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후기361 [조선후기/농업] 모내기(이앙법) 모내기(이앙법) ★ 모내기(이앙법移秧法) : 모판(못자리)에서 싹을 틔운 모를 논에 심는 농작법. 고려시대부터 시행되었으나, 가뭄으로 농사를 망칠 수 있어 조선 초기에는 금지하였다. 양란 이후 숙종 때 농업과 상공업이 발달되며 보급되기 시작하여 18세기에는 널리 보급되었다. 2019. 10. 31. [조선후기/사회] 조선 후기 신분제의 변화 조선 후기 신분제의 변화 2019. 10. 22. [조선후기/건축] 창덕궁 주합루 창덕궁 주합루 ★ 창덕궁 주합루(昌德宮 宙合樓) : 창덕궁 내 부용지 북쪽의 2측 누각 건물. 정조의 명으로 짓고(1776, 정조 1) 이곳에 규장각을 설치하였다. 보물 제1769호.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덕궁 소재. 2019. 10. 21. [조선/실학] 규합총서(閨閤叢書) 규합총서(閨閤叢書) ★ 규합총서(閨閤叢書) : 여성실학자이자 빙허각 이씨(서유구의 형수)가 여성을 위해 엮은 일종의 여성생활백과(순조 9년, 1809). 조선 후기의 생활상을 알 수 있는 사료이자 당대 한글 연구에도 중요한 자료이다. 2019. 9. 18. [세계지리/고지도]지구전후도(地球前後圖) 지구전후도 (地球前後圖) ★ 지구전후도(地球前後圖) : 1834년(순조 34년) 조선의 실학자 최한기가 제작하였고 김정호가 판각하였다. 지구도(地球圖)라고도 부른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9. 14. [세계지리/고지도] 천하도지도 천하도지도 ★ 천하도지도(天下都地圖) : 조선 실학자들이 서양 지도를 토대로 만든 세계지도로, 18세기 후반 제작된 에 포함되어 있다. 경선과 위선이 표시되어 있고 태평양을 중앙에 배치하였다. 2019. 9. 13. [근대/사상과학문]동학의 교조 신원 운동 동학의 교조 신원 운동 ★ 교조 신원 운동(敎祖伸寃運動) : 동학 교조 최제우의 신원을 회복하기 위해 동학교도가 벌인 운동. 최제우가 처형당한 뒤의 동학 교문(敎門)은 불법화되어 많은 탄압을 받았다. 2세 교주 최시형은 교세 재건에 노력하여 동학이 커다란 사회적 세력으로 확대되었으며, 교조 신원 운동으로 발전하였다. 고종 29년(1892) 동학 교도들은 전라감사에게 교조의 신원, 신앙과 교단의 자유, 탄압 중지 등을 청원하였고, 상경하여 상소를 올리기도 했으나, 정부의 탄압을 받고 해산되었다. 2017. 5. 13. [조선후기/학문과사상]천주교의 전파와 박해 천주교의 전파와 박해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7. 5. 9. [조선후기/정치행정]세도정치 시기의 비변사 인사추천 횟수 세도정치 시기의 비변사 인사추천 횟수 ★ 비변사(備邊司) : 조선시대 군국기무(軍國機務)를 관장한 문무합의기구(文武合議機構). 원래는 전쟁 등의 비상시에 설치하는 임시 관청이었으나 명종 9년(1554)에 정규 관청이 되었고 임진왜란과 정유재란을 거치며 국정 전반 아우르는 최고 기구가 되어 의정부와 6조의 기능이 약화되었다. 고종 1년(1864)에 비변사의 기능 확대가 국가행정체제를 문란하게 만든다 하여 업무 한계를 규정하고, 이듬해 폐지하였다. ★ 세도 정치(勢道政治 : 조선 왕조의 외척이 된 가문이 왕의 위임(委任)을 받아 정권을 잡고 나라를 다스리던 정치. 순조 즉위 이후(1800년) 본격화되어 정치 기강과 삼정(정전, 군정, 환곡)이 문란이 극심해져 사회 혼란이 심화되었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2017. 5. 