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사능력검정시험1405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문제풀이 - 31회 초급 6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문제풀이 - 31회 초급 6 (문제출처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 정답 : ② 문제풀이 백제는 고구려에서 내려온 소서노와 그녀의 아들들(비류, 온조)이 유민을 이끌고 한강 유역에 정착하여 백제(초기에는 십제)를 세웠다(기원전 18). 비류는 미추홀(인천), 온조는 한강 남쪽(서울)에 각각 자리잡았고, 이후 비류 세력은 온조가 세운 백제에 흡수되었다. 백제는 일찍이 중국과 교류하며 선진문물을 받아들이고 우수한 문화를 발전시켰다. ① 농경무늬 청동기(보물 제1845호) : 청동으로 만든 정교한 유물로, 청동기 또는 초기 철기 시대에 만들어진 것으로 보인다. 한 면에 밭을 일구는 남성과 새 잡는 여성, 다른 면에는 나뭇가지 위에 새가 앉아 있는 장면을 새겨져 있다. ② 금동대향로(국보 287호.. 2021. 1. 3.
[조선후기/문화와예술]등에 북을 진 죄인(김준근) [조선후기/문화와예술] 등에 북을 진 죄인 (김준근) ★ 북을 치며 죄인을 망신주는 형벌 ★ 김준근(金俊根, ?~?) : 조선 말기에 활동한 평민 출신 풍속화가. , 등의 작품을 남겼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6. 3.
[조선후기/문화와예술]고신(김준근) [조선후기/문화와예술] 고신(김준근) 조선 후기, 김준근 ★ 김준근(金俊根, ?~?) : 조선 말기에 활동한 평민 출신 풍속화가. , 등의 작품을 남겼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6. 3.
[조선후기/문화와예술]파적도(破寂圖) 파적도(破寂圖) 김득신, 조선 후기 ★ 김득신(金得臣, 1754~1822) : 조선 후기의 화가. 도화서 화원 출신으로 초도 첨절제사(椒島 僉節制使)에 이르렀다. 인물과 풍속화를 잘 그렸는데 심사정, 정선과 함께 영조 때의 삼재(三齋)로 불렸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6. 2.
[조선후기/문화와예술]신관도임연회도 신관도임연회도 ★ 신관도임연회도(新官到任宴會圖) : 새로운 수령이 부임해서 축하 잔치를 여는 모습을 그린 그림. 조선 후기 추정.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6. 1.
[조선후기/건축]북한산지 북한산지 ★ 북한산지 : 영조 21년(1745)에 편찬된 북한산성에 대한 기록. 북한산성을 쌓을 때 참여한 승려 성능이 산성 관련 기사를 편집한 목활자본이다. 1책.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5. 31.
[조선후기/문화와예술]경기감영도 경기감영도 ★ 경기감영도(京畿監營圖) : 경기감영 일대를 그림 회화식 병풍 지도. 조선 후기(18세기). 작자 미상. 종이에 채색. 보물 제1394호.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5. 31.
[조선후기/역사학]선조소경대왕 수정실록 선조소경대왕 수정실록 ★ : 조선의 14대 임금인 선조대의 실록. 원래의 신록인 이 기사의 질적 문제와 당파의 영향으로 논란이 되자 이를 수정하여 편찬하였다. 통칭하여 이라고 부른다. 총 42권 8책으로 구성되어 있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5. 29.
[조선/정치행정]무과 시험 무과 시험 ★ 무과 시험(武科試驗) : 조선 시대 과거 시험 중 하나로 무관(武官)을 선출하였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5. 28.
[조선후기/대외관계]하멜의 선박(복원) 하멜의 선박(복원) ★ 헨드릭 하멜(Hendrik Hamel, 1630~1692) :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의 소속 선원이자 서기로 항해 중 난파되어 1653년에서 1666년까지 조선에 억류당했다. 일본으로 탈출하여 네덜란드로 돌아간 뒤 와 를 저술하였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5. 27.
[조선후기/공예]철제 구리 은입사 촛대 철제 구리 은입사 촛대 조선 후기.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5. 27.
[조선/인쇄술]활판 인쇄 과정 활판 인쇄 과정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5. 23.
[조선/인쇄술]활자(活字) 활자(活字)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5. 22.
[조선후기/사회문화]필암서원 문적 일괄 필암서원 문적 일괄 ★ 장성 필암서원 : 성리학자 하서 김인후(1510~1560)의 학덕을 기리기 위해 전라남도 장성군 황룡면 필암리에 건립된 서원이다. 선조 23년(1590)에 창건하였으나 정유재란 때 소실되었고, 인조 대(1624)에 중건하였다. 수해의 우려가 있어 현종 때(1672) 현재의 자리로 옮기고 마을 이름도 필암리(筆巖里)라 하였다. 사적 제242호, 유네스코 세계유산. ★ 필암서원 문적 일괄(筆巖書院 文籍 一括) : 서원 중건(인조 2, 1624) 이후부터 1900년 경까지의 자료로 교관과 하생의 명단, 노비안 등이다. 서원의 운영과 구성, 조선시대 지방 교육제도와 사회경제사 연구에 귀중한 자료이다. 보물 제587호, 국립광주박물관 소장.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5. 22.
[조선후기/문화와예술]통영오광대 통영오광대 ★ 통영오광대 : 영남지방의 오광대(五廣大)놀이 중의 하나로, 경상남도 통영시에 전해 오는 탈놀음이다. 국가무형문화재 제6호.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5. 21.
[조선후기/문화와예술]탈춤 탈춤 ★ 탈춤 : 한국의 각 지방에서 전해지는 탈을 쓰고 벌이는 전통적인 가면극. 조선후기 서민 문화의 일환으로 크게 유행하였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5. 21.
[조선후기/사회문화]최생부 부적 최생부 부적 ★ 최생부 부적 : 에 수록된 것으로 순산을 기원하였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5. 20.
[조선후기/왕실문화]홍재전서 홍재전서 ★ 홍재전서(弘齋全書) : 조선 제22대 임금 정조의 어제(御製)를 모아 엮은 문집(文集). 정조 재위 당시부터 수차례의 편찬 과정을 거쳐서 최종적으로 184권 100책으로 편차가 확정되었고, 1814년에는 활자를 이용하여 간행되었다.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316호.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5. 19.
[조선전기/국방]황자총통 황자총통 ★ 황자총통(黃字銃筒)은 조선시대 대형 총통 중에서 천자총통·지자총통·현자총통 다음으로 큰 총통이다. 보물 866호.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5. 18.
[조선/건축]창경궁 명정전 창경궁 명정전 ★ 창경궁 명정전(昌慶宮 明政殿) : 창경궁의 정전(正殿). 조선 성종 15년(1484)때 창건되었고 광해군 8년(1616)에 재건되었다. 돌로 된 월대 위에 목조건물로 세워졌으며, 정면 5칸, 측면 3칸, 단층 다포계 팔작지붕이다. 국보 제226호.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5.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