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5211

[근대/대한제국및황실]덕수궁 배치도 덕수궁 배치도 ★ 덕수궁(德壽宮) : 서울 중구 정동(貞洞)에 있는 조선과 대한제국의 궁궐. 본래 이름은 경운궁(慶運宮)이다. 1907년(순종 1) 순종 즉위 후 궁호가 경운궁에서 덕수궁으로 개명되었다. 1611년 ~ 1615년에는 조선의 정궁이었고 1897년 ~ 1907년에는 대한제국의 황궁이었다. 원래는 월산대군의 사저였으나, 임진왜란 이후 선조가 임시로 거처로 쓰면서 궁이 되었다. 광해군이과 인조가 이곳에서 즉위하였고, 고종이 황제로 즉위하였다. 1897년(고종 34) 고종이 러시아 공사관에서 이 궁으로 거처를 옮기면서 궁궐다운 전각들을 갖추게 되었다. 1904년 큰 화재로 전각 대부분이 소실되었으나 여러 전각을 중건하였다. 원래의 면적은 현재보다 넓었으나,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축소되었다. 사적 .. 2020. 7. 4.
[근대/경제]맹인 점집 광고 맹인 점집 광고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7. 4.
[근대/경제]대구약령시(1,900년 전후) 대구약령시(1,900년 전후) ★ 대구 약령시(大邱藥令市) : 조선 후기(1658)에 개시되어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는 대구의 한약재 시장. 조선 후기 경상감영 내 객사 주변에서 열렸고, 대구읍성이 철거된 후 1908년에 약전골목(남성로)으로 이전하였다. 발생 때부터 8·15 광복 후 얼마 동안까지 봄, 가을에 연 계절시장이었고, 현대에 이르러 상설시장으로 변모하였다. 매년 5월 대구광역시청이 주관하는 대구약령시한방문화축제가 개최되고 있다. 2020. 7. 4.
[근대/건축]덕수궁 석조전 동관 덕수궁 석조전 동관 ★ 덕수궁 석조전 동관(德壽宮 石造殿 東官) : 대한제국기 동안에 지어진 것으로, 한국에서 가장 오래된 신고전주의 양식의 3충 석조 건물이다. 구한말 총세무사 브라운의 권유로 영국인 하딩(J. R. Harding)이 설계하고 심의석(한국인), 사바틴(러시아인), 오가와(일본인), 데이비슨(영국인) 등이 감독으로 1900년 기공하여 1909년 준공했다. 그리스 건축을 조형(祖型)으로 르네상스 양식을 가미한 이른바 콜로니얼 스타일(식민지 양식) 건물로서 같은 모양의 건물이 18세기 이후 영국 식민지의 여러 곳에 세워진 바 있다. 대한제국의 고종황제가 집무실과 외국사신들의 접견실로 사용할 목적에서 지어졌는데, 지하는 시종들이 대기하고, 1층 황제의 접견실, 2층 황제와 황후의 침실과 응접실.. 2020. 7. 3.
[근대/대한제국및황실]덕수궁 중화전 덕수궁 중화전 ★ 덕수궁 중화전(德壽宮 中和殿) : 덕수궁의 정전(正殿). 1902년 지었으나, 1904년 화재로 다시 지었다. 돌마당에는 문무백관의 지위와 위치를 나타낸 품계석이 세워져 있다. 원래 중화전 주변으로 회랑이 있었으나 일제강점기 때 철거되었으며, 현재 중화문 동쪽에 일부가 남아 있다. 보물 819호.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7. 3.
[근대]동십자각 동십자각 위 : 밖, 아래 : 안 ★ 동십자각(東十字閣) : 경복궁 동남쪽 모서리에 설치했던 망루. 서십자각과 짝으로 이루었으나 서집자각은 1915년 일제가 철거하였다. 사적 117호(경복궁 부속). 2020. 7. 3.
[근대]숙정문의 모습 숙정문의 모습 ★ 숙정문(肅靖門) : 숙청문(肅淸門)으로도 불린다. 조선의 수도인 한양의 4대문(大門) 중의 하나로 북쪽의 대문이다. 사람의 출입이 거의 없는 험준한 산악지역에 위치해 실질적인 성문 기능은 하지 않았다. 1396년(태조 5년) 9월 다른 성문과 함께 완공되었다. 목조 누각은 소실되었던 것을 1976년에 복원한 것이다. 1.12 사태 이후 일반인의 접근을 금지하였다가 2006년 개방하였다. 2020. 7. 2.
[개화기]돈의문의 모습(1880년대) 돈의문의 모습(1880년대) ★ 돈의문(敦義門) : 조선의 수도인 한양의 4대문(大門) 중의 하나로 서쪽의 대문이다. 근대 이후부터 서대문(西大門)으로도 불린다. 한양도성의 축조와 함께 1396년에 건립되었으나 1915년 일제가 철거하였다. 현재 돈의문 자리에 구조물을 설치해 놓았다. 2020. 7. 2.
[근대]숭례문의 모습 숭례문의 모습 ★ 숭례문(崇禮門) : 조선의 수도인 한양의 4대문(大門) 중의 하나로 남쪽의 대문으로 남대문(南大門)이라고도 부른다. 조선 태조 5년(1369)에 준공하였고 여러 차례 보수하였다. 현재의 숭례문은 2008년 방화로 불탄 것을 복원한 것이다(2013). 2020. 7. 2.
얼굴 17 얼굴 17 2020. 7. 1.
[조선후기/문화와예술]회혼례(평생도) 회혼례(평생도) ★ 평생도(平生圖) : 사람이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 기념이 될 만한 경사스러운 일들을 골라 그린 풍속화. 병풍 그림으로 많이 제작되었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7. 1.
