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사능력검정시험3523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문제풀이 - 31회 초급 14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문제풀이 - 31회 초급 14 (문제출처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 정답 : ① 문제풀이 ② 추석(秋夕) : 음력 8월 15일로, 농사를 마무리하고 수확하여 햇곡식과 음식으로 송편과 음식을 만들어 차례를 지내고 성묘를 하였다. ③ 칠석(七夕) : 음력 7월 7일. 견우와 직녀가 만나는 날로 전해지며, 밀국수와 호박부침을 만들어 먹고 옷과 책을 말린다. ④ 한식(寒食) : 동지부터 105일 째 날로 앙력으로 4월 5~6일에 해당한다. 음식을 만들어 성묘를 하고 벌초를 하거나 새 잔디를 입히기도 한다. 2021. 2. 4.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문제풀이 - 31회 초급 13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문제풀이 - 31회 초급 13 (문제출처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 정답 : ③ 문제풀이 ★ 성종의 업적(961~997, 재위 981~997) 성종은 유교 정치를 펼쳐 고려의 정치를 발전시켰다. 최승로의 시무 28조를 받아들여 유교를 국가 이념으로 삼았으며, 유학 교육을 장려하고 과거제를 정비하였다. 지방관을 파견하고 향리제도를 실시하여 지방 통제를 강화하였으며, 2성 6부제를 만들어 중왕 관제도 정비하였다. ① 고려 태조(왕건, 877~943, 재위 918~943)는 후손들을 위해 훈요 10조를 남겼다. ② 조선의 법전인 경국대전은 세조 때 편찬을 시작하여 성종 때대에 완성되었다(1460~1484). ④ 고려 광종(925~975, 재위 949~975)은 노비안검법을 실시하여 호족들이 불.. 2021. 2. 3.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문제풀이 - 31회 초급 12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문제풀이 - 31회 초급 12 (문제출처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 정답 : ② 문제풀이 ★ 원 간섭기(1270~1356) 고려는 40여 년에 걸친 항쟁을 끝내고 몽골(원나라)과 강화를 맺었다. 이후 고려는 철령 이북과 제주도 등의 땅을 빼앗겼으며, 몽골의 일본 원정에 물자를 지원하도록 강요받았다. 또한, 고려 국왕은 원의 공주와 결혼하여 원 황제의 부마가 되었고 왕실과 관직의 호칭도 격하되었으며, 원나라의 내정간섭을 받았다. 원은 일본 원정을 위해 설치했던 정동행성을 없애지 않고 다루가치를 파견하여 고려의 내정간섭을 계속하였다. 원나라는 고려의 처녀들을 공녀로 끌고 갔으며, 고려에 막대한 공물을 요구하여 고려의 경제는 피폐해지고 농민은 큰 고통을 받았다. 이 시기에 원나라의 지배층과 혼.. 2021. 2. 2.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문제풀이 - 31회 초급 11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문제풀이 - 31회 초급 11 (문제출처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 정답 : ④ 문제풀이 ★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국보 제 18호) 고려 전기의 건축 양식인 주심포 양식(공포가 기둥 위에만 있는 양식)으로 지어진 건물로 고려 중기에 지어진 것으로 예상된다. 1376년 중수된 건물로, 배흘림 기둥과 항아리형 보 등, 고려의 건축 양식을 보여준다. 무량수전과 더불어 안동 봉정사 극락전과 예산 수덕사 대웅전 이 주심포 양식의 대표적인 건물이다. ① 보은 법주사 팔상전(국보 제55호) : 충청북도 보은군 속리산의 법주사에 있는 목조 5층탑으로, 목탑이다. 임진왜란 때 불타버렸으나 인조 2년(1624)에 사명대사가 재건했다고 전한다. ② 경복궁 근정전(국조 제 233호) : 조선의 법궁 경복궁의 .. 