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제강점기249

[일제강점기/무장독립투쟁]한국 광복군 한국 광복군 ★ 한국 광복군(韓國 光復軍) : 1940년 9월 17일 중국 충칭에서 조직된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정규 국군. 한국독립당 당군(黨軍)과 기타 독립군 및 만주 독립군 등이 연합하여 1940년 9월 결성되었다. 대한민국 임시 정부에서 각군의 통수권을 인수하여 통합하였다. 태평양 전쟁이 발발하자 일본과 독일에 선전포고하고 영국군과 버마 전선에 투입되었으며, CIA의 전신인 OSS의 특별 훈련을 받기도 하였다. OSS와 함께 국내 진공작전을 준비하다가 1945년 8월 15일 광복을 맞이하였으며, 1946년 귀국하였다. 2021. 3. 30.
[일제강점기/일제의탄압과만행] 치안유지법 위반으로 구속된 사상범들 치안유지법 위반으로 구속된 사상범들 ★ 치안유지법(治安維持法) : 일제의 대표적인 언론 탄압법으로 1925년부터 시행되었다. 한국의 독립운동 탄압을 비롯하여 민주주의 및 사회주의 운동, 공화제 운동을 탄압하는 목적도 있었다. 처음에는 징역이나 금고형이었으나 1928년 사형까지 가능하도록 개정되었으며, 일본과 일본의 식민지 전체에 적용되었다. 광복 후, 1945년 10월 15일에 폐지되었다. 2021. 3. 29.
[일제강점기/문화와예술] 이상 이상 ★ 이상(李箱, 1910~1937) : 일제 강점기의 시인, 작가, 소설가, 수필가, 건축가. 일제 강점기 한국의 대표적인 근대 작가이자 아방가르드 문학가. 본명은 김해경(金海卿). 소설 , , 수필 , 시 , 등을 저술하였다. 1937년 폐결핵이 악화되어 사망하였다. 사후에 시대를 앞선 천재문학사로 평가받았으며 1977년부터 을 시상하고 있다. 2021. 3. 29.
[일제강점기/친일파] 이광수 이광수 ★ 이광수(李光洙, 1892~1950) : 일제 강점기의 언론인, 문학가, 번역가. 애국 계몽 운동을 하였으며, 신한청년당으로 활동하고 2.8독립선언에 참여하는 등의 독립운동을 하였으나, 1930년대 후반부터 친일 성향을 보이며 창씨개명과 황민화 운동을 지지하는 등의 친일행각을 벌였다. 광복 후 반민특위에 기소되었으나 석방되었고, 한국전쟁 때 서울에 침입한 북한군에 납북되었다. 1950년 북한 만포에서 병사하였다. 작품으로 , , 등이 있으며, 친일 논문 등을 저술하였다. 2021. 3. 29.
[일제강점기/친일파] 윤치호 윤치호 ★ 윤치호(尹致昊, 1865~1945) : 조선과 대한제국의 민권운동가, 문신, 외교관, 언론인, 교육자. 한국의 정치가, 교육자, 언론인, 기독교운동. 독립운동을 하였으나 1915년 경부터 친변절하여 친일행각을 벌였으며 독립운동에 회의적인 행태를 보였다. 1945년 광복 직전에 일본 귀족원 임원에 선임되기도 하였다. 2021. 3. 28.
[일제강점기/문화예술] 상록수 상록수 ★ 상록수(常綠樹) : 작가 심훈이 1935년에 발표한 장편 소설로 동아일보 창간 15주년을 기념하는 장편 소설 공모에 1등으로 당선되었으며, 2년에 걸쳐 연재되며 대중의 많은 사랑을 받았다. 농촌계몽운동을 하다 숨진 “최용신”을 모델로 한 소설로 1930년대의 이 잘 표현되어 있다. 2021. 3. 28.
[일제강점기/독립운동가] 최용신 최용신 ★ 최용신(崔容信, 1909~1935) :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 농촌계몽운동가. 경기도 수원군 반월면 사리(현재 경기도 안산시 본오동)에서 봉사하였다. 3.1운동에 참여하여 옥고를 치렀으며 1931년부터 농촌계몽운동에 투신하여 농촌 발전에 크게 기여하였다. 일본의 방해와 탄압으로 한계를 느끼고 일본에 유학하였는데, 병을 얻어 귀국하였다. 병마를 무릅쓰고 농촌계몽운동을 하다 병이 악화되어 사망하였다. 소설가 심훈의 대표작인 의 모델이 된 인물이다. 2021. 3. 28.
