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독립운동가48

[일제강점기/독립운동가]김상옥 의사가 운영했던 영덕철물점의 인장 김상옥 의사가 운영했던 영덕철물점의 인장 영덕철물점의 인장 영덕철물점의 인장과 김상옥 의사의 도장 ★ 김상옥(金相玉, 1890~1923) : 일제강점기의 독립운동가. 3.1 운동 이후 항일 운동을 시작하였으며, 항일 단체인 을 결성하여 황동하고 를 발행하였다. 상하이로 망명한 뒤 의열단에 가입하였고, 1922년 권총과 폭탄을 가지고 한국으로 돌아왔다. 1923년 1월 12일 독립운동 탄압의 본산으로 악명이 높았던 종로경찰서에 폭탄을 투척하였다. 그 뒤, 피신 중에 사이토 총독 암살을 위해 서울역 주변을 배회하다 일본 경찰에 포위되어 싸우다가 총알이 떨어지자 자결하였다. 2024. 1. 4.
[일제강점기/독립운동가]김상옥 의사의 어록 비(서울 효제초등학교 교정) 김상옥 의사의 어록 비 (서울 효제초등학교 교정) 순국선열 김상옥 의사 어록 나의 생사가 이번 거사에 달렸소. 만약 실패하면 내세에서나 만나봅시다. 나는 자결하여 뜻을 지킬지언정 적의 포로가 되지는 않겠소. 임시정부 요인들에게 남긴말 1922년 12월 1일 상해를 떠나면서 ★ 김상옥(金相玉, 1890~1923) : 일제강점기의 독립운동가. 3.1 운동 이후 항일 운동을 시작하였으며, 항일 단체인 을 결성하여 황동하고 를 발행하였다. 상하이로 망명한 뒤 의열단에 가입하였고, 1922년 권총과 폭탄을 가지고 한국으로 돌아왔다. 1923년 1월 12일 독립운동 탄압의 본산으로 악명이 높았던 종로경찰서에 폭탄을 투척하였다. 그 뒤, 피신 중에 사이토 총독 암살을 위해 서울역 주변을 배회하다 일본 경찰에 포위되어.. 2024. 1. 2.
[일제강점기/독립운동가]김상옥 추도문 김상옥 추도문 백범 김구 선생의 휘호 백범 김구 선생의 휘호(1946년 추모사업회 참석하여 씀) 이시영 선생의 휘호 조소앙 선생의 휘호 중국 지인의 휘호 ★ 김상옥(金相玉, 1890~1923) : 일제강점기의 독립운동가. 3.1 운동 이후 항일 운동을 시작하였으며, 항일 단체인 을 결성하여 황동하고 를 발행하였다. 상하이로 망명한 뒤 의열단에 가입하였고, 1922년 권총과 폭탄을 가지고 한국으로 돌아왔다. 1923년 1월 12일 독립운동 탄압의 본산으로 악명이 높았던 종로경찰서에 폭탄을 투척하였다. 그 뒤, 피신 중에 사이토 총독 암살을 위해 서울역 주변을 배회하다 일본 경찰에 포위되어 싸우다가 총알이 떨어지자 자결하였다. 2024. 1. 1.
[일제강점기/독립운동가]강우규 의사 흉상(용산 전쟁 박물관) 강우규 의사 흉상 (용산 전쟁 박물관) ★ 강우규(姜宇奎, 1855~1920) : 일제 강점기의 한의사이자 독립운동가. 1919년 조선총독부 총독으로 부임해 온 사이토 마코토를 저격하였으나 폭탄이 다른 데로 떨어져 거사에 실패하였으나, 일제 관헌 및 추종자 37명에게 중경상을 입혔다. 현장에서 도피하였으나 친일파 고등계 형사 김태석에서 붙잡혀 수감되었고, 1920년 11월 29일 서대문감옥에서 교수형을 당하였다. 2023. 12. 20.