7. [조선후기/민중봉기] 홍경래의 난 홍경래의 난 ★ 홍경래의 난(洪景來ㅡ亂) : 세도 정치에 시달리던 농민들과 부당한 차별 대우에 불만을 품어 오던 평안도 지방 사람들을 중심으로 하여, 몰락한 양반인 홍경래, 우군칙 등이 평안도에서 일으킨 농민 봉기(순조 11년~12년, 1811~1812). 홍경래는 스스로 평서대원수라 칭하고 봉기를 일으켜 청천강 이북의 8개 군을 점령하기도 하였으나 5개월만에 관군에세 토벌을 당했다. 홍경래는 총에 맞아 사망했고, 수하와 반란군 대부분은 처형당했다. 2017. 4. 1. [조선후기/경제/상업] 조선 후기의 상업 발달 조선 후기의 상업 발달 2017. 3. 29. 조선의 민속놀이와 민요 조선의 민속놀이와 민요 2017. 3. 28. [조선후기/학문과사상] 실학의 발달 실학의 발달 ★ 실학(實學) : 17세기 후반에서 19세기 전반에 걸쳐 대두된 일련의 현실개혁적 조선 유학의 학풍. 성리학이 관념적인 것에 지나치게 치우친 것을 비판하며 양반 사대부 중심 사회의 부조리를 개혁할 것을 주장하였다. 근대 이후 실학은 개화 사상으로 계승되었다. 2017. 3. 27. [조선후기/경제/농업] 조선후기의 농업(토지) 생산성 발달 조선후기의 농업(토지) 생산성 발달 2017. 3. 26. [조선후기/학문과사상] 서양 문물의 전래 서양 문물의 전래 2017. 3. 25. 조선 후기의 신분제 동요 조선 후기의 신분제 동요 2017. 3. 24. [조선후기/사회] 조선 후기 신분 구조의 변화(17세기, 대구지방) 조선 후기 신분 구조의 변화(17세기, 대구지방) 2017. 3. 23. [조선후기/국제관계] 조선후기의 사행길 조선후기의 사행길 , 18세기말, 규장각 소장. ★ 조선후기의 사행 : 조선은 청나라에 정기적으로 연행사(燕行使)라는 사신단을 보내었다. 주로 육로를 이용했는데, 거리는 1,200여km에 달했으며 50~60일이 걸렸다. 북경에는 5개월 정도 머물렀으며, 정식 사절단 30명을 포함하여 전체 일행은 2~300명 정도였다. ★ 사행(使行) : 근대 이전, 사신(使臣)이 되어 외국에 가는 일. 2017. 3. 21. [조선후기/정치행정] 대동법의 확대 대동법의 확대 ★ 대동법(大同法) : 지방의 특산물로 바치던 공납을 쌀로 통일하여 바치게 한 세금 제도. 광해군 때 시작하여 숙종 때 전국으로 확대되었으며, 고종 때까지 시행되었다. 토지의 결수에 따라 1결당 12두씩을, 쌀 생산이 어려운 지역은 삼베, 무명, 동전 등으로 납부하였다. 양반과 지주들의 반대에 경기도에서만 시행하다가, 점차 확대되어 100여년 후에 전국적으로 시행하였다. 대동법의 시행으로 국가 수입이 증대되고 농민의 부담이 크게 줄었으며, 물품을 직접 부담하던 것을 관허상인 공인이 등장하여 대동미로 물품을 구매하는 과정에서 상품 화폐 경제가 발달하였다. 또 농민층의 분화를 촉진시켰고 나아가 신분 질서를 와해시켰다. 정기적인 공납인 상공은 대동법으로 대체되었으나, 비정기인 별공과 진.. 2017. 3. 17. [조선후기/경제] 대동법과 상품화폐경제의 발달 대동법과 상품화폐경제의 발달 ★ 대동법(大同法) : 지방의 특산물로 바치던 공납을 쌀로 통일하여 바치게 한 세금 제도. 광해군 때 시작하여 숙종 때 전국으로 확대되었으며, 고종 때까지 시행되었다. 토지의 결수에 따라 1결당 12두씩을, 쌀 생산이 어려운 지역은 삼베, 무명, 동전 등으로 납부하였다. 양반과 지주들의 반대에 경기도에서만 시행하다가, 점차 확대되어 100여년 후에 전국적으로 시행하였다. 대동법의 시행으로 국가 수입이 증대되고 농민의 부담이 크게 줄었으며, 물품을 직접 부담하던 것을 관허상인 공인이 등장하여 대동미로 물품을 구매하는 과정에서 상품 화폐 경제가 발달하였다. 또 농민층의 분화를 촉진시켰고 나아가 신분 질서를 와해시켰다. 정기적인 공납인 상공은 대동법으로 대체되었으나, 비정.. 2017. 3. 16. 이전 1 ··· 15 16 17 18 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