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제강점기254

[일제강점기] 님 웨일스 님 웨일스 ★ 님 웨일스(Nym Wales, 1907~1997) : 본명은 헬렌 포스터 스노(Helen Foster Snow). 미국의 저널리스트로, 님 웨일스는 필명이다. 1930년대 중국 혁명가들을 취재하여 저서를 남겼으며, 옌안(延安)에서 한국인 독립운동가 김산을 취재하고 김산의 전기 을 저술하였다. 은 조직 보호를 위해 한동안 출판을 미뤄달라는 김산과의 약속을 지키기 1941년 미국에서 펴냈다. 2021. 2. 2.
[일제강점기/독립운동가] 김산 김산 ★ 김산(金山, 1905~1938) : 한국의 사회주의 혁명가, 항일독립투사, 아나키스트, 국제주의자이자 민족주의자. 본명은 장지학 또는 장지락. 어려서부터 아나키스트로 활동하였고, 1921년 중국으로 건너가 황포 군관학교와 중산 대학 경제학과에서 수학한 뒤, 중국 공산당과 공산청년동맹에 가입하여 활동하였다. 만주, 일본, 북경, 광동 등에서 독립운동과 사회주의 운동을 하다 중국 당국에 체포되어 ‘트로츠키주의자이자 일본의 간첩’이라는 누명을 쓰고' 처형당하였다. 1941년 미국의 저널리스트 님 웨일즈가 김산의 전기 을 출간하였다. 2021. 2. 2.
[일제강점기/의열투쟁] 윤봉길 의사가 훙커우 공원 사건에 사용한 폭탄(모형) 윤봉길 의사가 훙커우 공원 사건에 사용한 폭탄(모형) (물통, 도시락 폭탄) ★ 훙커우 공원 사건(虹口公園事件) : 1932년 4월 29일 중화민국 상하이 훙커우 공원에서 열린 일본 왕의 생일(천장절) 행사와 상하이 점령 전승 기념 행사 중에 한국의 독립운동가 윤봉길 의사가 폭탄을 던져 일본의 주요 인사 여러명이 죽고 다친 사건이다. 윤봉길 의사는 체포되어 처형되었으며, 이 사건 이후 중국 국민당이 한국의 독립운동을 지원하였다. 2021. 1. 7.
[일제강점기/독립운동가] 윤봉길 윤봉길 ★ 윤봉길(尹奉吉, 1908~1932) : 한국의 독립운동가, 교육자, 시인 겸 저술가. 학교를 졸업한 뒤, 농촌계몽활동과 교육운동을 하였다. 1930년 중국으로 건너가 한인애국단에 가입하였다. 1932년 4월 29일 상하이의 홍커우 공원에서 열린 일왕의 생일연(천장절)과 상하이 점령 전승 기념 행사에서 폭탄을 투척하여, 일제 요인 여러명이 죽고 중상을 입었다. 현장에서 체포되어 심문을 받은 뒤 사형을 선고받았고, 1932년 12월 19일, 일본 가나자와에서 총살형으로 순국하였다. 당시 국민당 지도자 장제스는 “중국의 100만이 넘는 대군도 해내지 못한 일을 조선인 청년 윤봉길이가 해냈다”며 극한했고, 이후 한국의 독립운동을 지원하였다. 2021. 1. 7.
[일제강점기/독립운동가]윤희순 윤희순 ★ 윤희순(尹熙順, 1860~1935) : 한국의 독립운동가, 한국 최초의 여성 의병 지도자. 을미사변(1895) 이후 등 노래를 지어 항일의식을 불러일으켰고, 여성의 구국 활동을 촉구하였다. 1907년 일제가 고종황제를 폐위시키고 대한제국 군대를 해산하자 탄약제조소를 운영하고, 여성 의병을 모집하여 후방에서 의병 활동을 지원하였다. 1911년 가족과 함께 중국으로 망명하여 벼농사를 짓고 노학당(勞學堂)을 열어 항일운동가를 양성하였다. 일제의 탄압으로 노학당이 폐교되자 중국인들과 함께 을 만들고, 학교를 설립하여 항일교육을 하였다. 1935년 숨을 거두었다.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이 추서되었고, 2008년 9월 이달의 독립운동가로 선정되었다. 2021. 1. 6.
[일제강점기/일제의탄압과만행]일제강점기의 종로 경찰서 일제강점기의 종로 경찰서 ★ 종로경찰서는 일제강점기 때, 독립운동 탄압의 본산이었다. 2021. 1. 6.