[일제강점기/독립운동가]강우규 의사의 기록(신동아) 강우규 의사의 기록(신동아) ★ 강우규(姜宇奎, 1855~1920) : 일제 강점기의 한의사이자 독립운동가. 1919년 조선총독부 총독으로 부임해 온 사이토 마코토를 저격하였으나 폭탄이 다른 데로 떨어져 거사에 실패하였으나, 일제 관헌 및 추종자 37명에게 중경상을 입혔다. 현장에서 도피하였으나 친일파 고등계 형사 김태석에서 붙잡혀 수감되었고, 1920년 11월 29일 서대문감옥에서 교수형을 당하였다. 2023. 12. 18.
[일제강점기/독립운동가] 한중호조사의 임시정부 대표들 한중호조사의 임시정부 대표들 ★ 한중호조사(韓中互助社) : 1921년 중국 각지에서 한국 독립운동가들과 중국의 민간인들이 한중친선과 한국독립 지원, 반제국주의 활동 등을 목적으로 결성한 민간단체. 2021. 4. 2.
[일제강점기/무장독립투쟁]한국 광복군 한국 광복군 ★ 한국 광복군(韓國 光復軍) : 1940년 9월 17일 중국 충칭에서 조직된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정규 국군. 한국독립당 당군(黨軍)과 기타 독립군 및 만주 독립군 등이 연합하여 1940년 9월 결성되었다. 대한민국 임시 정부에서 각군의 통수권을 인수하여 통합하였다. 태평양 전쟁이 발발하자 일본과 독일에 선전포고하고 영국군과 버마 전선에 투입되었으며, CIA의 전신인 OSS의 특별 훈련을 받기도 하였다. OSS와 함께 국내 진공작전을 준비하다가 1945년 8월 15일 광복을 맞이하였으며, 1946년 귀국하였다. 2021. 3. 30.
[일제강점기/독립운동가] 여운형 여운형 ★ 여운형(呂運亨, 1886~1947) :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 저술가. 한말에 교육 운동을 하다가 1907년부터 독립운동에 투신하여 신한청년당 당수로 활동하고 3.1 운동 기획을 주도하였으며, 김규식 등을 파리 강화회의에 파견하기도 했다. 중국 국민당에 가담해 중국 혁명 운동과 반제국주의 운동을 하였으며, 1929년 일본 경찰에 체포되어 국내로 송환된 후에는 언론인으로 활동했다. 1944년부터는 비밀 지하 독립 운동 단체인 건국동맹과 농민동맹을 결성하였고, 광복 후 건국준비위원회와 조선인민공화국을 결성하여 혼란 수습와 치안 유지 활동을 하였다. 1946년부터는 통일 임시 정부 수립을 위해 좌우 합작 운동을 전개하였으나 이를 반대하는 좌·우익 양측으로부터 테러를 여러 당했으며, 1947년 암.. 2021. 3. 27.
[일제강점기/사상과학문] 조선상고사 조선상고사 ★ 조선상고사(朝鮮上古史) : 신채호가 저술한 한국 상고사에 관한 역사서. 총론은 1924년에 완성되었으며, 1930년의 발간에 이어 1931년부터 조선일보에 연재되었다. 그 내용이 불완전하여 연재를 중지하고 수정하여 발표할 계획이었으나 건강 악화로 실현되지 못했다. 연재는 계속되어 신채호 사후인 1948년에 총 12편의 단행본으로 종로서원에서 출간되었다. 2021. 3. 16.
[일제강점기/독립운동가] 대한민국 임시의정원 대한민국 임시의정원 ★ 대한민국 임시의정원(大韓民國臨時議政院, 1919~1946) :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의회이며 임시정부의 입법부의 역할을 맡았다. 임시의정원은 대한민국 임시헌법 상 한국 국민을 대표하는 단체로, 대한민국 임시의정원 의원으로 구성된다. 의회 구성은 각 도별 대표와 비례대표가 있었고, 의정원의 구성형태는단원제 의회였다. 2021. 3. 2.
[일제강점기/독립운동가]가네코 후미코 가네코 후미코 ★ 가네코 후미코(金子文子, 1903~1926) : 일본의 아나키스트, 한국의 아나키스트이자 독립운동가인 박열의 부인. 일본의 가나가와현 요코하마 출생으로 불우한 환경에서 자랐다. 1912년 한국의 충청북도의 친척에게 맡겨져 자랐으며, 3.1 운동을 목격하고 한국인의 독립의지에 공감하였다. 1919년 일본으로 돌아와 사회주의자와 교류하며 아나키스트가 되었고, 1922년 박열과 함께 살며 한국의 독립을 지지하고 일본을 비판하였다. 1923년 남편 박열과 함께 일본 황태자 암살 기도 혐의로 체포되어 1926년 사형선고를 받았으나 무기징역으로 감형되었다. 1926년 형무소에서 의문의 죽음을 맞았다. 2021. 2. 8.
