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후기361 [조선후기/왕실문화]왕복도 왕복도 ★ 왕복도 : 왕세자가 박사에게 수업을 청하는 장면. <왕세자입학도첩> 수록. ★ 왕세자입학도첩(王世子入學圖帖) : 1817년(순조 17) 3월 11일 성균관에서 치러진 효명세자(孝明世子, 1809~1830, 익종(翼宗)으로 추존)의 입학례를 기념한 화첩. 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 제307호. ※ 저.. 2020. 4. 13. [조선후기/왕실문화]조선 국왕의 공부 조선 국왕의 공부 ★ 열성진강책록, 열성조계강책자차제, 진강책자차제 : 조선 후기 국왕들의 학습 내용을 기록한 책. 효종에서 고종까지 국왕별로 학습한 서적의 이름과 학습 날짜를 기록하였다. 규장각 소장.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4. 13. [조선후기/왕실문화]어제조훈언해 어제조훈언해 (御製祖訓諺解) ★ 어제조훈언해(御製祖訓諺解) : 영조가 손자 정조의 교육을 위해 지은 책으로, 한문본을 한들로 옮긴 책이다. 장서각 소장.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4. 12. [조선후기/왕실문화]어제자성편언해 어제자성편언해 (御製自省編諺解) ★ 어제자성편언해(御製自省編諺解) : 영조가 국왕의 수신과 정치에 모범이 되는 글을 뽑아 정리한 책. 한문본을 만든 후 이를 한글로 번역하였다. 장서각 소장.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4. 12. [조선후기/사상과학문/실학] 양한정기(養閒停記) 양한정기(養閒停記) ★ 양한정기(養閒停記) : 조선 후기 실학자 최한기(崔漢綺, 1803~1879)의 저서 횡결>에 수록된 작품 2020. 4. 11. [조선후기/과학기술] 휴대용 앙부일구 휴대용 앙부일구 ★ 휴대용 앙부일구(携帶用 仰釜日晷) : 앙부일구는 조선 세종 때에 처음 만든 이후 조선시대 말까지 계속해서 제작되었고 널리 사용되었으며, 휴대용도 제작했다. 현존하는 휴대용 앙부일구는 19세기(1871)에 제작되었다. 재질은 돌이며 반구형으로 해시계 주위로 시각선, 절기 등을 새겼다. 해시계 면의 직경 2.8cm, 나침반의 직경 1.9cm.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보물 제852호. 2020. 4. 11. [조선후기/사상과학문]연려실기술 연려실기술 (燃藜室記述) ★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 조선 후기의 실학자 이긍익이 편찬한 조선시대 야사(野史)의 총서.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4. 11. [조선후기/의학]언해납약증치방 언해납약증치방 (諺解臘藥症治方) ★ 언해납약증치방(諺解臘藥症治方) : 납약의 사용법과 복용 시 유의사항을 수록한 의서로 17세기 경 발간된 것으로 추정된다. 매년 납월(臘月 : 12월)에 내의원에서 그해에 수용될 각종 상비약방을 초록한 것으로, 대부분 환약으로 가정상비약이다. 조선.. 2020. 4. 10. [조선후기/의학]약로제기도 약로제기도 (藥露諸器圖) 약로제기도(藥露諸器圖) : 증류법으로 약을 제조하는 방법을 기록하였다. 조선 후기.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4. 10. [조선후기/건축]안동 고성 이씨 탑동파 종택 안동 고성 이씨 탑동파 종택 (安東 固城李氏 塔洞派 宗宅) ★ 안동 고성 이씨 탑동파 종택(安東 固城李氏 塔洞派 宗宅) : 조선 중후기(17~18세기)에 지어진 고택으로, 조선 중기 전형적인 양반 가옥으로 자연환경과 건물을 잘 조화시킨 산간 저택이다. 전통 건축 양식이 잘 보전되어 있다. 경.. 2020. 4. 9. [조선후기/문화와예술]삼의당 김씨 부부 시비(詩碑) 삼의당 김씨 부부 시비(詩碑) ★ 삼의당 김씨(三宜堂金氏) : 조선후기 여류문인. 