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3549 [조선/건축] 교태전 교태전 용마루가 없는 교태전의 지붕 ★ 교태전(交泰殿) : 경복궁에 있는 조선 시대 왕비의 침전으로 중궁전(中宮殿)으로도 불렀다. 왕의 침전인 강녕전 북쪽에 있으며 경복궁의 가장 안쪽에 있다. 기록에 의하면 왕비와 왕이 동침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용마루가 없는 것이 특징이다. 명칭은 주역에서 따온 것으로, 하늘과 땅의 기운이 조화롭게 화합하여 만물이 생성한다는 의미이다. 1917년, 창덕궁 대화재 이후 소실된 전각 복구를 빌미로 1918년 강녕전과 함께 해체되었다. 현재 건물은 1995년 복원한 것이다. 2025. 4. 1. [조선/건축] 경복궁의 구조(1993) 경복궁의 구조(1993) ★ 경복궁(景福宮, Gyeongbokgung Palace) : 조선 왕조의 법궁/정궁(法宮, 正宮). 사적 제 117호. 서울특별시 종로구 사직로에 자리하고 있다. 태조 3년(1394)에 한양으로 천도한 해에 짓기 시작하여 태조 4년(1395)에 완공하여 조선의 법궁이 되었다. 임진왜란(1592년)으로 불탄 이후 270여년 창덕궁이 법궁의 역할을 하였다. 고종 2년(1865) 흥선대원군의 명으로 중건되었다. 일제강점기에는 조선총독부 건설 등으로 많은 전각들이 철거 혹은 훼손되었으며, 6·25 전쟁으로 광화문을 비롯한 여러 전각이 추가로 소실되었다. 광복 이후 1968년 광화문을 복원하였고, 1980년대부터 본격적인 복원사업이 시작되었다. 1995년 조선총독부 청사를 철거하고, .. 2025. 3. 25. 갑인자로 인쇄한 국조보감 갑인자로 인쇄한 국조보감 ★ 국조보감(國朝寶鑑) : 조선의 역대 임금들의 정치 활동 가운데서 모범이 될 만한 사실을 뽑아 적은 편년체의 역사책. 세종 때 편찬 계획을 세우고 세조 3년(1457)에 태조·태종·세종·문종에 걸친 4대 보감 7권 3책을 처음으로 완성하였다. 그 뒤 숙종·영조·정조·현종 때 편찬을 계속했고, 고종 때에는 전의 것과 합하여 모두 90권 28책으로 완성되었다. 규장각 및 성균관대학교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 갑인자(甲寅字) : 조선 세종 16년(1434)에 만든 동철활자로 위부인자(衛夫人字)라고도 한다. 활자는 현존하지 않으나 인쇄본이 남아있다. 2007년 청주 고인쇄 박물관에서 활자를 복원하였다. 2025. 3. 13. [조선후기/정치] 대표적인 세도 가문 대표적인 세도 가문 (勢道家門) ★ 세도 정치(勢道政治) : 조선시대 특정 세력이 왕의 신임과 직접적인 위임(委任)을 받는 형식으로 정권을 잡고 나라를 다스리던 일. 정조 사후 본격화되었으며 안동 김씨, 풍양 조씨, 반남 박씨 등이 대표적인 세도가였다. 2025. 3. 1. [조선후기/유물유적] 제주 추사적거지 제주 추사적거지 ★ 제주 추사적거지 : 권력에서 밀려나 유배된 추사 김정희가 9년 동안 머물렀던 강도순의 집. 4.3 사건 때 불타버린 ‘김정희’가 머물던 초가집도 복원되어 있으며, 김정희의 그림과 글씨의 복제품을 전시한 이 있다. 2025. 2. 26. [조선후기/문화예술] 증 번상촌장란(김정희) 증 번상촌장란(贈樊上村庄蘭) ★ 증 번상촌장란(贈樊上村庄蘭) : 김정희가 제주도에서 유배 중에 멋 권돈인에게 그려준 묵란도(墨蘭圖)이다(1848). 번상촌장(樊上村庄)은 권동인의 별장이다. 권돈인은 이 그림을 몹시 마음에 들어했고, 시를 지어 그림 여백에 적었다. 2025. 2. 25. [조선후기/문화예술] 논갈이(김홍도) 논갈이(김홍도) ★ 김홍도(金弘道, 1745~1806) : 조선 후기의 화가. 호는 단원(檀園). 정조 시대 때 문예부흥기의 대표적인 화가. 회화의 다양한 분야에서 독자적인 화풍을 구축하였으며, 특히 풍속화가 유명하다. 2025. 1. 30. [조선후기/문화예술] 북일영도(김홍도) 북일영도(김홍도) ★ 김홍도(金弘道, 1745~1806) : 조선 후기의 화가. 호는 단원(檀園). 정조 시대 때 문예부흥기의 대표적인 화가. 회화의 다양한 분야에서 독자적인 화풍을 구축하였으며, 특히 풍속화가 유명하다. ★ 북일영(北一營) : 조선시대 훈련도감(訓鍊都監) 소속의 궁궐 호위부대의 하나로, 궁궐의 호위를 맡았던 부대의 하나이다. 2025. 1. 28. [조선후기/과학기술] 홍대용이 만든 혼천의 홍대용이 만든 혼천의 ★ 혼천의(渾天儀) : 천체 관측 기구로 태양, 달, 오행성(수성, 금성, 화성, 목성, 토성)의 위치를 측정하는 데 사용되었다. 