[일제강점기/독립운동가] 여운형 여운형 ★ 여운형(呂運亨, 1886~1947) :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 저술가. 한말에 교육 운동을 하다가 1907년부터 독립운동에 투신하여 신한청년당 당수로 활동하고 3.1 운동 기획을 주도하였으며, 김규식 등을 파리 강화회의에 파견하기도 했다. 중국 국민당에 가담해 중국 혁명 운동과 반제국주의 운동을 하였으며, 1929년 일본 경찰에 체포되어 국내로 송환된 후에는 언론인으로 활동했다. 1944년부터는 비밀 지하 독립 운동 단체인 건국동맹과 농민동맹을 결성하였고, 광복 후 건국준비위원회와 조선인민공화국을 결성하여 혼란 수습와 치안 유지 활동을 하였다. 1946년부터는 통일 임시 정부 수립을 위해 좌우 합작 운동을 전개하였으나 이를 반대하는 좌·우익 양측으로부터 테러를 여러 당했으며, 1947년 암.. 2021. 3. 27.
[일제강점기/무장독립투쟁] 한국 광복군 병사들 한국 광복군 병사들 노능서(왼쪽), 김준엽(가운데), 장준하(오른쪽) ★ 한국 광복군(韓國 光復軍) : 1940년 9월 17일 중국 충칭에서 조직된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정규 국군. 한국독립당 당군(黨軍)과 기타 독립군 및 만주 독립군 등이 연합하여 1940년 9월 결성되었다.대한민국 임시 정부에서 각군의 통수권을 인수하여 통합하였다. 태평양 전쟁이 발발하자 일본과 독일에 선전포고하고 영국군과 버마 전선에 투입되었으며, CIA의 전신인 OSS의 특별 훈련을 받기도 하였다. OSS와 함께 국내 진공작전을 준비하다가 1945년 8월 15일 광복을 맞이하였으며, 1946년 귀국하였다. 2021. 3. 26.
[일제강점기/학문과사상] 한글 창간호 한글 창간호 ★ 한글(잡지) : 조선어연구회(1931년 조선학회로 개칭)가 1927년 발행한 한글 잡지의 창간호. 동인지 형식 잡지로 신명균, 김윤경, 최연배 등이 발간에 참여하였다. 1928년 발행을 중단하였다가, 1931년 다시 발간하였으나, 1942년 ‘조선어학회 사건’으로 종간되었다. 광복 후, 1946년 다시 발간하였다. 6.25 전쟁으로 중단되었으나, 1954년 속간되어 현재까지 계간으로 발행되고 있다. 2021. 3. 26.
[일제강점기/사상과학문] 한글 맞춤법 통일안 한글 맞춤법 통일안 ★ 한글 맞춤법 통일안 : 1933년에 조선어 학회(지금의 한글 학회)가 정한 한글 맞춤법. 이 맞춤법은 현재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쓰는 맞춤법의 바탕이 되었다. 2021. 3. 26.
[일제강점기/독립운동가] 김원봉 김원봉 ★ 김원봉(金元鳳, 1898~1958) : 한국의독립운동가로 일제 강점기의 의열단장. 1919년 아나키즘 단체인 의열단(義烈團)을 결성하였으며, 황푸 군관학교를 거쳐 조선의용대를 조직하였다. 대한민국 임시정부의임시의정원 의원, 한국광복군 부사령관 겸 제1지대장, 1944년 임시정부 군무부장 등을 역임하였다. 광복 후, 1948년 김구 등과 함께 남북협상에 참여한 뒤에 북한에 남아 여러 요직을 섭렵하였다. 이후 김일성과의 정치 암투에서 패배하여 숙청되었으며, 정치범 수용소에서 자살하였다고 전해진다. 경상남도 밀양에 의열 기념관이있다. 2021. 3. 25.
[일제강점기/민속]떡메치기(1930년대) 떡메치기(1930년대) 2021. 3. 25.
[일제강점기/민속]1930년대 한국의 농가 1930년대 한국의 농가 2021. 3. 25.
[일제강점기/민속] 다림질하는 여인(1930년대) 다림질하는 여인(1930년대) 2021. 3. 24.
[일제강점기/사회와문화] 서양식 의상을 입은 여인(1918) 서양식 의상을 입은 여인(1918) 2021. 3. 24.
[일제강점기/체육스포츠] 전조선 축구대회에서 우승한 불교청년회(1922) 전조선 축구대회에서 우승한 불교청년회(1922) 2021. 3. 23.
[일제강점기/교육]여학교의 수업 [일제강점기/교육] 여학교의 수업 2021. 3. 22.
[일제강점기/교육]이화학당의 여학생들 이화학당의 여학생들 ★ 이화학당(梨花學堂) : 1886년에 조선 한성부에 설립된 근대 중등교육기관으로 한국 초기의 여성교육 기관. 이화여자고등학교와 이화여자대학교의 전신이다. 2021. 3. 22.
[일제강점기/경제] 일제강점기의 공장 일제강점기의 공장 2021. 3.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