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후기361 [조선후기/문화와예술] 모내기(김홍도) 모내기 전체(위), 부분(아래) ★ 김홍도(金弘道, 1745~1806) : 조선 후기의 화가. 호는 단원(檀園). 정조 시대 때 문예부흥기의 대표적인 화가. 회화의 다양한 분야에서 독자적인 화풍을 구축하였으며, 특히 풍속화가 유명하다. 2020. 6. 8. [조선후기/문화와예술] 대장간(김홍도) 대장간(김홍도) 김홍도 필 풍속도 화첩 수록 ★ 김홍도(金弘道, 1745~1806) : 조선 후기의 화가. 호는 단원(檀園). 정조 시대 때 문예부흥기의 대표적인 화가. 회화의 다양한 분야세어 독자적인 화풍을 구축하였으며, 특히 풍속화가 유명하다. ★ 김홍도 필 풍속도 화첩(金弘道 筆 風俗圖 畵帖) : 은 조선후기 화가 단원 김홍도의 대표적인 풍속화첩으로 25점을 수록한다. 당시 풍속에 대한 다양한 관심과 예리한 관찰이 돋보이는 작품들이 실려있다. 보물 제 527호.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2020. 6. 7. [조선후기/문화와예술] 노상과안(김홍도) 노상과안(路上過眼) ★ 김홍도(金弘道, 1745~1806) : 조선 후기의 화가. 호는 단원(檀園). 정조 시대 때 문예부흥기의 대표적인 화가. 회화의 다양한 분야에서 독자적인 화풍을 구축하였으며, 특히 풍속화가 유명하다. 2020. 6. 7. [조선후기/문화와예술] 구룡 폭포(김홍도) 구룡 폭포 구룡폭포(김홍도) 구룡폭포(사진) ★ 김홍도(金弘道, 1745 ~ ?) : 조선 후기의 화가. 호 단원(檀園). 산수화, 풍속화에 뛰어났으나 고사인물화 및 신선도, 화조화, 불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독창적인 회화를 구축하였다. 특히 서민들의 일상생활을 그린 풍속화가로 주목받고 있다.★ 구룡폭포(九龍瀑布) : 강원도 고성군 온정리에 있는 폭포. 중향폭포(衆香瀑布)라고도 한다. 설악산의 대승폭포, 개성의 박연폭포와 더불어 3대 폭포로 일컬어진다. 2020. 6. 7. [조선후기/문화와예술] 고누놀이(김홍도) 고누놀이 (김홍도) 김홍도 필 풍속도 화첩 수록 ★ 김홍도(金弘道, 1745~1806) : 조선 후기의 화가. 호는 단원(檀園). 정조 시대 때 문예부흥기의 대표적인 화가. 회화의 다양한 분야에서 독자적인 화풍을 구축하였으며, 특히 풍속화가 유명하다. ★ 김홍도 필 풍속도 화첩(金弘道 筆 風俗圖 畵帖) : 은 조선후기 화가 단원 김홍도의 대표적인 풍속화첩으로 25점을 수록한다. 당시 풍속에 대한 다양한 관심과 예리한 관찰이 돋보이는 작품들이 실려있다. 보물 제 527호.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2020. 6. 6. [조선후기/문화와예술] 경작도(김홍도) 경작도 ★ 김홍도(金弘道, 1745~1806) : 조선 후기의 화가. 호는 단원(檀園). 정조 시대 때 문예부흥기의 대표적인 화가. 회화의 다양한 분야에서 독자적인 화풍을 구축하였으며, 특히 풍속화가 유명하다. 2020. 6. 6. [조선후기/문화와예술] 겨울채비(김홍도) 겨울채비(김홍도) ★ 김홍도(金弘道, 1745~1806) : 조선 후기의 화가. 호는 단원(檀園). 정조 시대 때 문예부흥기의 대표적인 화가. 회화의 다양한 분야에서 독자적인 화풍을 구축하였으며, 특히 풍속화가 유명하다. 2020. 6. 6. [조선후기/문화와예술]씨뿌리기(김준근) 씨뿌리기 (김준근) ★ 김준근(金俊根, ?~?) : 조선 말기에 활동한 평민 출신 풍속화가. , 등의 작품을 남겼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6. 5. [조선후기/문화와예술]모내기(김준근) 모내기(김준근) ★ 김준근(金俊根, ?~?) : 조선 말기에 활동한 평민 출신 풍속화가. , 등의 작품을 남겼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6. 