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제강점기248

[일제강점기/경제항일운동] 물산장려운동 물산장려운동 ★ 물산장려운동(物産奬勵運動) : 일제 강점기 1920년대 일제의 경제적 수탈정책에 맞서 전개하였던 범국민적 민족경제 자립실천운동. 1920년대 일본 기업의 한국 진출로 일본에 대한 경제 예속이 심화되자 한국인들은 평양과 경성을 중심으로 전개하였다. 를 조직하고 실천과제로 경제계 진흥, 실업자 구제, 근검절약, 국산품애용 등을 내세워 큰 호응을 얻었다. 그러나, 토산품(국산품) 가격이 폭등하고 상인과 자본가들의 이익만 늘어나자 사회주의 계열의 비판을 받았고, 일제의 탄압과 친일세력의 관여로 변질되어 쇠퇴하였다. 2024. 2. 15.
[일제강점기/독립운동가]김상옥 의사가 운영했던 영덕철물점의 인장 김상옥 의사가 운영했던 영덕철물점의 인장 영덕철물점의 인장 영덕철물점의 인장과 김상옥 의사의 도장 ★ 김상옥(金相玉, 1890~1923) : 일제강점기의 독립운동가. 3.1 운동 이후 항일 운동을 시작하였으며, 항일 단체인 을 결성하여 황동하고 를 발행하였다. 상하이로 망명한 뒤 의열단에 가입하였고, 1922년 권총과 폭탄을 가지고 한국으로 돌아왔다. 1923년 1월 12일 독립운동 탄압의 본산으로 악명이 높았던 종로경찰서에 폭탄을 투척하였다. 그 뒤, 피신 중에 사이토 총독 암살을 위해 서울역 주변을 배회하다 일본 경찰에 포위되어 싸우다가 총알이 떨어지자 자결하였다. 2024. 1. 4.
[일제강점기/독립운동가]김상옥 의사의 동상(서울 마로니에 공원) 김상옥 의사의 동상 (서울 마로니에 공원) ★ 김상옥(金相玉, 1890~1923) : 일제강점기의 독립운동가. 3.1 운동 이후 항일 운동을 시작하였으며, 항일 단체인 을 결성하여 황동하고 를 발행하였다. 상하이로 망명한 뒤 의열단에 가입하였고, 1922년 권총과 폭탄을 가지고 한국으로 돌아왔다. 1923년 1월 12일 독립운동 탄압의 본산으로 악명이 높았던 종로경찰서에 폭탄을 투척하였다. 그 뒤, 피신 중에 사이토 총독 암살을 위해 서울역 주변을 배회하다 일본 경찰에 포위되어 싸우다가 총알이 떨어지자 자결하였다. 2024. 1. 3.
[일제강점기/독립운동가]김상옥 의사의 어록 비(서울 효제초등학교 교정) 김상옥 의사의 어록 비 (서울 효제초등학교 교정) 순국선열 김상옥 의사 어록 나의 생사가 이번 거사에 달렸소. 만약 실패하면 내세에서나 만나봅시다. 나는 자결하여 뜻을 지킬지언정 적의 포로가 되지는 않겠소. 임시정부 요인들에게 남긴말 1922년 12월 1일 상해를 떠나면서 ★ 김상옥(金相玉, 1890~1923) : 일제강점기의 독립운동가. 3.1 운동 이후 항일 운동을 시작하였으며, 항일 단체인 을 결성하여 황동하고 를 발행하였다. 상하이로 망명한 뒤 의열단에 가입하였고, 1922년 권총과 폭탄을 가지고 한국으로 돌아왔다. 1923년 1월 12일 독립운동 탄압의 본산으로 악명이 높았던 종로경찰서에 폭탄을 투척하였다. 그 뒤, 피신 중에 사이토 총독 암살을 위해 서울역 주변을 배회하다 일본 경찰에 포위되어.. 2024. 1. 2.
[일제강점기/독립운동가]김상옥 추도문 김상옥 추도문 백범 김구 선생의 휘호 백범 김구 선생의 휘호(1946년 추모사업회 참석하여 씀) 이시영 선생의 휘호 조소앙 선생의 휘호 중국 지인의 휘호 ★ 김상옥(金相玉, 1890~1923) : 일제강점기의 독립운동가. 3.1 운동 이후 항일 운동을 시작하였으며, 항일 단체인 을 결성하여 황동하고 를 발행하였다. 상하이로 망명한 뒤 의열단에 가입하였고, 1922년 권총과 폭탄을 가지고 한국으로 돌아왔다. 1923년 1월 12일 독립운동 탄압의 본산으로 악명이 높았던 종로경찰서에 폭탄을 투척하였다. 그 뒤, 피신 중에 사이토 총독 암살을 위해 서울역 주변을 배회하다 일본 경찰에 포위되어 싸우다가 총알이 떨어지자 자결하였다. 2024. 1. 1.
