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선후기361

[조선후기/건축]강화 전성(江華塼城) 강화 전성 (江華塼城) ★ 강화 전성(江華塼城) : 고려 고종 때 강화로 천도한 뒤 지은 강화 외성을 조선 후기 영조 때 벽돌을 이용하여 개축하였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12. 16.
[조선후기/공예]백자 진사 포도무늬 호 백자 진사 포도무늬 호 조선 후기(18세기)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12. 10.
[조선후기/건축]화엄사 각황전 화엄사 각황전 (華嚴寺 覺皇殿) ★ 화엄사 각황전(華嚴寺 覺皇殿) : 전라남도 구례군 마산면 화엄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전. 국보 제67호. 본래 이름은 장육전으로 통일신라 시대에 건축되었으나, 임진왜란 때 소실 된 후 조선후기(인조~숙종대)에 중건되었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2019. 12. 9.
[조선후기/건축]영남루(嶺南樓) 영남루(嶺南樓) ★ 영남루(嶺南樓) : 경상남도 밀양시 내일동에 있는 누각으로 구 객사(舊客舍)의 부속건물이다. 1844년에 다시 지어진 조선시대 후기 건물의 특색을 잘 반영한다. 보물 제147호.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12. 9.
[조선후기/건축]논산 쌍계사 대웅전 논산 쌍계사 대웅전 (論山 雙溪寺 大雄殿) ★ 논산 쌍계사 대웅전(論山 雙溪寺 大雄殿) : 충청남도 논산시 양촌면 중산리에 있는 쌍계사의 대웅전. 쌍계사의 정확한 창건 연대를 알 수 없으며 조선 영조 14년(1738년)에 재중건되었다. 보물 제408호.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 2019. 12. 8.
[조선후기/사상과학문]최제우(崔濟愚) 최제우(崔濟愚) ★ 최제우(崔濟愚, 1824~1864) : 조선 말기 경주의 몰락한 양반으로 동학을 창시하였다. 동학은 유교·불교·선교 등의 교리를 종합한 민족 고유의 신앙이었고, 평등과 인본주의를 바탕으로 하는 ‘인내천(人乃天)’을 내세워 민중의 큰 호응을 얻었다. 동학 교도의 증가에 위협을 느낀 지배층은 최제우를 체포하여 처형하였다(고종 1, 1864). 1907년 신원되었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12. 7.
[조선후기/정치]세도 정치(勢道政治) 세도 정치 (勢道政治) ★ 세도 정치(勢道政治) : 조선시대 특정 세력이 왕의 신임과 직접적인 위임(委任)을 받는 형식으로 정권을 잡고 나라를 다스리던 일. 정조 사후 본격화되었으며 안동 김씨, 풍양 조씨, 반남 박씨 등이 대표적인 세도가였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 2019. 12. 7.
[조선후기/사상과학문]조선 후기의 종교 조선 후기의 종교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12. 7.
[조선후기/정치]신유박해(辛酉迫害) 신유박해 (辛酉迫害) ★ 신유박해(辛酉迫害) : 1801년(순조 1년)에 발생한 조선의 가톨릭 박해 사건. 시파·벽파의 정치 투쟁에서 벽파가 시파의 제거하기 위해 천주교 탄압을 명분으로 일으켰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12. 7.
[조선후기/정치] 삼정의 문란(三政紊亂) 삼정의 문란(三政紊亂)  ★ 삼정의 문란(三政紊亂) : 조선 후기, 정조 사후 세도정치로 국가 재정의 3대 요소인 전정(田政)·군정(軍政)·환정(還政 : 정부 보유 미곡의 대여 제도)의 문란. 이로 인하여 백성들이 큰 고통을 받았으며, 각지에서 농민 봉기가 일어났다. 2019. 12. 7.
고석 성왕 치정도 고석 성왕 치정도 고사인문화, 조선후기 ★ 고사인물화(故事人物畵) : 신화나 역사상의 특정 인물에 연유된 일화들을 주제로 하여 그린 인물화. 고사화.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12. 6.
[조선후기/문화와예술]명현 제왕 사적도 명현 제왕 사적도 고사인물화, 조선후기 ★ 고사인물화(故事人物畵) : 신화나 역사상의 특정 인물에 연유된 일화들을 주제로 하여 그린 인물화. 고사화.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12. 6.
[조선후기/문화와예술]대우치수도 대우치수도 고사인물화, 조선 후기 ★ 고사인물화(故事人物畵) : 신화나 역사상의 특정 인물에 연유된 일화들을 주제로 하여 그린 인물화. 고사화.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12. 6.
[조선후기/문화와예술]평생도(平生圖) 평생도(平生圖) ★ 평생도(平生圖) : 사람이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 기념이 될 만한 경사스러운 일들을 골라 그린 풍속화. 병풍 그림으로 많이 제작되었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12. 5.
[조선후기/문화와예술]소금 장수 소금 장수 풍속화, 조선 후기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12. 5.
도봉서원도 도봉서원도 심사정, 조선후기 ★ 심사정(沈師正, 1707년~1769) : 조선 후기의 화가. 정선의 문하에서 그림을 배었으며 조선 후기의 대표적인 화가 중 한사람이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12. 4.
[조선후기/문화와예술]십장생도(十長生圖) 십장생도 (十長生圖) ★ 십장생도(十長生圖) : 상상의 선계를 형상화한 것으로서 생명이 장구하다는 태양·산·물·돌·구름·소나무·불로초·거북·학·사슴 등 십장생(열 가지의 장생물)들을 소재로 한 그림.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12. 4.
[조선후기/문화와예술]화조도(花鳥圖) 화조도(花鳥圖) ★ 화조도(花鳥圖) : 꽃과 새를 그린 그림으로 민화 중 가장 많다. 개와 꽃은 장수, 부귀영화, 가정과 부부의 화목 등을 상징한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12. 4.
[조선후기/문화와예술]까치와 호랑이(작호도) 까치와 호랑이(작호도) ★ 작호도(鵲虎圖) : 호랑이와 까치를 소재로 하여 그린 그림. 임진왜란 무렵 명(明)에서 전래되어 17세기 경에 조선의 화풍으로 정착되었다. 19세기부터 민화로 제작되었으며, 익살스럽고 해학적인 작품이 많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12. 3.
[조선후기/문화와예술]문자도(文字圖) 문자도(文字圖) ★ 문자도(文字圖) : 조선 후기 유행한 민화 중 하나로 글자의 의미와 관계있는 고사 등의 내용을 한자 획 속에 그려 넣어 서체를 구성한 그림.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1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