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선후기361

[조선후기/실학] 우서(迂書) 우서(迂書)   ★ 우서(迂書) : 조선 후기 실학자 유수원이 부국안민을 이루기 위한 개혁안을 기술한 정치서. 신분제 타파와 직업의 평등, 상공업 진흥 등을 주장하였다.   ★ 유수원(柳壽垣, 1694년~1755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 실학자. 18세기 실학의 선구자로 높이 평가된다. 저서에 우서(迂書)>가 있다. 소론 급진파의 역모에 가담한 것으로 몰려 처형되었다. 1908(융희 2년) 복권되었다. 2019. 11. 15.
[조선후기/과학기술] 조선 후기의 천문학 연구 조선 후기의 천문학 연구 ★ 조선 후기에는 서양 과학의 영향을 받아 천문학이 크게 발전하였다. 정밀한 첸체관측도구를 제작하였으며, 지전설(지동설)을 주장하기도 했다. 또, 서양의 역법을 도입하기도 했다. 천문학의 발달은 지리학의 발전과 더불어 조선인의 세계관을 확장하였다. 2019. 11. 15.
[조선/인물/실학자] 박지원(朴趾源) 박지원(朴趾源)  ★ 박지원(朴趾源, 1737~1805) : 조선 후기의 문신, 실학자이자 사상가, 외교관, 소설가. 노론이었으나, 북학파(北學派)를 세워 그 영수가 되었다. 청(淸)의 선진 문물 수용과 중상주의를 주장하였다. 저서로는 열하일기>, 허생전> 등이 있다. 2019. 11. 14.
[조선후기/사상과학문/실학] 반계수록 반계수록  ★ 반계수록(磻溪隨錄) : 조선 후기의 실학자 유형원의 대표적인 저술로 국가체제에 관한 책이다. 1670년(현종 11년)에 완성되어 1769년(영조 45년)에 간행되었다. 2019. 11. 14.
[조선후기/인물/실학자] 홍대용(洪大容) 홍대용(洪大容)  ★ 홍대용(洪大容, 1731~1783) : 조선 후기의 문신, 실학자이자 과학 사상가이다. 북학파의 선구자이자, 이용후생(중상주의) 학파에 속한 실학자로 당시 굉장히 혁신적인 철학자였다. 저서로는 의산문답>, 담헌서> 등이 있다. 2019. 11. 14.
[조선/지리학]전라도무장현도(全羅道茂長懸圖) 전라도무장현도 (全羅道茂長懸圖) 조선후기(19세기)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11. 13.
[조선후기/지리학] 탐라순력도 중 한라장촉 탐라순력도 중 한라장촉  ★ 탐라순력도(耽羅巡歷圖) : 1702년(숙종 18년)에 당시 제주목사 겸 병마수군절제사였던 이형상이 제주도의 각 고을을 순회한 장면을 기록한 채색 화첩이다. 보물 제 652-6호. 국립 제주 박물관 소장. 2019. 11. 13.
[조선후기/인물/실학자] 박제가(朴齊家) 박제가(朴齊家) ★ 박제가(朴齊家, 1750~ ?) : 조선 후기의 정치가, 외교관, 통역관, 실학자로 북학파의 거두이다. 청(淸)의 선진 문물 수용과 중상주의 경제 정책을 주장하였으며 소비와 유통의 중요성을 역설하였다. 조서로는 북학의>, 무예도보통지(공저)> 등이 있다. 2019. 11. 13.
[조선후기/지리학] 남한산성 지도 남한산성 지도  ★ 남한산성 지도(작자미상) : 17세기 말 경에 제작된 남한산성 고지도. 지금의 지도와 거의 일치한다. 영남대학교박물관 소장. 2019. 11. 12.
[조선후기/지리학] 수선전도(首善全圖) 수선전도(首善全圖)     ★ 수선전도(首善全圖) : 김정호가 만든 한성부 성곽 안과 그 근처의 지도. 19세기 중반 제작(헌종 12 ~15 추정). 김정호가 제작한 목판(보물 제 835호)과 필사본 지도(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 296호)가 전한다. 2019. 11. 12.