[일제강점기/독립운동가] 조소앙이 집필한 김상옥 의사의 전기 조소앙이 집필한 김상옥 의사의 전기 ★ 김상옥(金相玉, 1890~1923) : 일제강점기의 독립운동가. 3.1 운동 이후 항일 운동을 시작하였으며, 항일 단체인 을 결성하여 황동하고 를 발행하였다. 상하이로 망명한 뒤 의열단에 가입하였고, 1922년 권총과 폭탄을 가지고 한국으로 돌아왔다. 1923년 1월 12일 독립운동 탄압의 본산으로 악명이 높았던 종로경찰서에 폭탄을 투척하였다. 그 뒤, 피신 중에 사이토 총독 암살을 위해 서울역 주변을 배회하다 일본 경찰에 포위되어 싸우다가 총알이 떨어지자 자결하였다. 2021. 1. 5.
[일제강점기/독립운동가] 김상옥 의사의 권총과 인장 김상옥 의사의 권총과 인장 ★ 김상옥(金相玉, 1890~1923) : 일제강점기의 독립운동가. 3.1 운동 이후 항일 운동을 시작하였으며, 항일 단체인 을 결성하여 황동하고 를 발행하였다. 상하이로 망명한 뒤 의열단에 가입하였고, 1922년 권총과 폭탄을 가지고 한국으로 돌아왔다. 1923년 1월 12일 독립운동 탄압의 본산으로 악명이 높았던 종로경찰서에 폭탄을 투척하였다. 그 뒤, 피신 중에 사이토 총독 암살을 위해 서울역 주변을 배회하다 일본 경찰에 포위되어 싸우다가 총알이 떨어지자 자결하였다. 2021. 1. 5.
[일제강점기/독립운동가] 김상옥 의사의 장검 김상옥 의사의 장검 ★ 3.1운동 때 시위에 참여한 여학생을 해치려는 일본 순사를 물리치고 빼앗은 장검 (독립기념관 소장) ★ 김상옥(金相玉, 1890~1923) : 일제강점기의 독립운동가. 3.1 운동 이후 항일 운동을 시작하였으며, 항일 단체인 을 결성하여 황동하고 를 발행하였다. 상하이로 망명한 뒤 의열단에 가입하였고, 1922년 권총과 폭탄을 가지고 한국으로 돌아왔다. 1923년 1월 12일 독립운동 탄압의 본산으로 악명이 높았던 종로경찰서에 폭탄을 투척하였다. 그 뒤, 피신 중에 사이토 총독 암살을 위해 서울역 주변을 배회하다 일본 경찰에 포위되어 싸우다가 총알이 떨어지자 자결하였다. 2021. 1. 4.
[일제강점기/독립운동가] 김상옥 의사의 의거를 보도한 신문 보도 김상옥 의사의 의거를 보도한 신문 보도 (조선일보와 동아일보) ★ 김상옥(金相玉, 1890~1923) : 일제강점기의 독립운동가. 3.1 운동 이후 항일 운동을 시작하였으며, 항일 단체인 을 결성하여 황동하고 를 발행하였다. 상하이로 망명한 뒤 의열단에 가입하였고, 1922년 권총과 폭탄을 가지고 한국으로 돌아왔다. 1923년 1월 12일 독립운동 탄압의 본산으로 악명이 높았던 종로경찰서에 폭탄을 투척하였다. 그 뒤, 피신 중에 사이토 총독 암살을 위해 서울역 주변을 배회하다 일본 경찰에 포위되어 싸우다가 총알이 떨어지자 자결하였다. 2021. 1. 4.
[일제강점기/독립운동가] 김상옥 의사의 묘 김상옥 의사의 묘 김상옥 의사의 묘(서울 현충원 애국지사 묘역) ★ 김상옥(金相玉, 1890~1923) : 일제강점기의 독립운동가. 3.1 운동 이후 항일 운동을 시작하였으며, 항일 단체인 을 결성하여 황동하고 를 발행하였다. 상하이로 망명한 뒤 의열단에 가입하였고, 1922년 권총과 폭탄을 가지고 한국으로 돌아왔다. 1923년 1월 12일 독립운동 탄압의 본산으로 악명이 높았던 종로경찰서에 폭탄을 투척하였다. 그 뒤, 피신 중에 사이토 총독 암살을 위해 서울역 주변을 배회하다 일본 경찰에 포위되어 싸우다가 총알이 떨어지자 자결하였다. 2021. 1. 3.
[일제강점기/독립운동가] 김상옥 김상옥 ★ 김상옥(金相玉, 1890~1923) : 일제강점기의 독립운동가. 3.1 운동 이후 항일 운동을 시작하였으며, 항일 단체인 을 결성하여 황동하고 를 발행하였다. 상하이로 망명한 뒤 의열단에 가입하였고, 1922년 권총과 폭탄을 가지고 한국으로 돌아왔다. 1923년 1월 12일 독립운동 탄압의 본산으로 악명이 높았던 종로경찰서에 폭탄을 투척하였다. 그 뒤, 피신 중에 사이토 총독 암살을 위해 서울역 주변을 배회하다 일본 경찰에 포위되어 싸우다가 총알이 떨어지자 자결하였다. 2021. 1. 3.