[일제강점기/독립운동가] 박열 박열 ★ 박열(朴烈, 1902~1974) : 한국의 아나키스트, 사회운동가. 학생 시절 3.1 운동에 참여하여 퇴학당한 후 일본으로 유학한 뒤, 아나키스트로 활동하며 독립운동을 하였다. 1923년 일본 황태자 히로히토의 혼례식 때 암살을 기도한 혐의로 아내 가네코 후미코(金子文子)와 함께 체포되어 사형을 언도받았으나 무기징역으로 감형되었다. 이후, 가네코 후미코는 옥중에서 사망하였으나 박열은 22년을 복역하고 광복 후 풀려났다. 이후 일본에서 재일본조선거류민단(재일본대한민국민단의 전신)을 조직하였고 이승만을 지지하였고 신탁통치 반대 운동을 하였다. 정부수립 후 위국하여 한국독립당 당무위원을 지내기도 하였으며, 6.25전쟁 중에 납북되었다. 2021. 2. 8.
[일제강점기/독립운동가] 한용운 한용운 ★ 한용운(韓龍雲, 1879~1944) : 일제 강점기의 시인, 승려, 독립운동가이다. 불교를 통한 언론, 교육 활동을 하였으며, 불교 개혁과 불교의 현실 참여를 주장하였다. 3·1 만세 운동 당시 민족대표 33인으로 참여하였으며 신간회 창설하고 활동하기도 했다. 광복을 1년을 앞둔 1944년 병사하였다. 저서로 , 등이 있다. 대한민국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을 추서하였다. 2021. 2. 7.
[일제강점기/독립운동가]조명하 조명하 ★ 조명하(趙明河, 1905~1928) :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 공무원(읍서기)로 잠시 일하다가 일본에 유학하던 중 독립운동에 투신하기로 결심하였다. 상하이의 대한민국 임시정부로 가기 위해 타이완에 들렀다(1927). 일왕의 장인 일본 육군 대장 구니노미야 구니요시(久邇宮邦彦王)가 타이완에 방문했을 때 독을 바른 단검으로 찔렀으며(1928년 5월 14일), 구니요시는 이듬해 1월 독이 퍼져 사망하였다. 현장에서 체포되어 사형 선고를 받고, 그해 10월 10일 사형이 집행되어 순국하였다. 당시 24세였다. 1963년 대한민국 건국 공로훈장 독립장을 수여받았다. 2021. 2. 7.
[일제강점기/독립운동가] 이봉창 이봉창 ★ 이봉창(李奉昌, 1900~1932) : 한국의 독립운동가. 1910년 이후 일본으로 건너가 상인으로 활동하다가 중국으로 건너가 한인애국단의 단원이 되었다. 1932년 일본에 건너가 쇼와 일왕을 폭탄으로 저격하려 하였으나 실패하였다(1월 8일). 현장에서 체포되어 사형이 언도되었으며, 1932년 10월 10일 교수형으로 세상을 떠났다. 광복 후 유해를 봉환하여 1946년 효창공원에 윤봉길, 백정기 의사화 함께 안장하였다. 1962년 대한민국 건국훈장 대통령장에 추서되었다. 2021. 2. 6.
[일제강점기/독립운동가] 양기탁 양기탁 ★ 양기탁(梁起鐸, 1871~1938) : 한국의 언론인, 독립 운동가. 대한제국 때부터 애국계몽운동을 하였고 독립협회와 신민회 등의 창건에 참여하였으며, 105인 사건에 연루되어 고초를 겪었다. 1910년 이후 중국과 한국을 오가며 독립운동을 하였으며 대한민국 임시정부에도 참여하였다. 1938년 중국에서 병사하였다. 1993년 김영삼 정부 때 유해를 봉환하여 동작동 국립묘지로 이장하였다. 1962년 건국훈장 대통령장에 추서되었다. 2021. 2. 6.
