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5211

[조선후기/문화와예술]악사(풍속화) 악사 조선 후기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6. 26.
[조선후기/문화와예술] 점 치는 맹인 조선 후기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6. 26.
[조선후기/문화와예술]맹인(풍속화) 맹인 조선 후기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6. 26.
[세계지리/지형형성]대륙 이동 대륙 이동 ★ 대륙 이동설(大陸 移動說, Continental drift theory) : 독일의 기상학자인 알프레트 베게너가 제창한 학설로, 원래 하나의 초대륙으로 이뤄져 있던 대륙들이 점차 갈라져 이동하면서 현재와 같은 대륙들이 만들어졌다는 이론이다. 그러나, 베게너는 대륙 이동의 원동력을 설명할 수 없어 그의 학설은 학계로부터 인정받지 못했으나, 이후 다른 학자들에 의해 맨틀의 대류로 제시되었으며, 대륙 이동설은 판 구조론으로 발전하였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6. 25.
[중국사/근대]열강의 중국 분할 풍자도 열강의 중국 분할 풍자도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6. 25.
[조선후기/문화와예술]수성노인도 수성노인도 ★ 수성노인도(壽星老人圖) : 인간의 수명과 장수를 관장하는 노인성의 화신인 수노인을 형상화한 그림. 머리가 길고 몸이 짧은(長頭短信) 신선의 모습으로 그려진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6. 25.
[조선후기/문화와예술]무당의 배송(풍속화) 무당의 배송 조선 후기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6. 25.
[조선후기/문화와예술]병을 쫓기 위한 무당의 굿(풍속화) 병을 쫓기 위한 무당의 굿 조선후기, 출전 : 무당 내력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6. 25.
[세계지리/기후]유럽의 빙하기 유럽의 빙하기 ★ 빙하기(氷河期, ice age) : 지구의 기온이 오랜 시간 동안 하강하여 남북 양극과 대륙, 산 위의 얼음층이 확장되는 시기. 오랫동안 빙기와 간빙기(間氷期, interglacial period)를 반복하였는데 마지막 빙하기는 10000년 전에 종료되었다고 본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6. 24.
[중국사/근대]상하이의 조계 상하이의 조계 ★ 조계(租界, concessions in China) : 청나라(중국)에 있었던 외국인이 행정자치권이나 외법권을 가지고 거주한 조차지. 1840년 아편 전쟁의 패배로 체결된 불평등 조약에 의해 중국 대륙 각지의 조약항에 설치되었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6. 24.
[조선후기/문화와예술]나물캐는 여인 나물캐는 여인 조선 후기, 윤두서 ★ 윤두서(尹斗緖, 1668∼1715) : 조선 후기의 화가. 윤선도의 증손으로 출사하지 않고 학문에 전념하였다. 글씨와 그림에 뛰어나 조선 후기의 화단의 선구자로 평가받으며 조선의 ‘3재(三齋)’라 불린다. 작품으로 , , 등이 있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6. 24.
[조선후기/문화와예술] 기방쟁웅(김홍도) 기방쟁웅   ★ 김홍도(金弘道, 1745~1806) : 조선 후기의 화가. 호는 단원(檀園). 정조 시대 때 문예부흥기의 대표적인 화가. 회화의 다양한 분야에서 독자적인 화풍을 구축하였으며, 특히 풍속화가 유명하다. 2020. 6. 24.
[조선후기/문화와예술]기녀도 기녀도 조선 후기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6. 24.
[세계지리/기후]마지막 빙하기 마지막 빙하기 ★ 빙하기(氷河期, ice age) : 지구의 기온이 오랜 시간 동안 하강하여 남북 양극과 대륙, 산 위의 얼음층이 확장되는 시기. 오랫동안 빙기와 간빙기(間氷期, interglacial period)를 반복하였는데 마지막 빙하기는 10000년 전에 종료되었다고 본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6. 23.
[중국사/근대]원명원의 약탈 문화재 원명원의 약탈 문화재 ★ 제 2차 아편전쟁 때 서구 열강이 약탈한 원명원의 문화재로 십이지신상 중 쥐와 토끼의 두상이다. 2009년 프랑스 경매의 매물로 나와 양국의 외교 갈등을 빚었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6. 23.
[조선후기/문화와예술]대쾌도(유숙) 대쾌도 위 : 전체, 아래 : 부분 조선 후기, 유숙 ★ 대쾌도(大快圖) : 조선 말기의 화가 유숙(劉淑)이 그린 것으로 전하는 풍속화. 서울대학교박물관 소장. ★ 유숙(劉淑, 1827∼1873) : 조선 말기의 화가. 도화서의 화원을 지냈으며 산수화를 비롯해 꽃·새 등을 정묘하고 아름답게 잘 그렸다. , , 등이 있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6. 23.