[근대/독립운동가] 박은식 박은식 ★ 박은식(朴殷植, 1859~1925) : 일제 강점기의 민족주의 역사학자, 언론인, 독립운동가, 교육자, 애국계몽운동가, 정치가. 개화기에 독립협회 활동을 하고, 을 창간하였으며, 의 주필로도 활동하였다. 대한제국이 멸망하자 중국으로 망명하여 , 등의 한국사 서적을 집필하여 출간하였가.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수립되자(1919) 국무총리, 2대 대통령 등을 역임하였다. 1925년 병사하였다. 2021. 1. 2.
[근대/독립운동가] 이동휘 이동휘 ★ 이동휘(李東輝, 1873~1935) : 대한제국의 군인이자 정치가, 일제 강점기의 사회주의 계열 독립운동가. 대한제국의 육군 장교 출신으로 애국계몽운동과 의병 운동을 하였으며, 1919년 대한민국임시정부의 국무총리를 역임하였다. 민족주의 계열과의 갈등으로 임시정부를 떠나(1921) 러시아에서 활동하다 병사하였다. 2021. 1. 1.
[일제강점기/독립운동가] 박상진 박상진 ★ 박상진(朴尙鎭, 1884~1921) : 한국의 독립 운동가. 비밀결사단체 조선국권회복단을 조직하여 활동하다가 풍기광복단과 연합하여 대한광복회를 조직하였다. 군자금을 모금하며 이에 협조하지 않는 친일 부호를 처단하였다. 일제에 체포되어 처형되었다. 2021. 1. 1.
[일제강점기/독립운동가]김두봉 김두봉 ★ 김두봉(金枓奉, 1889~1961?) : 일제강점기의 독립운동가이자 언론인, 한글학자. 공산주의자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의 정치인. 주시경의 수제자로 한글 연구에 큰 업적을 남겼다. 일제강점기 중국으로 망명하여 대한민국임시정부에서 잠시 활동하였고, 이후 무장독립투쟁을 전개하였다. 광복 후 월북하여 남북협상에 참여하고 북한 인민위원회 상임위원장 등을 역임하였다. 김일성과의 권력투쟁에 패하여 숙청된 것으로 추정되며, 사망 시점은 미상이다. 2020. 12. 31.
[일제강점기/무장독립투쟁] 북로군정서 북로군정서 ★ 북로군정서(北路軍政署) : 1919년 북간도에서 만든 무장독립운동 단체. 대종교 계통에서 비롯되었으며, 1919년 만주 지린성(吉林省)에서 서일 김좌진을 중심으로 조직되었다. 중국 왕칭에 사관 양성소를 설립하기도 했으며, 1920년 10월 청산리 전투에서는 일본군을 상대로 크게 승리하였다. 2020. 12. 22.
[일제강점기/사상과학문] 개벽 개벽 ★ 개벽(開闢) : 1920년대 천도교에서 천도교 청년회의 기관 잡지로 발행된 잡지. 1920년 6월 발행된 창간호와 임시호가 압수당하면서 호외로 창간호가 간행되었고, 이후 수십 차례의 발행 금지 속에 정기적으로 간행되다가 1926년 8월 통권 72호로 폐간되었다. 2020. 12. 21.
[일제강점기/독립운동]민족 유일당 운동 포스터 민족 유일당 운동 포스터 ★ 민족 유일당 운동(民族唯一黨運動) : 1920년대 후반에 전개된 좌우 세력을 망라한 민족 단일 정당 건설 운동. 넓은 의미로는 중국 관내에서 추진된 민족 유일당 운동과 만주의 3부 통합 운동, 국내의 신간회 결성 같은 민족 협동 전선 운동을 아우르며, 좁은 의미로는 중국 관내와 만주 지역에서 진행된 국외의 민족 유일당 운동을 지칭한다. 2020. 12. 21.
[일제강점기/시위운동]이광춘과 박기옥 이광춘과 박기옥 ★ 이광춘과 박기옥 : 1929년 당시 광주여자고등학교 여학생으로 나주역에서 일본인 중학생에서 희롱을 당하였다. 이 일을 계기로 광주학생항일운동이 발발하였다. ★ 광주 학생 항일 운동(광주 학생 독립 운동) : 1929년 11월 3일부터 광주 시내에서 일본 학생이 한국 여학생을 희롱하자 일어난 한국 학생과 일본 학생 간 충돌을 계기로 광주지역 학생의 대규모 시위가 일어났다(11월 12일). 시위는 호남 일대로 확산되고 서울을 거쳐 11월 말 쯤에는 전국 각지로, 12월에는 간도(만주) 등지로 퍼져나갔다. 이 운동은 1930년 5월까지 전국적인 동맹휴학, 학생 항일 시위로 변모, 발전했다. 2020. 12.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