[일제강점기/독립운동가]강우규 의사의 기록(신동아) 강우규 의사의 기록(신동아) ★ 강우규(姜宇奎, 1855~1920) : 일제 강점기의 한의사이자 독립운동가. 1919년 조선총독부 총독으로 부임해 온 사이토 마코토를 저격하였으나 폭탄이 다른 데로 떨어져 거사에 실패하였으나, 일제 관헌 및 추종자 37명에게 중경상을 입혔다. 현장에서 도피하였으나 친일파 고등계 형사 김태석에서 붙잡혀 수감되었고, 1920년 11월 29일 서대문감옥에서 교수형을 당하였다. 2023. 12. 18.
[일제강점기/문화예술]정월 초하루 나들이(엘리자베스 키스) 정월 초하루 나들이 (엘리자베스 키스) ★ 엘리자베스 키스(Elizabeth Keith, 1887~1956) : 동북아시아, 동아시아의 풍속을 소재로 다양한 목판화를 남긴 영국의 여성 판화작가. 한국의 풍속을 담은 작품을 여러편 제작하였다. 2023. 5. 10.
[일제강점기/문화예술]달빛아래 서울의 동대문(엘리자베스 키스, 1920년) 달빛아래 서울의 동대문 (엘리자베스 키스, 1920년) ★ 엘리자베스 키스(Elizabeth Keith, 1887~1956) : 동북아시아, 동아시아의 풍속을 소재로 다양한 목판화를 남긴 영국의 여성 판화작가. 한국의 풍속을 담은 작품을 여러편 제작하였다. 2023. 5. 9.
[일제강점기/문화예술]금강산 절 부엌(엘리자베스 키스) 금강산 절 부엌 (엘리자베스 키스) ★ 엘리자베스 키스(Elizabeth Keith, 1887~1956) : 동북아시아, 동아시아의 풍속을 소재로 다양한 목판화를 남긴 영국의 여성 판화작가. 한국의 풍속을 담은 작품을 여러편 제작하였다. 2023. 5. 8.
[근대/의학]대한의원 대한의원 ★ 대한의원(大韓醫院) : 1907년에 대한제국 내부 소관의 서양식 병원인 광제원, 학부 소관인 의학교부속병원, 그리고 궁내부 소관인 대한국적십자병원을 통합 ․ 설립되었으며, 의정부 직속으로 운영된 국내 최고의 의료기관이었다. 지금의 대학병원(University Hospital)의 기능을 대신했다. 일제의 한국 강점(1910) 이후 조선 총독부의원이었다가 1928년 경성제국대학 의학부 부속병원이 되었으며, 광복(1945) 이후에는 서울대학교 부속병원이 되었다. 1978년 서울대학교 병원 신관이 개원하며 본관 주변 건물 대부분이 철거되었다. 옛 본관은 병원 연구소로 사용되다가 현재 서울대학교 의학박물관으로 사용되고 있다. 2023. 4. 20.
[일제강점기/태평양전쟁]미주리호에서 항복 서명하는 일본 대표 미주리호에서 항복 서명하는 일본 대표 ★ 일본의 항복 : 일본 제국이 1945년 8월 14일에 연합국에 통보하고, 8월 15일 낮 12시에 쇼와 일왕이 무조건적인 항복을 선언한 것. 9월 2일에는 일본의 도쿄만 요코하마에 정박 중이던 미국 전함 USS 미주리 (BB-63) 선상에서 일본 대표 시게미쓰 마모루 외무대신이 정식으로 나와서 항복 문서에 서명을 하였다. 일본의 무조건적인 항복으로 제2차 세계 대전은 완전 종결되었다. 2021. 4. 11.