[근대/독립운동가] 안창호 안창호 ★ 안창호(安昌浩, 1878~1938) : 대한제국의 교육개혁운동가 겸 애국계몽운동가,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 교육자, 정치가. 독립협회에서 활동하였으며, 해산 후 교육운동을 하였다. 이후 미국으로 건너가 한인 사회의 지도자로 활동하였으며, 대한민국 임시정부에 참여하여 독립 운동을 하였다. 특히 교육과 실력 양성 운동을 활발히 하여 점진학교, 대성학교, 동명학원을 설립하였다. 1932년 윤봉길의 훙커우 공원 의거 이후 일본 영사관 경찰의 불심검문에 체포되어 송환, 서대문형무소에 투옥되어 형문을 받고 출옥 직후 고문 후유증과 여러 합병증으로 사망하였다. 1962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에 추서되었다. 2021. 2. 4.
[일제강점기/독립운동가] 손병희 손병희 ★ 손병희(孫秉熙, 1861~1922) : 천도교(동학) 지도자이자 대한제국의 독립운동가. 1882년 동학에 입도하고 3년 뒤, 최시형의 수제자가 되었다. 1894년 동학농민운동 때는 관군에 맞서 싸웠으나, 동학농민혁명 실패로 무너진 동학의 재건과 포교 활동에 큰 공을 세워 1897년 동학의 3대 교주가 되었다. 이후 개화 사상을 받아들여 근대화 운동을 펼치다가, 정부의 동학 탄압을 피해 1901년 일본으로 망명하여 메이지유신으로 변화한 일본을 보고 단체를 조직하여 개화운동을 하였다. 1905년 동학을 천도교로 개칭하고 1906년 일본에서 귀국하여 천도교 재부의 친일 인사를 내보내고 교육과 출판 사업을 하였다. 1919년 민족대표 33인 중 한 명으로 3·1 운동을 주도하였다. 기미독립선언서 낭독.. 2021. 2. 4.
[일제강점기/독립운동가]나석주 나석주 ★ 나석주(羅錫疇, 1892~1926) : 한국의 독립운동가. 황해도 출신으로 23세에 만주로 건너가 북간도 나자구의 독립군 양성학교인 무관학교에 입학하여 군사 훈련을 받았다. 1920년 항일 비밀결사를 조직하여 독립운동 군자금을 모집하여 상하이의 대한민국 임시정부로 송금하고, 평산의 경찰 주재소를 습격하여 경찰관과 면장을 살해한 뒤 중국으로 피신했다. 신흥무관학교를 졸업한 후 중국 한단 군관학교를 졸업하고 한동안 중국군 장교로 복무하기도 했다. 그 후 대한민국 임시정부에서 김구(당시 경무국장)의 경호관이 되고 의열단에 가입하여 1926년 국내로 들어와 12월 28일 조선식산은행, 동양척식주식회사에 폭탄을 투척하였다. 일본 경찰과 대치하던 중에 총으로 자결을 시도하다 총상을 입고 병원으로 후송되어.. 2021. 2. 3.
[일제강점기/독립운동가] 김익상 김익상 ★ 김익상(金益相, 1895~1943) : 한국의 독립운동가. 평양의 숭실학교를 졸업한 후 교직에 종사하던 중, 1920년 중국의 펑톈(奉天)지점으로 전근갔다가 독립운동에 뜻을 두고 의열단에 가입하였다. 조선 총독 사이토 마코토 암살을 계획하고 폭탄과 권총을 휴대하고 서울에 잠입하여 1921년 조선총독부 청사 비서실에 폭탄을 던졌으나 암살은 실패하고, 베이징으로 망명하였다. 1922년 중국에 시찰온 일본 육군대장 다나카 기이치(田中義一)를 암살하고자 동료들과 권총으로 사격하고 폭탄을 던졌으나 실패하여 체포되었다. 일본 나가사키로 호송되어 사형을 선고받았으나, 무기징역으로 감형되어 20년 복역한 뒤 1943년 출소, 귀국하였으나 다시 궐석재판에서 사형을 언도받고 처형되었다. 1962년 건국훈장 대통.. 202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