2021. 1. 9.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문제풀이 - 31회 초급 10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문제풀이 - 31회 초급 10 (문제출처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 정답 : ③ 문제풀이 ★ 발해 고구려가 멸망한 뒤, 유민들은 요동 지방을 중심으로 당에 저항하였다. 7세기 말, 당의 지방 통제력이 약화되어 곳곳에서 반란이 일어나자, 고구려 장군 출신의 대조영이 고구려 유민과 말갈족을과 함께 만주 지역의 동모산 기슭에 발해를 건국하였다(698). 당은 고구려를 계승한 나라임을 밝히며 당을 견제하였는데, 무왕(재위 719~737)은 당의 산둥 지방을 공격하였다. 문왕(재위 737~793) 때에는 상경으로 천도하고 당과 외교 관계를 맺고 문물을 받아들여 발전에 힘썼다. 9세기 발해는 전성기를 맞이하여 선왕(재위 818~830) 때에 말갈족 대부분을 복속하고 고구려의 영토를 대부분 회복하였으.. 2021. 1. 8.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문제풀이 - 31회 초급 9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문제풀이 - 31회 초급 9 (문제출처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 정답 : ④ 문제풀이 ★ 최치원(857~908) 신라 말의 문신, 유학자, 문장가. 6두품 출신으로, 당에 유학하여 과거(빈공과)에 급제한 뒤 당의 관료가 되었다. 황소의 난이 일어나자 을 지어 문장으로 이름을 떨쳤다. 귀국한 뒤 골품제도 개혁을 주장하며 를 올렸으나 진골 귀족의 반대로 실패하였다. 그후, 벼슬을 버리고 은둔하며 문장과 저술에 전념하여, 뒤어난 작품을 많이 남겼다. ① 설총(655~?) : 신라의 학자. 한자의 음과 뜻을 이용하여 고대 한국어(신라어)를 표현한 이두를 만들었다. 유교에도 조예가 깊었으며, 우화 를 지었다. ② 장보고(787~846) : 통일신라의 무장, 해상 호족. 일찍 당으로 건너가 군인과.. 2021. 1. 7.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문제풀이 - 31회 초급 8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문제풀이 - 31회 초급 8 (문제출처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 정답 : ① 문제풀이 ★ 삼국과 가야의 일본과의 문화 교류 삼국과 가야의 문화는 일본에 전파되어 일본 고대 문화 형성에 큰 영향을 주었다. 그중, 백제의 영향이 가장 컸다. 4세기 후반 근초고왕 때 백제에서 만들어 일본에 하사한 칠지도(일본 이소노카미 신궁 소재)는 철로 만들로 금으로 상감한 글자가 새겨져 있다. 정교하게 만들어져 백제의 뛰어난 금속세공 기술을 보여주며, 백제와 왜와의 활발하게 교류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아직기와 왕인을 보내어 한자와 유학을 가르쳤으며, 성왕(6세기) 때에는 불경과 불상을 전하여, 일본 불교 발전에 크게 기여하였다. ② 논산 관촉사 석조미륵보살입상(국보 제 323호) : 고려 초기(10.. 2021. 1. 6.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문제풀이 - 31회 초급 7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문제풀이 - 31회 초급 7 (문제출처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 정답 : ④ 문제풀이 ★ 삼국통일 고구려가 수와 당의 침입(7세기) 물리치는 동안 백제는 신라를 자주 공격하였다. 의자왕이 즉위하자 더욱 격렬하게 신라를 공격하여, 대야성을 비롯한 40여개 성을 빼앗았다(642, 선덕여왕). 이에 신라는 고구려에 도움을 청하였으나 거절당하고, 당의 힘을 빌리고자 하였다. 김춘추는 당에 가서 나 ․ 당 동맹을 맺고(648), 백제와 고구려를 멸망시킨 뒤, 대동강 이북의 땅을 당에 넘겨주겠다는 약속을 하였다. 