[일제강점기/태평양전쟁]원폭이 떨어진 시간에 멈춘 시계 원폭이 떨어진 시간에 멈춘 시계 ★ 히로시마·나가사키 원자폭탄 투하(広島・長崎原子爆彈投下, Atomic bombings of Hiroshima and Nagasaki) :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나갈 무렵 1945년 미국은 일본의 히로시마(8월 6일), 나가사키(8월 9일)에 원자폭탄을 투하하였다. 미국은 일본에 원자폭탄을 투하하기 전 6개월 동안 일본에 공습을 하엿고, 영국 ․ 중화민국과 함께 포츠담 선언에서 일본에 무조건 항복을 요구하였으나, 일본이 항복하지 않자 원자폭탄을 투하하였다. 나가사키 원폭투하 6일 후 8월 15일 일본은 연합군에 무조건 항복을 선언하고, 9월 2일 항복 문서에 사인하면서 공식적으로 태평양 전쟁과 제2차 세계대전이 막을 내렸다. 일본의 항복으로 한국을 비롯한 아시아의 일본 식민.. 2021. 4. 11.
[일제강점기/민속]상가(喪家)의 접객 상가(喪家)의 접객 2021. 4. 9.
[일제강점기/민속]유기 칠첩 반상기(1930년대) 유기 칠첩 반상기(1930년대) 2021. 4. 9.
[일제강점기/경제]소반 장수(보부상, 1920년대) 소반 장수(보부상, 1920년대) ★ 보부상(褓負商) : 전통사회에서 시장을 중심으로 봇짐이나 등짐을 지고 행상을 하면서 생산자와 소비자 사이에 교환경제가 이루어지도록 중간자 역할을 했던 전문적인 상인. 상호 간에 규율, 예절, 상호 부조의 정신이 강하였다. 조선 중기 이후 장시의 발달과 함께 더욱 활발한 상업 활동을 전개하였다. 개항 이후 관군과 동학농민군 토벌에 참여하고, 황국협회를 결성하여 독립협회와 대립하기도 했다. 일제강점기 이후 일본의 탄압으로 보부상 조직은 거의 소멸되었으며, 일본 자본에 밀려 점차 줄어들었다. 2021. 4. 9.
[일제강점기/일제의탄압과만행] 동십자각과 서집자각의 위치(1923년 이후) 동십자각과 서집자각의 위치 (1923년 이후) ★ 동십자각(東十字閣) : 경복궁 동남쪽 모서리에 설치했던 망루. 서십자각과 짝으로 이루었으나 서집자각은 1923년 일제가 철거하였다. 사적 117호(경복궁 부속). ★ 서십자각(西十字閣) : 경복궁 서쪽에 있던 망루. 1923년 전차부설 공사를 하면서 철거되었다. 2021. 4. 8.
[일제강점기/대한제국황실]경복궁 안쪽에서 본 동십자각 경복궁 안쪽에서 본 동십자각 ★ 동십자각(東十字閣) : 경복궁 동남쪽 모서리에 설치했던 망루. 서십자각과 짝으로 이루었으나 서집자각은 1923년 일제가 철거하였다. 사적 117호(경복궁 부속). 2021. 4. 8.
[일제강점기/대한제국황실]서십자각 서십자각 ★ 서십자각(西十字閣) : 경복궁 서쪽에 있던 망루. 1923년 전차부설 공사를 하면서 철거되었다. 2021. 4. 8.
[일제강점기/일제의탄압과만행]창경원의 동물원 창경원의 동물원 ★ 창경궁(昌慶宮) : 대한민국 사적 제 123호. 조선 성종(1483년) 때에 건축한 궁궐로 창덕궁과 맞닿아 있다. 원래 세종이 태종을 위해 지은 궁이었으나 성종이 세 대비를 모시기 위해 중건하였다. 일제강점기에 동물원과 식물원, 이왕가 박물관이 들어서고, 이름도 ‘창경원’(昌慶苑)으로 격하되는 수난을 겪었다. 1983년에는 동물원과 식물원을 서울대공원으로 옮기고 이름도 창경궁으로 되찾았다. 2021. 4. 7.
[일제강점기/문화와예술] 삼천리 삼천리 ★ 삼천리(三千里) : 일제강점기의 잡지. 1929년 6월 조선 경성부(서울)에서 발행된 취미 · 시사 중심의 월간 종합잡지. 김동환, 김동인, 이광수, 정지용, 나혜석 등 당대의 걸출한 문인(文人)들이 필진으로 참여하였다. 정치, 사회, 취미, 역사, 시사 등 다양한 분야의 글을 소개하였으며, 은어와 비속어, 여성 운동, 조선의 독립운동에 대해서도 폭넓게 소개하였다. 1941년 폐간되었다가 이후 두 차례 복간되었다. 2021. 4.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