[조선후기/문화와예술] 경복궁도(겸재 정선) 경복궁도  〈경복궁도〉, 겸재 정선, 비단에 엷은 채색  ★ 정선(鄭歚, 1676~1759)은 조선의 화가, 문신. 호 겸재(謙齋). 한국 산수화의 독자적인 특징을 살린 그림으로 진경산수화(眞景山水畵)의 대가가 되었다. 2020. 6. 23.
[조선후기/문화와예술] 청풍계도(淸風溪圖) 청풍계도(淸風溪圖)   청풍계도, 견재 정선, 위(전체), 아래(부분)간송 미술관 소장 ★ 정선(鄭歚, 1676~1759)은 조선의 화가, 문신. 호 겸재(謙齋). 한국 산수화의 독자적인 특징을 살린 그림으로 진경산수화(眞景山水畵)의 대가가 되었다. 2020. 6. 23.
[세계지리/기후]남반구의 겨울 남반구의 겨울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6. 22.
[중국사/근대]파괴된 원명원 파괴된 원명원 ★ 원명원(圓明園) : 중국 청(淸)나라 때 베이징 근교에 있던 이궁(離宮). 1856년(함풍 6년)에 발발한 제2차 아편전쟁 때 베이징까지 프랑스·영국 연합군이 침입하여 철저하게 약탈당하고 파괴되어 폐허가 되었다. 현재는 복원되어 시민에게 개방되었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6. 22.
[조선후기/문화와예술] 양화환도(楊花喚渡) 양화환도(楊花喚渡)  양화환도, 겸재 정선, 간송미술관 소장 ★ 정선(鄭歚, 1676~1759)은 조선의 화가, 문신. 호 겸재(謙齋). 한국 산수화의 독자적인 특징을 살린 그림으로 진경산수화(眞景山水畵)의 대가가 되었다. 2020. 6. 22.
[조선후기/문화와예술] 시화환상간(詩畵換相看) 시화환상간(詩畵換相看)   시화환상간, 겸재 정선  ★ 정선(鄭歚, 1676~1759)은 조선의 화가, 문신. 호 겸재(謙齋). 한국 산수화의 독자적인 특징을 살린 그림으로 진경산수화(眞景山水畵)의 대가가 되었다. 2020. 6. 22.
[조선후기/문화와예술] 금강전도 금강전도  금강전도, 겸재 정선,  국보 제 217호 ★ 정선(鄭歚, 1676~1759)은 조선의 화가, 문신. 호 겸재(謙齋). 한국 산수화의 독자적인 특징을 살린 그림으로 진경산수화(眞景山水畵)의 대가가 되었다. 2020. 6. 22.
[세계지리/기후]기후와 식생대 기후와 식생대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6. 21.
[중국사/근대]베이징에 입성하는 영불 연합군(제 2차 아편전쟁) 베이징에 입성하는 영불 연합군 (제 2차 아편전쟁) ★ 제2차 아편 전쟁(第二次阿片戰爭, 1856~1860) : 청나라와 영국·프랑스 연합군 간에 4년 동안 벌어진 전쟁. 제1차 아편 전쟁 이후 원하는 만큼 개방이 이루어지지 않자 영국은 애로호 사건을 구실로 프랑스와 연합하여 청나라를 공격하였다.이 전쟁에서 청나라가 완패함으로써 그나마 만주족 치하에서 다수 한족을 위시한 중화질서는 붕괴를 맞이하게 되었고, 본격적으로 서세동점(西勢東漸)의 시대가 개막되었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6. 21.
[한국지리/경제]한국의 부문별 취업 인구 구성비 변천 한국의 부문별 취업 인구 구성비 변천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6. 21.
[한국지리/도시화]주택 부족 문제 [한국지리/도시화] 주택 부족 문제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6. 21.
[조선후기/문화와예술] 광나루(廣津) 광나루(廣津)  광나루, 겸재 정선, 간송 미술관 소장 ★ 정선(鄭歚, 1676~1759)은 조선의 화가, 문신. 호 겸재(謙齋). 한국 산수화의 독자적인 특징을 살린 그림으로 진경산수화(眞景山水畵)의 대가가 되었다. 2020. 6. 21.
[조선후기/문화와예술]이채 초상화 이채 초상화 조선 후기, 작자 미상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6. 21.
[조선후기/문화와예술]미인도 미인도 조선 후기, 작자 미상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6.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