태종무열왕(김춘추)가 왕위에 오른 뒤 나 ․ 당 연합군은 백제를 공격하였다. 신라는 황산벌에서 계백이 이끄는 백제군을 물리치고 당군과 함께 사비성을 함락시켰다(660). 백제가 멸망한 뒤.. 2021. 1. 4.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문제풀이 - 31회 초급 6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문제풀이 - 31회 초급 6 (문제출처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 정답 : ② 문제풀이 백제는 고구려에서 내려온 소서노와 그녀의 아들들(비류, 온조)이 유민을 이끌고 한강 유역에 정착하여 백제(초기에는 십제)를 세웠다(기원전 18). 비류는 미추홀(인천), 온조는 한강 남쪽(서울)에 각각 자리잡았고, 이후 비류 세력은 온조가 세운 백제에 흡수되었다. 백제는 일찍이 중국과 교류하며 선진문물을 받아들이고 우수한 문화를 발전시켰다. ① 농경무늬 청동기(보물 제1845호) : 청동으로 만든 정교한 유물로, 청동기 또는 초기 철기 시대에 만들어진 것으로 보인다. 한 면에 밭을 일구는 남성과 새 잡는 여성, 다른 면에는 나뭇가지 위에 새가 앉아 있는 장면을 새겨져 있다. ② 금동대향로(국보 287호.. 2021. 1. 3.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문제풀이 - 31회 초급 5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문제풀이 - 31회 초급 5 (문제출처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 정답 : ③ 문제풀이 진흥왕(眞興王, 534~576, 재위 540~576) : 신라의 제24대 왕. 법흥왕 대에 중앙집권체제를 이룬 뒤, 진흥왕 대에 신라는 빠른 속도로 발전하였다. 화랑도를 국가 조직으로 개편하고 불교 교단을 정비하여 사상 통합을 도모하였다. 이후, 신라는 고구려가 지배하던 유역을 빼앗고 함경도 지역까지 진출하였으며, 남으로는 대가야를 정복하여 낙동강 서쪽을 차지하였다. 함께 한강 유역을 빼앗은 백제를 배신하고 한강 유역을 완전히 차지하여, 서해를 통해 당(중국)과 직접 교류할 수 있게 되었다. 이후 신하는 삼국 사이의 경쟁에 주도권을 장악하였고, 진흥왕의 영토 확장은 4개의 순수비(북한산, 창녕, 마운령.. 2021. 1. 2.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문제풀이 - 31회 초급 4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문제풀이 - 31회 초급 4 (문제출처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 정답 : ① 문제풀이 중국의 지린성 집안(吉林省 集安) 일대는 고구려의 두 번째 수도인 국내성이 있던 곳이다. 이곳에는 고구려의 성터와 고구려의 재표적인 고분인 돌무지무덤 12,000여 개가 남아있다. ① 장군총 : 중국 지린성 지안 지역의 산 중턱에 있는 고구려의 돌무지무덤으로, 산 아래에 광개토대왕비가 있다. 네모로 다듬은 돌을 쌓아 7층의 피라미드 모양으로 만든 거대한 고분으로 대표적인 돌무지무덤이다. ② 천마도 : 신라의 수도였던 경주의 천마총에서 출토된 유물로, 말안장에 달아 늘어뜨리는 장니(말의 배가리개)에 천마가 그려져 있다. ③ 석굴암 본존불(국보 24호, 8세기) : 경주 토함산의 석굴암 내부에 있는 불상으.. 2021. 1. 1.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문제풀이 - 31회 초급 3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문제풀이 - 31회 초급 3 (문제출처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 정답 : ④ 문제풀이 ★ 근초고왕(300?~375, 재위 346~375) : 백제의 13대 왕으로 백제의 전성기를 이루었다. 왕위의 부자 상속과 왕권을 안정시켜 중앙집권체제를 이루었고, 마한 지역을 정복하고 고구려의 평양성을 공격하여 고국원왕을 전사시켰다. 또한 중국의 동진, 가야, 왜 등과 활발하게 외교 활동을 하였다. ① 성왕(? ~ 554, 재위 523~554) : 백제의 26대 국왕으로 백제를 중흥으로 이끌었다. 