진체(東國眞體) : 18세기에 출현한 조선 고유의 서체. 조선의 고유한 색을 드러내며 문화가 발전을 이룬 18세기에 서예 분야에서 옥동 이서가 서법을 정립한 것이 원교 이광사에 이르러 완성되었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1. 15. [조선후기/문화와예술]대사례도 중 어사도 대사례도 중 어사도 ★ 대사례도 : 조선 영조 19년(1743년) 윤 4월 7일에 있었던 대사례(大射禮) 행사를 그린 기록화. 대사례는 조선시대 임금이 성균관에서 석전제를 지낸 뒤 신하들과 행한 활쏘기 의식이다. 위 그림은 임금이 활 쏘는 모습을 그린 것이다. 작자미. 조선후기(1743). 연세대학.. 2020. 1. 14. [조선후기/경제와산업]담뱃대(smoking pipe) 담뱃대 (smoking pipe) ★ 담뱃대(smoking pipe) : 연초를 다져넣어 담배를 피우는 도구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1. 12. [조선후기/경제/농업] 담배 썰기(김홍도) 담배 썰기(김홍도) ★ 담배 : 임진왜란 때 일본으로부터 고추, 호박 등과 함께 조선에 들어온 것으로 알려졌다. 농가에서는 상품작물로 재배되고 담배는 남녀노소 즐기는 기호품으로 자리잡았다. 2020. 1. 12. [조선후기/지리학] 대동여지도(한양) 대동여지도(한양) ★ 대동여지도(大東輿地) : 고산자(古山子) 김정호가 1861년 제작한 한반도의 지도이며, 지도첩이다. 근대적 측량이 이루어지기 전 제작된 한반도의 지도 중 가장 정확한 지도이다. 3건이 대한민국의 보물로 지정되어 있으며, 대동여지도 목판도 보물로 지정되었다. 2020. 1. 12. [조선후기/경제와산업]담배침 담배침 ★ 담배침 : 담뱃대의 대통(담배 담는 부분) 속의 담뱃진을 긁어내는데 쓰인 도구.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1. 12. [조선후기/실학]다산초당(茶山草堂) 다산초당(茶山草堂) ★ 다산초당(茶山草堂) : 조선 후기 실학자 다산 정약용이 강진에 유배되어 10여년 동안 머물며 저술과 후학 양성에 힘썼던 강진 정약용 유적(康津 丁若鏞 遺蹟)의 건물. 현재의 건물은 1958년 복원한 것이다. 사적 제 107호. 전라남도 강진군 소재. ※ 저작권 문제가 있을.. 2020. 1. 11. [조선후기/정치]단암만록 단암만록 ★ 단암만록 :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인현왕후의 오빠인 민진원인 숙종, 경종, 영조 시기에 일어난 주요 정치사를 기록한 책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1. 11. [조선후기/기록문화] 평창 오대산사고 평창 오대산사고 김홍도가 그린 오대산사고 조선고적도보에 실린 오대산사고(1931년) 현재 복원된 오대산 사고 ★ 평창 오대산사고(平昌 五臺山史庫) :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진부면, 오대산에 있는 과 왕실의 족보인 을 보관하기 위해 지었던 조선 후기 5대 사고 중 하나이다.오대산에 보관된 실록은 일제강점기에 일본으로 옮겨져 관동대지진 때(1923) 대부분 불타 버렸다. 사고 건물은 한국전쟁으로 불탔으나 1992년 복원하였다. 대한민국의 사적 제37호. 2020. 1. 10. [조선후기/정치] 남구만(南九萬) 남구만(南九萬) ★ 남구만(南九萬, 1629~1711) : 조선의 문신, 정치가로 숙종 때의 소론의 거두이다. 문장과 서화에 뛰어났다. 2020. 1. 10. 이전 1 ··· 8 9 10 11 12 13 14 ··· 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