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5211

[세계지리/기후환경]굶주린 북극곰 굶주린 북극곰 기후 변화로 먹이가 부족해져 굶주린 북국곰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7. 24.
[한국지리/통일과북한]남북한의 지하자원 북한의 지하자원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7. 24.
[한국지리/통일과북한]북한의 지하 자원 북한의 지하 자원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7. 24.
[개화기/열강의침략]청일 전쟁 풍자화 청일 전쟁 풍자화 ★ 청일 전쟁(淸日戰爭) : 청나라와 일본이 조선의 지배권을 놓고 1894년 7월 25일부터 1895년 4월까지 벌인 전쟁. 전쟁은 일본이 승리하였고 청 ․ 일 양국은 시모노세키 조약을 체결하였다. 청은 조선에 대한 지배권을 상실하고 일본은 더욱 노골적으로 조선 침략을 추진하였다. 또한, 일본에 배상금 2억 냥(兩)을 지불하였고, 랴오둥 반도·타이완, 펑후 제도 등을 할양 및 일본에 할양 및 통상상의 특권을 부여하였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7. 24.
[근대/정변및사건] 사발통문 사발통문 ★ 사발통문(沙鉢通文) : 어떤 일을 함께 하고자 하는 사람 이름을 사발 모양으로 둥글게 삥 돌려 적어, 같은 뜻을 가진 다른 사람을 모으기 위해 널리 알리는 문서. 조선 후기에 주로 쓰였으며, 정치적 행동을 조직하는 데 자주 활용되자, 조선 정부는 임오군란이 일어난 뒤부터는 사발통문을 돌리기만 해도 역모로 처벌했다. 특히 동학 농민 운동 때 동학군들이 사용하였던 통문이 유명하다. 1893년 11월 고부군 서부면 죽산리(현재 정읍군 고부면 신중리 주산마을) 송두호의 집에서 전봉준 등 20명이 모여 고부 농민 항쟁을 계획하고 그 결의를 서명하여 각 리의 집강에게 돌렸는데, 1968년 12월 세상에 공개되면서 고부농민항쟁이 혁명적 거사 계획에서 치밀하게 진행되었음을 알려주게 되었다. 저작권 문제가 .. 2020. 7. 24.
[근대/정변및사건] 우금치 전투에 패해 체포된 농민군 우금치 전투에 패해 체포된 농민군 ★ 우금치 전투(牛禁峙戰鬪) : 동학 농민 운동 때 일어난 대전투로 이 전투에서 농민군이 결정적으로 패배하여 농민군 해산과 진압의 원인이 되었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7. 24.
[세계지리/기후환경]수몰 위기에 처한 몰디브 수몰 위기에 처한 몰디브 ★ 몰디브 공화국(Republic of Maldives) : 남아시아 인도양에 있는 섬나라. 인도와 스리랑카 남서쪽에 있다. 남북으로 길게 늘어선 26개의 환초로 이루어져 있다. 현대 지구 온난화로 수몰 위기에 처해 힜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7. 23.
[중국사/근대]타이완 총독부 타이완 총독부 ★ 타이완 총독부(臺灣總督府) : 청일 전쟁의 결과로 청나라로부터 할양된 타이완을 통치하기 위하여 설치된 일본 제국의 식민 통치 기관. 중앙 기관 소재지는 타이베이 시(臺北市)이며, 1895년 5월 10일에 설치되어 1945년 10월 25일에 폐지되었다. 타이완 총독부의 청사는 현재 중화민국 총통부로 사용되고 있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7. 23.
[중국사/근대]난징대학살 난징대학살 ★ 난징 대학살(南京大屠殺. 1937년 12월 ~ 1938 2월) : 중일 전쟁 때 중화민국의 수도인 난징을 점령한 일본이 군대를 동원해 중국인을 무차별 학살한 사건. 약 30만~100만명의 중국인들이 학살되었으며, 학살 이후 생체실험을 자행하였다. 서구권에서는 아시아 홀로코스트라고도 한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7. 23.
[한국지리/통일과북한]북한의 옥수수 수확 북한의 옥수수 수확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7. 23.
[한국지리/통일과북한]평양직할시 평양직할시 ★ 평양직할시(平壤直轄市)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 도시의 중심으로 대동강이 흐르며, 넓은 충적 평야가 발달하였다. 역사적으로 고조선, 고구려의 수도였고, 고려 때에는 서경이라고 불렸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7. 23.
[개화기/정변및사건]체포된 전봉준 체포된 전봉준 ★ 전봉준(全琫準, 1855~1895) : 조선의 농민 운동가이자 동학의 종교 지도자, 동학 농민 운동 당시의 남접의 지도자. 녹두장군(綠豆將軍)으로 불리기도 했다. 1894년 2월 탐관오리 고부 군수 조병갑을 몰아내고 1차 봉기를 주도하였으나 조정의 회유책으로 해산했다가, 3월 안핵사로 파견된 이용태(李容泰)가 동학 농민군과 농민을 처단하자 다시 봉기를 일으켰다. 옛 부하의 밀고로 체포되어 1895년 4월 처형되었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7. 23.