시문집 삼의당고(三宜堂稿)를 저술하였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4. 8. [조선후기/문화와예술]삼의당고(三宜堂稿) 삼의당고 ★ 삼의당고(三宜堂稿) : 조선후기 여류문인 삼의당 김씨의 시(時)·서(序) ·서(書)·잡지 등을 수록한 시문집. 1930년에 간행되었으며, 시 99편과 산문 19편이 실려 있다. 고려대학교 대학원 도서관 소장.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4. 8. [조선후기/건축]용인 심곡서원 용인 심곡서원 ★ 용인 심곡서원(龍仁 深谷書院) : 조선 중종 때 사림파의 영수였던 정암 조광조(1482~1519)를 주향(主享)으로 하는 서원으로 효종 원년(1650)에 설립되었다. 강당이 전면에 위치하고 사우가 뒤쪽에 배치된 조선 시대 서원의 전형적인 전학후묘(前學後廟) 형식을 갖추고 있다. .. 2020. 4. 8. [조선후기/문화와예술]삼의당 김씨 부부의 영정 삼의당 김씨 부부의 영정 전라북도 진안군 마령면 소재 ★ 삼의당 김씨(三宜堂金氏) : 조선후기 여류문인. 시문집 삼의당고(三宜堂稿)를 저술하였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4. 8. [조선후기/실학]승순사무(承順事務) 승순사무(承順事務) 최한기 저(1868) ★ 최한기(崔漢綺, 1803~1879) : 조선 후기의 실학자, 지리학자, 철학자, 사상가, 저술가이다. 기 철학론과 기 우위론을 제창하였고, 김정호 등과 함께 지도 제작에 나서기도 했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2. 8. [조선후기/정치]수호지(水滸誌) 수호지(水滸誌) ★ 수호지(水滸誌) : 중국 명대의 장편소설로 중국의 4대기서 중 하나이다. 조선 중기 이후 유입되어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으며 사대부에게는 금서(禁書)였다. 수호전(水滸傳)이라고도 한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2. 8. [조선후기/왕실문화]순조의 어릴 적 글씨 순조의 어릴 적 글씨 ★ 순조(純祖, 1790~1834, 재위 1800~1834) : 조선의 제23대 왕이자 대한제국의 추존황제. 어린 나이에 즉위하여 증조 할머니인 영조의 계비 정순왕후가 4년 동안 수렴청정 하였다. 재위 기간 동안 세도 정치로 정치 기강이 문란하였고 민란이 일어나는 등 사회적으로 혼란하.. 2020. 2. 7. [조선후기/문화와예술]숙종 어필 숙종 어필 ★ 숙종(肅宗, 1661~1720, 재위 1674~1720) : 조선의 제19대 왕. 재위기간 중 강해진 신권을 줄이기 위해 환국정치를 통해 서인과 남인간의 세력을 조절하고 왕권을 강화시켰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2. 7. [조선후기/왕실문화]수하도(왕세자입학도첩) 수하도 (왕세자입학도첩) ★ 수하도 : <왕제자입학도첩>의 일부로 입학례를 마친 왕세자가 시민당에서 하례를 받는 장면. ★ 왕세자입학도첩(王世子入學圖帖) : 1817년(순조 17) 3월 11일 성균관에서 치러진 효명세자(孝明世子, 1809~1830, 익종(翼宗)으로 추존)의 입학례를 기념한 화첩. 서.. 2020. 2. 6. [조선후기/왕실문화]수폐도(왕세자입학도첩) 수폐도 (왕세자입학도첩) ★ 왕세자입학도첩(王世子入學圖帖) : 1817년(순조 17) 3월 11일 성균관에서 치러진 효명세자(孝明世子, 1809~1830, 익종(翼宗)으로 추존)의 입학례를 기념한 화첩. 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 제307호. ★ 수폐도 : <왕제자입학도첩>의 일부로 왕세자가 박사에게 예물.. 2020. 2. 6. 이전 1 ··· 6 7 8 9 10 11 12 ··· 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