웅진(공주)에서 사비(부여)로 도읍을 옮기고(538) 국호를 남부여로 바꾸며 를 열었다. 제도를 정비하고 불교를 진흥하였다. 왜에 승려(노리사치계)를 보내 불교를 전하고, 중국 남조의 양나라와 활발하게 교류.. 2020. 12. 31.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문제풀이 - 31회 초급 2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문제풀이 - 31회 초급 2 (문제출처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 정답 : ③ 문제풀이 은 대가야의 대표적인 유적이다. 농사 짓기 좋은 지역에 자리잡은 가야는 벼농사가 발달하였고, 철을 생산하여 바다를 통해 낙랑과 왜를 잇는 중계무역으로 번성하였다. 가야 연맹은 중앙집권을 이룬 삼국(고구려, 백제, 신라)와 달리 여라 나라가 연합한 연맹왕국이었다. 가야 연맹은 중앙집권을 이룬 뒤 빠르게 발전하는 백제와 신라 사이에서 살아남기 위해 노력하였다으나, 가야의 소국들은 하나 둘 신라에 병합되었고, 가야 연맹의 맹주였던 금관가야(532)와 대가야(562)도 차례로 신라에 멸망하였다. ① 고구려의 고국천왕(179~197)은 굶주리는 백성들을 위해 진대법을 실시하였다. 진대법은 식량이 부족한 봄에 곡.. 2020. 12. 30.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문제풀이 - 30회 초급 40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문제풀이 - 30회 초급 40 (문제출처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 정답 : ① 문제풀이 ★ 1980년대의 대한민국 1980년 광주민주화운동을 무력으로 진압하고 정권을 잡은 전두환 정부(1980~1987)는 민주화 운동을 탄압하면서 야간 통행 금지 해제, 교복 자율화 등의 유화 정책을 펼쳤다. 87년 6월 민주항쟁으로 대통령 직선제로 개헌하고 노태우 정부(1988~1993)가 집권하였다. 노태우 정부는 서울올림픽(1988)을 개최하고 동유럽과 공산주의 국가들과 외교를 시작하였다. 또, 남북한이 유엔에 함께 가입하였으며(1991), 체결, 을 하였다. ②④ 1998년 들어선 김대중 정부(1998~2003)는 남북 화해 및 교류를 추진하여 그 일환으로 금강산 관환 사업(1998~)을 시작하였.. 2020. 12. 30.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문제풀이 - 31회 초급 1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문제풀이 - 31회 초급 1 (문제출처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 정답 : ④ 문제풀이 고인돌은 청동기 시대의 대표적인 유적이다. ①~③(비파형 동검, 반달돌칼, 민무늬 토기)는 청동기 시대의 대표적인 유물이다. ① 비파형 동검 ② 반달돌칼 ③ 민무늬 토기(송국리식 토기) ④ 철기 시대에 사용한 이다. 2020. 12. 29.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문제풀이 - 30회 초급 39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문제풀이 - 30회 초급 39 (문제출처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 정답 : ③ 문제풀이 ★ 1차 경제 개발 5개년 계획 4.19 혁명 이후 수립된 장면 정부는 차관을 도입과 을 세웠으나, 5.16 군사정변으로 실행하지 못하였다. 군사정변을 정권을 장악한 박정희 정부는 1962년부터 4차에 걸친 을 추진하였다. 1차(1962~1965), 2차(1966~1970)때에는 경공업과 국가 기간 산업을 육성하고 경부고속도로를 건설하였다(1968~1970). 2020. 12. 29.