[근대/정변및사건] 집강소 집강소 ★ 집강소(執綱所) : 전주 화약 이후 동학 농민군이 전라도 일대에 조직한 농민 자치 조직. 1894년 동학 농민군이 전주성을 점령한 뒤 난을 진압한다는 명분으로 군대를 파견한 청나라와 일본군의 철병을 원한 조선정부와 전주화약을 맺은 후 호남 지방 각 군현에 설치하여 중요한 재판이 있을 때 농민들이 참여할수있는 농민 자치 기구이자 개혁 기구이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7. 23.
[개화기/정변및사건]동학농민운동 동학농민운동 ★ 동학농민운동(東學農民運動) : 1894년 동학 지도자들과 동학 교도 및 농민들에 의해 일어난 백성의 무장 봉기. 동학 농민 전쟁(東學農民戰爭)이라고도 한다. 크게 1894년 음력 1월의 고부 봉기(1차)와 음력 4월의 전주성 봉기(2차)와 음력 9월의 전주·광주 궐기(3차)로 나뉜다. 동학농민군을 진압하기 위해 민씨 정권에서는 청나라군과 일본군을 번갈아 끌어들여 결국, 농민 운동 진압 후 청일 전쟁의 직접적인 원인이 되었다. 한편, 갑오개혁(1894)에 농민들의 요구가 반영되어 신분제 및 전근대적 구습이 폐지되는 결과를 이끌어내었다. 아래로부터의 반봉건 ․ 반외세 운동으로 평가한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7. 23.
[세계지리/기후환경]몰디브의 수중 국무회의 몰디브의 수중 국무회의 수몰 위기에 처한 몰디브의 현실을 알리기 위한 퍼포먼스 ★ 몰디브 공화국(Republic of Maldives) : 남아시아 인도양에 있는 섬나라. 인도와 스리랑카 남서쪽에 있다. 남북으로 길게 늘어선 26개의 환초로 이루어져 있다. 현대 지구 온난화로 수몰 위기에 처해 있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7. 22.
[중국사/근대]국공 내전 군사력 비교 국공 내전 ★ 국공 내전(國共内戰) : 1927년 이후 중국 국민당과 중국 공산당 사이에 중국 재건을 두고 일어난 두 차례의 내전.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7. 22.
[중국사/근대]국민당군 국민당군 ★ 중국 국민당(中國國民黨) : 중화민국의 정당. 1894년에 홍콩에서 결성된 '흥중회', 1905년에 결성된 '중국동맹회', 1914년 일본 도쿄에서 결성된 '중화혁명당'을 계승 발전하여 현재의 형태로 완성되었다. 신해혁명의 주요 인물이었던 쑨 원과 중화민국의 총통이었던 장제스가 이 당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7. 22.
[한국지리/통일과북한]북한의 강수량 북한의 강수량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7. 22.
[한국지리/통일과북한]북한의 1월 평균 기온 북한의 1월 평균 기온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7. 22.
[근대/열강의침략]일본인에게 발급된 여권 일본인에게 발급된 여권 ★ 일본인에게 발급된 여권 : 1898년 인천감리서에서 발행한 여권으로 일본인이 조계지 외의 지역에서도 여행할 수 있는 혜택을 주고 있음을 보여준다. 실상은 일본 영사 마음대로 발행하고 인천 감리서는 형식적 승인만 하였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7. 22.
[근대/정변및사건]청에 납치된 흥선대원군과 위안스카이 청에 납치된 흥선대원군과 위안스카이 ★ 갑신정변(甲申政變) : 1884년 12월 4일(음력 10월 17일) 김옥균·박영효·서재필·서광범·홍영식 등 개화당이 청나라에 의존하려는 척족 중심의 수구당을 몰아내고 개화정권을 수립하려 한 무력 정변. 개화당은 우정국 낙성식 때 정변을 일으키고 14개조 개혁안을 발표하였다. 민씨 정권은 청의 위안스카이에게 구원을 요청하여 청 군대를 불러들였고, 일본에 의존한 개화당의 정변은 민중의 지지를 받지 못하여 실패하고 말았다. 이후 조선을 일본과 한성 조약을 체결하고, 청 ․ 일은 텐진조약을 체결하고 조선에서 철수하였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7. 22.
[근대/근대유적유물]옛 우정국 건물 옛 우정국 건물 ★ 우정총국(郵政總局) : 은 조선시대 후기 우체업무를 담당하던 관청. 한국 최초의 우체국. 고종 21년(1884) 12월 4일 우정총국 청사의 낙성 및 개설 축하연을 이용해 개화파들이 갑신정변(甲申政變)을 일으켜 폐지되었으나, 1885년까지 실질적인 우편 업무는 하였다. 옛 청사 건물은 는 서울시 종로구에 있으며 사적 제213호이다. 2020. 7. 22.