[조선후기/문화와예술]회갑(평생도) 회갑(평생도) ★ 평생도(平生圖) : 사람이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 기념이 될 만한 경사스러운 일들을 골라 그린 풍속화. 병풍 그림으로 많이 제작되었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7. 1.
[조선후기/문화와예술]지사(평생도) 지사(평생도) ★ 평생도(平生圖) : 사람이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 기념이 될 만한 경사스러운 일들을 골라 그린 풍속화. 병풍 그림으로 많이 제작되었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7. 1.
[조선후기/문화와예술]판서 승진(평생도) 판서 승진(평생도) ★ 평생도(平生圖) : 사람이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 기념이 될 만한 경사스러운 일들을 골라 그린 풍속화. 병풍 그림으로 많이 제작되었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6. 30.
[조선후기/문화와예술]삼일유가(평생도) 삼일유가(평생도) ★ 평생도(平生圖) : 사람이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 기념이 될 만한 경사스러운 일들을 골라 그린 풍속화. 병풍 그림으로 많이 제작되었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6. 30.
[조선후기/문화와예술]혼례(평생도) 혼례(평생도) ★ 평생도(平生圖) : 사람이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 기념이 될 만한 경사스러운 일들을 골라 그린 풍속화. 병풍 그림으로 많이 제작되었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6. 30.
[조선후기/문화와예술]서당(평생도) 서당(평생도) ★ 평생도(平生圖) : 사람이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 기념이 될 만한 경사스러운 일들을 골라 그린 풍속화. 병풍 그림으로 많이 제작되었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6. 29.
[조선후기/문화와예술]돌잔치(평생도) 돌잔치(평생도) ★ 평생도(平生圖) : 사람이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 기념이 될 만한 경사스러운 일들을 골라 그린 풍속화. 병풍 그림으로 많이 제작되었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6. 29.
[조선후기/문화와예술]회혼례도(풍속화) 회혼례도 조선 후기 ★ 회혼례(回婚禮) : 혼례 60년을 축하하는 기념 잔치.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6. 29.
해넘이 101 해넘이 101 2020년 6월 12일 2020. 6. 28.
[조선후기/문화와예술]과거합격 행차(평생도) 과거합격 행차(평생도) 조선 후기 ★ 평생도(平生圖) : 사람이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 기념이 될 만한 경사스러운 일들을 골라 그린 풍속화. 병풍 그림으로 많이 제작되었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6. 28.
[조선후기/문화와예술]사시장춘(풍속화) 사시장춘(四時長春) 작자미상, 조선 후기,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6. 28.
[조선후기/문화와예술]바느질(풍속화) 바느질 조영석, 조선 후기 ★ 조영석(趙榮祏, 1686~1761) : 조선 후기의 화가, 시인, 서예가. 산수와 인물에 뛰어나서 정선, 심사정(沈師正)과 함께 삼재(三齋)로 일컬어졌다. 또 시와 서예에도 능하여 그림과 함께 삼절(三絶)이라 불리었다. 작품으로 , , 등이 있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6. 28.
붉은 수국 붉은 수국 2020. 6. 27.
[중국사/근대]사저참양도 사저참양도 ★ 사저참양도 : 의화단 봉기 당시의 그림. 돼지는 예수를 양은 기독교도를 상징하여, 중국인이 이들을 죽이는 모습을 묘사하고 있다. 당시 중국인들의 서구 세력에 대한 증오가 컸음을 알 수 있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6. 27.
[조선후기/문화와예술]짝짓기(풍속화) 짝짓기 작자미상 조선 후기(19세기) ★ 무산쾌우첩(巫山快遇帖) : 조선 후기 춘화(春畵)를 모음 화첩.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6. 27.
[조선후기/문화와예술]이원기로회도 이원기로회도 ★ 이원기로회도(梨園耆老會圖) : 조선 후기(1730년) 이원(梨園 : 조선시대 궁중음악을 맡아보던 기관)에서 열린 장악원 전임 및 현 관원, 관련자의 계회도.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6. 27.
[조선후기/문화와예술]수계도권(부분) 수계도권(부분) 유숙, 조선 후기(1853) ★ 수계도권(水禊圖卷) : 조선 후기의 화가 유숙이 30여명의 중인이 개최한 수계(삼짇날 봄을 맞이하는 행사)를 그린 그림 ★ 유숙(劉淑, 1827∼1873) : 조선 말기의 화가. 도화서의 화원을 지냈으며 산수화를 비롯해 꽃·새 등을 정묘하고 아름답게 잘 그렸다. , , 등이 있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6. 27.
다리 너머 풍경 다리 너머 풍경 2020. 6. 26.
[중국사/근대]의화단 운동 의화단 운동 ★ 의화단 운동(義和團運動) : 청나라 말기(1899~1901), 서구열강의 침입이 본격화 되자 "부청멸양"을 구호로 내걸고 산둥 지방, 화베이 지역에서 의화단이 일으킨 외세 배척 운동. 서태후를 비롯한 수구 세력은 의화단을 이용하여 열강에 압력을 가하려 했다. 1900년 6월에 의화단이 베이징에 있는 외국 공관을 포위 공격하자 서태후는 열강에 선전 포고하였고, 이에 러시아, 일본, 독일, 영국, 미국, 이탈리아, 오스트리아, 프랑스 8개국이 파병해서 베이징을 비롯해 양쯔 강 이북 지역을 대부분 점령했다. 열강은 청 왕조와의 협상하여 신축 조약(베이징 의정서, 1901)를 체결하였는데, 청나라가 열강에 거액의 배상금을 지급하고 열강의 중국 내 군대 주둔권을 인정하는 것이었다. 이 사건으로 인.. 2020. 6.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