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5212 [근대/정변및사건]김옥균 암살 김옥균 암살 ★ 김옥균 암살 사건 : 고종 31년(1894) 조선 개화파 거물 김옥균이 청나라 상하이(上海)에서 홍종우(洪鍾宇)에 의해 저격, 피살된 사건. 2020. 7. 21. [세계지리/기후환경]북극의 빙하 감소 북극의 빙하 감소 ★ 지구 온난화(地球溫暖化, global warming, climate change) : 19세기 후반부터 시작된 전 세계적인 바다와 지표 부근 공기의 기온 상승. 대부분의 과학자들은 90% 이상의 온실 기체 농도의 증가와 화석 연료의 사용과 같은 인간의 활동에 의해 발생한 것으로 추측한다. 지구 온난화로 기온 상승, 해수면 상승, 강수량과 패턴의 변화, 아열대 사막 확장, 빙하 감소 등의 현상이 나타나며, 이것은 각종 기상 이변과 자연 재해를 유발한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7. 20. [중국사/근대]신청년 신청년 ★ 신청년(新青年, 1915~1927) : 20세기 초에 중화민국에서 발행된 잡지이자 중국공산당의 기관지. 1915년 9월에 천두슈가 월간으로 창간하였으며 베이징 대학의 잡지로 발간되다가, 1920년부터 상하이 공산주의 소조의 기관지가 되었다. 1923년부터 계간으로 바뀌어 중국공산당 정식 기관지가 되었다. 1927년 폐간되었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7. 20. [중국사/근대]장제스 장제스 ★ 장제스(蔣介石, 1887~1975) : 중화민국의 군인, 정치·군사 지도자, 중화민국 국민정부의 제2, 4대 총통 및 국부천대 이후 제1, 3대 총통(1925~1975). 1930년대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활동을 적극 후원하기도 했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7. 20. [한국지리/통일과북한]판문점 판문점 ★ 판문점(板門店) : 한국 전쟁의 정전 협상이 진행된 곳으로 현재의 판문점은 정전협정 이후 한국전쟁 포로 교환업무를 맡게 된 중립국 인도군의 막사와 포로교환장소로 사용되었던 건물이다. 정전협정 이후 유엔군과 조선인민군의 공동경비구역으로 지정되었으며,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쌍방의 행정관할권이 미치지 않는다. 1976년까지는 경계선 없이 양측 경비병과 출입자들이 자유롭게 통행할 수 있었으나, 1976년 8월 18일에 발생한 판문점 도끼 살인 사건 이후로 군사분계선을 경계로 관할 구역이 분할되었다. 2004년 유엔 사령부 군사정전위원회를 이전 용산기지에서 판문점 공동경비구역으로 이전하기로 하였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7. 20. [한국지리/통일과북한]비무장지대(DMZ) 비무장지대(DMZ) ★ 한반도 비무장 지대(韓半島非武裝地帶, Korean Demilitarized Zone, DMZ) : 한국 전쟁 이후 1953년 체결된 정전 협정에 따라 설정된 비무장 지대. 군사분계선에서부터 남북으로 각각 2 km 범위에 군사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완충지대로 설정되었으며, 어떠한 군사적인 행위도 금지된다. 다만, 비무장지대 내부의 판문점 구역은 특수한 구역으로 북한과 남한 모두가 경비를 하고 있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7. 20. [근대/개화파] 일본 망명 당시의 김옥균 일본 망명 당시의 김옥균 ★ 김옥균(金玉均, 1851~1894) : 조선 말기의 정치가, 사상가, 급진개화파. 문과 급제 후 요직을 두루 거쳤고 개화 사상 확산에 힘썼다. 임오군란 후 일본식 급진 개혁을 주장했으나, 점진적 개혁을 주장하는 외척 민씨 세력의 반대에 부딪히자 못해 갑신정변을 일으켰다(1884). 청의 개입으로 정변이 실패하자 일본으로 망명하였다가, 청일 전쟁의 발발 직전에 중국 상하이로 건너갔다가 홍종우에게 암살당했다. 2020. 7. 20. [근대/인물] 김옥균 김옥균 ★ 김옥균(金玉均, 1851~1894) : 조선 말기의 정치가, 사상가, 급진개화파. 문과 급제 후 요직을 두루 거쳤고 개화 사상 확산에 힘썼다. 임오군란 후 일본식 급진 개혁을 주장했으나, 점진적 개혁을 주장하는 외척 민씨 세력의 반대에 부딪히자 못해 갑신정변을 일으켰다(1884). 청의 개입으로 정변이 실패하자 일본으로 망명하였다가, 청일 전쟁의 발발 직전에 중국 상하이로 건너갔다가 홍종우에게 암살당했다. 2020. 7. 20. [근대/정변및사건] 갑신정변의 주역들 갑신정변의 주역들 왼쪽부터 박영효, 서광법, 서재필, 김옥균 ★ 갑신정변(甲申政變) : 1884년 12월 4일(음력 10월 17일) 김옥균·박영효·서재필·서광범·홍영식 등 개화당이 청나라에 의존하려는 척족 중심의 수구당을 몰아내고 개화정권을 수립하려 한 무력 정변. 