5. [조선후기/문화와예술]판수독경(김준근) 판수독경 (김준근) ★ 판수독경 : 병귀(病鬼)를 쫓아내기 위한 무속 의식 ★ 김준근(金俊根, ?~?) : 조선 말기에 활동한 평민 출신 풍속화가. , 등의 작품을 남겼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6. 5. [조선후기/문화와예술]동냥(김준근) 동냥(김준근) ★ 김준근(金俊根, ?~?) : 조선 말기에 활동한 평민 출신 풍속화가. , 등의 작품을 남겼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6. 4. [조선후기/문화와예술]학춤(김준근) 학춤(김준근) ★ 학춤 : 용의자의 양 팔을 학의 날개처럼 뒤로 묶어 공중에 매달아 가하는 고문. ★ 김준근(金俊根, ?~?) : 조선 말기에 활동한 평민 출신 풍속화가. , 등의 작품을 남겼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6. 4. [조선후기/문화와예술]장형(김준근) 장형(김준근) ★ 장형(杖刑) : 곤장으로 볼기를 치는 형벌 ★ 김준근(金俊根, ?~?) : 조선 말기에 활동한 평민 출신 풍속화가. , 등의 작품을 남겼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6. 4. [조선후기/문화와예술]압슬형(김준근) 압슬형 (김준근) ★ 압슬형 : 무거운 것으로 무릎을 누르는 형벌, 영조 즉위 후 폐지 되었다. ★ 김준근(金俊根, ?~?) : 조선 말기에 활동한 평민 출신 풍속화가. , 등의 작품을 남겼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6. 3. [조선후기/문화와예술]등에 북을 진 죄인(김준근) [조선후기/문화와예술] 등에 북을 진 죄인 (김준근) ★ 북을 치며 죄인을 망신주는 형벌 ★ 김준근(金俊根, ?~?) : 조선 말기에 활동한 평민 출신 풍속화가. , 등의 작품을 남겼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6. 3. [조선후기/문화와예술]고신(김준근) [조선후기/문화와예술] 고신(김준근) 조선 후기, 김준근 ★ 김준근(金俊根, ?~?) : 조선 말기에 활동한 평민 출신 풍속화가. , 등의 작품을 남겼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6. 3. [조선후기/문화와예술] 이상적 초상화 이상적 초상화 ★ 김정희가 제주도에 유배된 뒤 북경에서 책을 구해다 준 역관 이상적(1804~1865)의 초상화이다. 김정희는 이상적에 대한 감사한 마음을 담아 를 그려 선물하였고, 이상적은 북경에 를 가지고 가 김정희와 교류했던 청나라 학자들에고 보여주었다. 2020. 6. 3. [조선후기/문화와예술]파적도(破寂圖) 파적도(破寂圖) 김득신, 조선 후기 ★ 김득신(金得臣, 1754~1822) : 조선 후기의 화가. 도화서 화원 출신으로 초도 첨절제사(椒島 僉節制使)에 이르렀다. 인물과 풍속화를 잘 그렸는데 심사정, 정선과 함께 영조 때의 삼재(三齋)로 불렸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6. 2. [조선후기/문화와예술]신관도임연회도 신관도임연회도 ★ 신관도임연회도(新官到任宴會圖) : 새로운 수령이 부임해서 축하 잔치를 여는 모습을 그린 그림. 조선 후기 추정.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6. 1. [조선후기/건축]북한산지 북한산지 ★ 북한산지 : 영조 21년(1745)에 편찬된 북한산성에 대한 기록. 북한산성을 쌓을 때 참여한 승려 성능이 산성 관련 기사를 편집한 목활자본이다. 1책.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5. 31. 이전 1 2 3 4 5 6 7 8 ··· 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