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문제풀이 - 30회 초급 38 국사능력검정시험 문제풀이 - 30회 초급 38 (문제출처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 정답 : ② 문제풀이 ★ 김구(1876~1949) 일제강점기의 독립운동가로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내무부위원, 경무국장, 주석 등을 지냈다. ★ 한인애국단 1920년대 후반 이후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위기에 처하자 이를 타계하고자 김구 선생이 세운 단체로 일본 요인 암살과 주요 시설 파괴 등의 활동을 하였다(1931년 창단). 단원 이봉창의사는 일본 왕의 마차에 폭탄을 던졌으나 실패하였다(1932). 윤봉길 의사는 상하이 훙커우 공원에서 열린 일본의 상하이 점령 축하 기념식장에 폭탄을 던졌다. 윤봉길 의사의 의거는 중국인이 한국의 독립운동을 지원하는 계기가 되었다. ①③ 김원봉(1898~1958)은 1919년 만주에서 의열단을 .. 2020. 12. 28.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문제풀이 - 30회 초급 37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문제풀이 - 30회 초급 37 (문제출처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 정답 : ② 문제풀이 ★ 신간회 1920년대 중반에 민족주의 세력과 사회주의 세력이 연대하여 을 만들기로 결정하고 신간회를 창단하였다(1927). 신간회는 민족 교육, 착취 기관 철폐 등을 주장하고 원산 노동자 총파업 등의 사회운동을 지원하였다. 광주학생항일운동(1929)가 일어나자 조사단을 보내고 결과를 발표하기 위한 민중 대회를 열려고 했으나, 경찰의 탄압으로 실패하였다. 민중 대회 실패 후, 새 집행부의 노선을 둘러싼 민족주와 사회주의 세력의 갈등으로 해체되었다(1931). ① 보안회(1904) : 개화기의 애국계몽단체로 일본의 항무지 개관권 요구를 저지하였다. 친일단체 유신회(일진회)의 방해로 해체되었다. ③ 대한.. 2020. 12. 27.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문제풀이 - 30회 초급 36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문제풀이 - 30회 초급 36 (문제출처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 정답 : ③ 문제풀이 ★ 개화기의 근대 교육 기관 개화기에는 여러 근대 교육 기관이 세워져 신학문과 외국어를 가르쳤다. 정부에서는 육영공원(1886), 동문학(1883) 등을 세웠고, 함경도 덕원에는 관민이 함께 원산학사(1883)을 세웠다. 외국인 선교사들도 학교를 배재학당(1885, 아펜젤러), 이화학당(1886, 스크랜튼), 경신학교(1885, 언더우드) 등의 근대 학교를 세웠다. ① 평양에슨 미국인 선교사 베어드가 세운 숭실학교(1897), 신민회의 안창호가 대성학교(1908)를 세웠다. ② 광무개혁 때 광산기술자를 키우기 위해 독일 기술자를 데려와 광무 학교를 세웠다(1900). ④ 대부분의 근대 학교는 신분을 .. 2020. 12. 26.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문제풀이 - 30회 초급 35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문제풀이 - 30회 초급 35 (문제출처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 정답 : ④ 문제풀이 ★ 3.1 운동의 영향 일제의 무단 통치에 억눌린 한국의 민중들은 민족 자결주의와 국외의 독립 선언(무오 독립 선언, 2.8 독립 선언)에 영향을 받아 국내에서도 독립선언을 준비하였다. 1919년 3월 1일, 민족대표 33인이 독립선언을 발표하고 탑골 공원에서 고종의 장례에 맞추어 만세 시위를 시작하였다. 시위는 5월까지 전국으로 확산되고, 해외에서도 일어났으며, 일본은 무력으로 만세 시위를 탄압하였다. 한국인의 독립 의지와 일본의 무자비한 탄압이 국제 사회에 알려지고,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수립되어 독립운동이 더욱 조직적으로 전개되었다. 또한, 일본은 무단 통치를 그만 두고, 문화 통치(민족 분열 통.. 2020. 12.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