개화당은 우정국 낙성식 때 정변을 일으키고 14개조 개혁안을 발표하였다. 민씨 정권은 청의 위안스카이에게 구원을 요청하여 청 군대를 불러들였고, 일본에 의존한 개화당의 정변은 민중의 지지를 받지 못하여 실패하고 말았다. 이후 조선을 일본과 한성 조약을 체결하고, 청 ․ 일은 텐진조약을 체결하고 조선에서 철수하였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7. 20. [세계지리/기후환경]사막화 면적 [세계지리/기후환경] 사막화 면적 ★ 사막화(沙漠化, Desertification) : 기상 변화로 인하여 수목이 말라죽고 건조한 나대지 출현 현상. 자연적인 경우도 있으나 대부분 지나친 벌채나 방화 및 경지 확대 등의 인위적 요인으로 일어난다. 아마존강 상류 지역, 아프리카 사하라 사막의 확장 등이 대표적인 예이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7. 19. [중국사/근대]쑨원과 부인 쑹칭링 쑨원과 부인 쑹칭링 ★ 쑹칭링(宋慶齡, 1893~1981) : 중화인민공화국의 정치가. 유명한 3명의 쑹(宋) 자매 중 둘째이며, 쑨원(孫文)의 부인이다. 쑨원 사후에 중국 국민단애 좌파의 중심으로 장제스와 대립하고 중국 공산당에 가담하였다. 중화인민공화국의 제2, 3대 부주석을 역임하였고, 명예주석에 추대되었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7. 19. [중국사/근대]쑨원 쑨원 ★ 쑨원(孫文, 1866~1925) : 중국의 외과 의사이자 정치가이며 신해혁명을 이끈 혁명가.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7. 19. [한국지리/통일과북한]군사분계선(휴전선) 군사분계선(휴전선) ★ 한반도의 군사 분계선(韓半島 軍事分界線, Military Demarcation Line, MDL) : 한반도의 남북을 분단하여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경계를 이루는 지도상의 선. 휴전선(休戰線)이라고 부른다. 군사분계선에서부터 남북으로 각각 2km 범위에는 군사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완충 지대인 비무장지대(DMZ)가 설정되어 있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7. 19. [한국지리/통일과북한]38선과 비무장지대 38선과 비무장지대 ★ 38선 : 광복 후 소련과 미국이 한국(한반도)를 분할 점령하며 임시로 설정한 군사분계선. 정전협정(1953) 후 고착화되었다. ★ 한반도 비무장 지대(韓半島非武裝地帶, Korean Demilitarized Zone, DMZ) : 한국 전쟁 이후 1953년 체결된 정전 협정에 따라 설정된 비무장 지대. 군사분계선에서부터 남북으로 각각 2 km 범위에 군사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완충지대로 설정되었으며, 어떠한 군사적인 행위도 금지된다. 다만, 비무장지대 내부의 판문점 구역은 특수한 구역으로 북한과 남한 모두가 경비를 하고 있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7. 19. [근대/정변및사건] 일본 공사관원들 일본 공사관원들 ★ 임오군란 때 인천으로 도주, 일본에 도착한 하나부사 공사와 공사관원 일행. 하나부사 공사는 군함과 군대를 이끌로 다시 인천에 상륙하였다. ★ 임오군란(壬午軍亂) : 고종 19년(1882) 6월 9일 훈련도감 구식 군인들의 군료분쟁(軍料紛爭)에서 발단한 정변. 군인들은 일본공사관과 개화파 관료들을 공격하였고 대원군이 재집권하였다. 조선 조정의 요청으로 청나라군이 개입하여 사태를 진압하였고, 곧 일본군도 조선에 상륙하였다. 청의 개입으로 대원군을 실각하고 청나라로 납치되었으다. 이후 조선은 청과 을, 일본과 및 을 체결하였고, 조선은 청과 일본의 각축장이 되었다. 2020. 7. 19. [근대/정변및사건] 임오군란 임오군란 ★ 임오군란(壬午軍亂) : 고종 19년(1882) 6월 9일 훈련도감 구식 군인들의 군료분쟁(軍料紛爭)에서 발단한 정변. 군인들은 일본공사관과 개화파 관료들을 공격하였고 대원군이 재집권하였다. 조선 조정의 요청으로 청나라군이 개입하여 사태를 진압하였고, 곧 일본군도 조선에 상륙하였다. 청의 개입으로 대원군을 실각하고 청나라로 납치되었으다. 이후 조선은 청과 을, 일본과 및 을 체결하였고, 조선은 청과 일본의 각축장이 되었다. 2020. 7. 19. [세계지리/기후환경]사막화의 원인 [세계지리/기후환경] 사막화의 원인 ★ 사막화(沙漠化, Desertification) : 기상 변화로 인하여 수목이 말라죽고 건조한 나대지 출현 현상. 자연적인 경우도 있으나 대부분 지나친 벌채나 방화 및 경지 확대 등의 인위적 요인으로 일어난다. 아마존강 상류 지역, 아프리카 사하라 사막의 확장 등이 대표적인 예이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7. 