[조선후기/지리학] 여지도(경기충청) 여지도(경기충청)  ★ 여지도 (輿地圖) : 세계지도를 비롯한 동부아시아 지도와 조선 8도의 지도 등을 수록한 지도집.제작시기가 기록되어 있지 않으나 18세기 후반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2019. 11. 12.
[조선후기/지리학] 해동팔도봉화산악지도 해동팔도봉화산악지도  ★ 해동팔도봉화산악지도(海東八道烽火山岳地圖) : 조선후기 전국의 봉수대를 그린 지도. 17세기 후반 추정. 보물 제1533호. 2019. 11. 11.
[조선후기/지리학] 동국대총도(東國大總圖) 동국대총도(東國大總圖)  ★ 동국대총도(東國大總圖) : 조선후기 지리서 여지도(輿地圖)>에 수록된 목판본 지도. 영남대 박물관 소장. 2019. 11. 11.
[조선후기/지리학] 대동여지도(한강) 대동여지도(한강) ★ 대동여지도(大東輿地) : 고산자(古山子) 김정호가 1861년 제작한 한반도의 지도이며, 지도첩이다. 근대적 측량이 이루어지기 전 제작된 한반도의 지도 중 가장 정확한 지도이다. 3건이 대한민국의 보물로 지정되어 있으며, 대동여지도 목판도 보물로 지정되었다. 2019. 11. 10.
[조선후기/지리학] 대동여지도(목판) 대동여지도(목판)  보물 제 1581호 ★ 대동여지도(大東輿地) : 고산자(古山子) 김정호가 1861년 제작한 한반도의 지도이며, 지도첩이다. 근대적 측량이 이루어지기 전 제작된 한반도의 지도 중 가장 정확한 지도이다. 3건이 대한민국의 보물로 지정되어 있으며, 대동여지도 목판도 보물로 지정되었다. 2019. 11. 10.
[조선후기/지리학] 대동여지도(전도) 대동여지도(전도)   ★ 대동여지도(大東輿地) : 고산자(古山子) 김정호가 1861년 제작한 한반도의 지도이며, 지도첩이다. 근대적 측량이 이루어지기 전 제작된 한반도의 지도 중 가장 정확한 지도이다. 3건이 대한민국의 보물로 지정되어 있으며, 대동여지도 목판도 보물로 지정되었다. 2019. 11. 9.
[조선/지리학] 동국지도(필사본) 동국지도 (필사본) 정상기 <동국지도>의 채색 필사본(18세기)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11. 9.
[고지도/조선후기] 동국지도 동국지도  동국대전도 동국지도(채색필사본) ★ 동국지도(東國地圖) : 조선 영조 때 정상기가 제작한 한국의 옛 지도. 한국 지도로는 최초로 백리척을 이용하여 축척을 나타내었으며 방위도 매우 정확하다. 동국지도는 동국대전도(東國大全圖)>와 팔도분도(八道分圖)>로 구성되었다. 동국지도>는 조선 후기에 제작된 많은 지도의 자료로 이용되었으며, 김정호가 대동여지도>를 제작할 때에도 자료로 삼았다. 동국대지도(東國大地圖)> 등의 필사본이 다수 남아있다. 2019. 11. 9.
[조선/사상과학문/실학] 곤여만국전도 곤여만국전도    ★ 곤여만국전도(坤輿萬國全圖) : 1602년에 예수회 이탈리아인 신부 마테오 리치와 명나라 학자 이지조(李之澡)가 함께 만들어 목판으로 찍어 펴낸 지도. 아시아, 유럽, 아프리카, 남북아메리카, 오세아니아, 남극이 표현되어 있다. 곤여만국전도>의 전래는 중국 중심의 세계관을 해체하는 데 큰 영향을 끼쳤다. 2019. 11. 8.
[조선후기/지리학] 지구전후도(地球前後圖) 지구전후도(地球前後圖)       ★ 지구전후도(地球前後圖) : 1834년(순조 34년) 조선의 실학자 최한기가 제작하였고 김정호가 판각하였다. 지구도(地球圖)라고도 부른다. 2019. 11.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