[세계지리/기후환경]북극권의 빙하 감소 북극권의 빙하 감소 ★ 지구 온난화(地球溫暖化, global warming, climate change) : 19세기 후반부터 시작된 전 세계적인 바다와 지표 부근 공기의 기온 상승. 대부분의 과학자들은 90% 이상의 온실 기체 농도의 증가와 화석 연료의 사용과 같은 인간의 활동에 의해 발생한 것으로 추측한다. 지구 온난화로 기온 상승, 해수면 상승, 강수량과 패턴의 변화, 아열대 사막 확장, 빙하 감소 등의 현상이 나타나며, 이것은 각종 기상 이변과 자연 재해를 유발한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7. 21.
[중국사/근대]5.4 운동 5.4 운동 ★ 5.4 운동(1920) : 조선의 3.1 운동(1919년)과 러시아 혁명(1917년) 등의 영향을 받아 중국에서 확산한 반제국주의·반봉건주의 혁명운동. 1차대전 종전 후 열린 파리강화회의에서 일본의 산둥 지배권과 21개조 요구 등의 불평등 조약을 승인하고, 중국 정부가 이것을 수용하자 북경을 비롯한 전국에서 격렬한 반일 시위가 일어났다. 2개월에 걸친 시위 끝에 중국 정부는 이 조약을 거부하였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7. 21.
[중국사/근대]21개조 요구 21개조 요구 ★ 21개조 요구 : 1915년 1월 18일 제1차 세계 대전 중 일본 제국이 중국에 대해 요구한 21가지 특혜조건. 1차 대전 종전 후 파리 강화회의에서 일본은 산둥의 지배권과 21가지 특혜를 요구하였고 전승국은 이를 승인하였다. 중국에서는 이에 반발하여 5.4운동과 같은 격렬한 반일운동이 일어나 중국 정부가 일본의 요구를 거부하였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7. 21.
[한국지리/통일과북한]금강산 금강산 ★ 금강산(金剛山)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 강원도 금강군 · 고성군 · 통천군에 걸쳐있는 산. 대한민국의 강원도 속초시와는 약 50 km 떨어져 있다. 예로부터 국내외에 아름답기로 유명하여, 대대로 많은 예술가들의 표현 대상이 되었다. 1998년부터 외부에 개방되었고, 1989년부터 대한민국 국민도 관광이 가능하게 되었으나 2008년 7월 11일에 금강산 관광객 피격 사망 사건이 일어나 금강산 관광이 중단되었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7. 21.
[한국지리/통일과북한]개마고원 개마고원 ★ 개마고원(蓋馬高原)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에 위치한 고원. 마천령산맥과 낭림산맥 및 부전령산맥으로 둘러싸인 약 4만km2 넓이의 고원으로서 한국에서 제일 넓은 고원이다. 고원의 높이는 700~2,000m이며 남쪽에서 북으로 경사져 있다. 이렇게 높고 넓기 때문에 ‘한국의 지붕’이라고 불린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7. 21.
[근대/인물]홍영식 홍영식 ★ 홍영식(洪英植, 1856~1884) : 조선 말기의 문신, 외교관, 시인. 관료로 활동하다 일본과 미국에 다온 뒤 근대 문물 도입과 개화사상 전파에 힘썼다. 김옥균 등과 갑신정변(1884)에 가담하였다가 처형되었다. 2020. 7. 21.
[근현대/독립운동가] 서재필 서재필 ★ 서재필(徐載弼, 1864~1951) : 조선의 문신, 대한제국의 정치인, 언론인이자, 미국 국적의 대한제국 독립운동가, 의사. 미국에서 병리학자, 의사, 시인, 소설가로 활동하였다. 관직에 있다가 일본으로 유학을 다녀왔다. 귀국 후, 김옥균, 박영효 등과 갑신정변을 일으켰으나 실패하고 미국으로 망명하였다. 1895년 김홍집 내각에 초빙되어 귀국하였고, 1896년 을 발간하였고 독립 협회를 설립하여 활동하였으나 개화사상을 견제하던 대한제국 정부에 의해 추방되었다. 미국에서 의사로 활동하며 경술국치 이후 한국의 독립운동을 지원하기도 하고 재미 한국인 지도자로 활동했다. 광복 직후 미군정의 요청으로 귀국하여 미군정과 과도정부의 고문을 맡았다. 1948년 미국으로 출국하여 1951년 사망하였다. 2020. 7. 21.
[근대/정변및사건]김옥균 암살 김옥균 암살 ★ 김옥균 암살 사건 : 고종 31년(1894) 조선 개화파 거물 김옥균이 청나라 상하이(上海)에서 홍종우(洪鍾宇)에 의해 저격, 피살된 사건. 2020. 7.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