18. [중국사/근대]뤼순을 공격하는 일본 함대(러일전쟁) 뤼순(旅順)을 공격하는 일본 함대 (러일전쟁) ★ 러일 전쟁 : 1904년 2월 8일에 발발하여 1905년 가을까지 계속된 전쟁으로 러시아 제국과 일본 제국이 한반도에서 주도권을 쟁취하려는 무력 충돌. 일본의 승리로 전쟁이 끝난 후 포츠머스 조약을 맺었다. 일본은 조선에 대한 지배권을 확고히 하고 사할린 섬과 부속 도서 등을 할양받았으며, 랴오둥 반도 조차권, 창춘-뤼순 간 철도에 대한 권리 등을 양도받았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7. 18. 신해 혁명 발발로 도망치는 관리 신해 혁명 발발로 도망치는 관리 ★ 신해혁명(辛亥革命) : 1911년 청나라를 무너뜨리고 중화민국을 성립시킨 중국의 혁명.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7. 18. [한국지리/통일과북한]북한의 행정 구역(현재) 북한의 행정 구역(현재)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7. 18. [한국지리/통일과북한]북한의 행정구역 변화 북한의 행정구역 변화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7. 18. [근대/위정척사운동] 최익현 최익현 ★ 최익현(崔益鉉, 1834~1907) : 조선 말기와 대한제국의 정치인, 독립운동가. 위정척사운동의 대표적 인물로 개항과 개화에 반대하였다. 을사늑약(1905) 체결에 반대하며 항일의병운동을 하였으며, 일본에 체포되어 대마도(쓰시마)에서 사망하였다. 2020. 7. 18. [근대/위정척사운동] 이항로 이항로 ★ 이항로(李恒老, 1792~1868)는 조선의 유학자이자 문신. 관직에 나가지 않고 후진을 양성하였다. 최익현의 스승이다. 위정척사를 주장한 재야 유학자의 대표적 인물이다. 2020. 7. 18. [한국지리/통일과북한]북한의 지형 북한의 지형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7. 17. [세계지리/기후환경]사하라 사막의 확장 [세계지리/기후환경] 사하라 사막의 확장 ★ 사막화(沙漠化, Desertification) : 기상 변화로 인하여 수목이 말라죽고 건조한 나대지 출현 현상. 자연적인 경우도 있으나 대부분 지나친 벌채나 방화 및 경지 확대 등의 인위적 요인으로 일어난다. 아마존강 상류 지역, 아프리카 사하라 사막의 확장 등이 대표적인 예이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7. 17. [중국사/근대]호북군 정부 수립 호북군 정부 수립 ★ 호북군 정부 수립 : 1911년 10월 10일 일어난 무창 신군을 중심으로 봉기를 일으킨 혁명군은 무창, 한양, 한구 등 무한 삼진을 장악하고 10월 11일 무창에서 호북군 정부를 수립하였다. 사진은 호북군 정부 수립 당시의 기념 촬영으로, 군 청부 청사 앞에 세워진 십팔성기는 변경 지역을 제외한 본토 18개 성을 의미한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7. 17. [중국사/근대]중국의 군벌 풍자도 중국의 군벌 풍자도 ★ 중국의 군벌 : 군대의 수령으로 병력을 갖고 지방에 할거하여 반봉건적인 영주로서 권력을 행사하였다. 위안스카이, 장쭤린, 돤치루이가 대표적인 군벌이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7. 17. [한국지리/통일과북한]북한의 위치 북한의 위치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7. 17. [근대/열강의침략]어재연 장군기 반환 어재연 장군기 반환 ★ 어재연 장군기 : 1871년 신미양요 때 강화도를 수비하던 조선군 지휘관이었던 어재연 장군이 사용한 군기. 미군이 전리품으로 강탈한 후 미국 아나폴리스의 해군사관학교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었으나, 현재 반환되어 강화박물관에서 전시되고 있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7. 17. [근대/인물] 김홍집 김홍집 ★ 김홍집(金弘集, 1842~1896) :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사상가, 정치가. 1880년 수신사 일행으로 일본을 방문한 뒤, 신문물을 견학하고 돌아와 개화, 개항의 중요성을 역설하였다. 갑신정변(甲申政變, 1884) 진압 후 전권대신(全權大臣)이 되어 한성조약(漢城條約)을 체결하였다. 그 뒤 1896년 관제 개정 이후 동학 농민 운동을 진압하기 위해 끌어들인 일본측의 지원으로 총리대신이 되었으며, 총리대신 재직 중 신분제 폐지, 단발령 등을 강행하는 한편, 함께 일본의 도움으로 개혁, 개방을 단행한 뒤에는 친일파로 몰려 아관파천 때 을미사변과 단발령에 분노한 백성들에게 살해당하였다. 2020. 7. 17. 이전 1 ··· 39 40 41 42 43 44 45 ··· 17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