한국에는 1433년(세종 15년)에 처음 제작되었다. ★ 홍대용(洪大容, 1731~1783) : 조선 후기의 문신, 실학자이자 과학 사상가이다. 북학파의 선구자이자, 이용후생(중상주의) 학파에 속한 실학자로 당시 굉장히 혁신적인 철학자였다. 저서로는 , 등이 있다. 2024. 12. 26. [조선후기/건축] 화홍문(수원화성) 화홍문(수원화성) ★ 화홍문(수원화성) : 대천(大川)이 성으로 들어오는 입구에 북수문을 내고 그 위에 세운 누각. 북수문은 7칸짜리 홍예문으로 만들었다. 2024. 12. 9. [조선후기/건축] 포루(수원화성) 포루(수원화성) ★ 포루(수원화성) : 골출시킨 성벽의 내부에서 적을 공격하도록 한 군사 시설물. 각 층에 군사가 머물고 3층에서는 불랑기포를 쏠 수 있다. 2024. 12. 8. [조선후기/건축] 서남암문(수원화성) 서남암문(수원화성) ★ 서남암문(수원화성) : 적들을 알지 못하나 평상시에는 백성이 자유롭게 드나들 수 있다. ‘용도’라는 화양루의 매복로와 연결된다. 2024. 12. 7. 동북공심돈(수원화성) 동북공심돈(수원화성) ★ 동북공심돈(수원화성) : 적을 살피는 척후시설로 화성에만 있는 시설물. 3층을 잇는 나선형 구조로 ‘소라각’이라는 별명이 붙었다. 2024. 12. 6. [조선후기/건축] 봉돈(수원화성) 봉돈(수원화성) ★ 봉돈(수원화성) : 봉화 연기를 피우는 돈대. 보통 때는 남쪽의 한 굴뚝에서만, 위급할 때에는 다섯 굴뚝 모두에서 연기를 피웠다. 2024. 12. 5. [조선후기/건축] 팔달문(八達門) 팔달문(八達門) ★ 팔달문(八達門) : 화성의 남문으로 사방팔방으로 길이 열린다는 뜻이다. 팔달문 주변은 삼남 지방으로 통하는 길목이어서 화성 축성 전에도 사람이 많이 오갔다. 규모와 형식은 장안문과 같다. 문 밖에 항아리 모양의 옹성(甕城)을 만들고, 방어를 위해 좌우에 적대를 세웠다. 팔달문은 도성의 문루처럼 우진각 형태의 지붕과 잡상 장식을 갖추었으며, 규모와 형식에서 조선 후기 문루 건축을 대표한다. 2013년 해체・수리하였다. 보물 제 402호. 2024. 11. 21. [조선후기/인물/실학자] 최한기 최한기 ★ 최한기(崔漢綺, 1803~1879) : 조선 후기의 실학자, 지리학자, 철학자, 사상가, 저술가이다. 기 철학론과 기 우위론을 제창하였고, 김정호 등과 함께 지도 제작에 나서기도 했다. 2024. 11. 17. [삼국문화의일본전파/고구려] 강서대묘와 다카마쓰 고분의 사신도(청룡) 강서대묘와 다카마쓰 고분의 사신도(청룡) ★ 사신도(四神圖) : 청룡, 백호, 주작, 현무를 함께 그린 그림으로, 고구려 고분 벽화에 많이 나타난다. 무덤의 사방을 수호하는 영물(靈物)로서 많이 그렸으며, 도교(道敎)의 영향을 보여준다. 쌍영총의 창룡도(蒼龍圖)와 강서대묘의 사신도가 가장 우수하고 유명하다. ★ 강서대묘(江西大墓) : 북한의 남포특별시 강서구역에 있는 고구려의 벽화 고분으로 강서삼묘 중 가장 큰 벽화고분이다(기저 지름 약 51.6m, 높이 8.86m). 외방 구조의 굴식 돌방 무덤으로 모줄임천정이다. 널방에 벽에 사신도(청룡, 백호, 주작, 현무)가 그려져 있다. 축조 시기는 7세기로 추정한다. ★ 다카마쓰 고분(高松塚古墳) : 일본 나라현 다카이치군 아스카촌에 위치한 고분으로 7세.. 2024. 10. 26. [삼국의대외교류] 아프랍시압 궁전 벽화의 고구려인 아프랍시압 궁전 벽화의 고구려인 ★ 아프라시압 궁전 벽화(Afrasiab Painting) : 1965년 우즈베키스탄의 옛 사마르칸트 지역에서 발굴된 스키타이-소그드의 대표적인 예술 유적으로, 7세기 중반의 것으로 추정한다. 서쪽 벽화의 중앙 부분에서 고구려인 두 명이 발견되었다. 고구려 특유의 복식인 조우관(鳥羽冠)을 쓰고 환두대도(環頭大刀)를 찬 모습이다. 2024. 10. 25. [삼국문화의일본전파/신라] 신라와 일본의 금동가위 신라와 일본의 금동가위 동궁과 월지(안압지)의 금동가위(왼쪽)일본 쇼쇼인의 금동가위(오른쪽) 2024. 10. 23. [청동기시대] 한국과 일본의 교류(손잡이 달린 항아리) 한국과 일본의 교류(손잡이 달린 항아리) 경기도 수석리 유적 출토 손잡이 달린 항아리(왼쪽)일본 사가현 스치우 유적 출토 손잡이 달린 항아리(오른쪽) 2024. 10. 22. 이전 1 2 3 4 ··· 1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