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고학97 [백제/유적]서울 풍납동 토성 유적의 창고 유구 서울 풍납동 토성 유적의 창고 유구 ★ 서울 풍납동 토성 (서울 風納洞 土城) : 백제시대 초기(한성백제) 한강변에 흙으로 쌓은 평지성으로, 지금까지 발견된 가장 오래된 백제의 왕성유적이다. 서울 송파구에 있다. 원래는 둘레는 3.5㎞에 달하는 대규모 토성이었으나, 한강과 맞닿은 서쪽 성벽이 유실되어 지금은 2.1km정도만 남아있다. 토성 내부에서 발굴조사에서 중요 유구와 수만점의 유물이 출토되었으며, 한성백제기 최고 상류층 사용 주요시설이 확인되었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2. 12. 31. [백제/고분]부여 왕릉원(능산리 고분군) 부여 왕릉원(능산리 고분군) ★ 부여 왕릉원(능산리 고분군) : 부여군 부여읍 능산리 산 15번지 일대에 위치한 백제의 후기 고분들로 사비의 외곽성인 나성 밖에 자리하고 있다. 일제강점기부터 여러차례 발굴이 이루어졌다. 백제 사비 도읍기(538~660, 부여)에 조성되었으며, 20개의 고분이 발견되었다. 고분 중에 벽화고분인 동하총(능산리 1호분)이 있다. 고분 왼쪽에는 의자왕과 그의 아들 부여융의 가묘가 있으며, 1993년 고분군과 나성 사이에 능산리 절터가 발견되었으며 백제 금동대향로가 발견되었다. 사적 제 14호.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2. 12. 13. [백제/건축]익산 미륵사지 석탑(복원후) 익산 미륵사지 석탑(복원후) ★ 익산 미륵사지 석탑(益山 彌勒寺址 石塔) : 전라북도 익산시 금마면 미륵사지에 있는 백제의 석탑으로 백제 무왕 재위 중(639년)에 만들어졌다. 목조 건물을 석재로 구현한 것으로 목탑에서 석탑으로 이행하는 과정을 잘 보여준다. 원래는 미륵사지에는 3개의 금당과 탑이 있었으나 현재 서탑만 남아있다. 높이는 14.2m이며 파손되어 현재 6층까지만 남아있지만 원래 9층으로 추청한다. 일제강점기인 1915년에 탑의 붕괴를 막기 위해 시멘트로 보수하였으며, 2001년부터 국립문화재연구소가 본격적인 해체·보수 정비를 시작하여 2019년에 완공하였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2. 9. 25. [백제/건축]미륵사지 석탑 서탑 복원안 미륵사지 석탑 서탑 복원안 ★ 익산 미륵사지 석탑(益山 彌勒寺址 石塔) : 전라북도 익산시 금마면 미륵사지에 있는 백제의 석탑으로 백제 무왕 재위 중(639년)에 만들어졌다. 목조 건물을 석재로 구현한 것으로 목탑에서 석탑으로 이행하는 과정을 잘 보여준다. 원래는 미륵사지에는 3개의 금당과 탑이 있었으나 현재 서탑만 남아있다. 높이는 14.2m이며 파손되어 현재 6층까지만 남아있지만 원래 9층으로 추청한다. 일제강점기인 1915년에 탑의 붕괴를 막기 위해 시멘트로 보수하였으며, 2001년부터 국립문화재연구소가 본격적인 해체·보수 정비를 시작하여 2019년에 완공하였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2. 9. 24. [백제/건축]미륵사지 석탑 서탑 입면도(복원전) 미륵사지 석탑 서탑 입면도(복원전) ★ 익산 미륵사지 석탑(益山 彌勒寺址 石塔) : 전라북도 익산시 금마면 미륵사지에 있는 백제의 석탑으로 백제 무왕 재위 중(639년)에 만들어졌다. 목조 건물을 석재로 구현한 것으로 목탑에서 석탑으로 이행하는 과정을 잘 보여준다. 원래는 미륵사지에는 3개의 금당과 탑이 있었으나 현재 서탑만 남아있다. 높이는 14.2m이며 파손되어 현재 6층까지만 남아있지만 원래 9층으로 추청한다. 일제강점기인 1915년에 탑의 붕괴를 막기 위해 시멘트로 보수하였으며, 2001년부터 국립문화재연구소가 본격적인 해체·보수 정비를 시작하여 2019년에 완공하였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2. 9. 23. [백제/공예] 칠지도 실측도 칠지도 실측도 ★ 칠지도(七支刀) : 일본 나라현 덴리시 이소노카미 신궁(石上神宮)에 보관 중인 철제 칼. 길이 74.9cm의 양 옆으로 모두 6개의 가지가 뻗은 모양으로 앞면에 35자, 뒷면에 27자의 금상감 명문(銘文)이 새겨져 있다. 제작 연대가 6세기로 추정한다. 한국 역사학계는 칠지도가 백제왕이 일본왕에게 하사한 것으로 해석하고 있고, 일본은 일본서기의 신공황후의 삼한정벌에 대한 증거라 주장하며 침략을 정당화하는 데 악용하고 있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2. 9. 3. [선사시대]울주 천전리 각석(상부) 울주 천전리 각석(상부) ★ 울주 천전리 각석(蔚州 川前里 刻石) : 신석기 시대부터 신라에 이르기까지 여러 시대에 걸쳐 새겨져 온 바위그림(암각화). 태화강의 지류인 대곡천의 상류에 있으며, 대한민국의 국보 제147호이다. 가로 9.5m, 높이 2.7m의 인위적으로 다듬은 듯한 바위면에 조각이 새겨져 있다. 상부에는 신석기 시대에서 청동기 시대에 걸친 바위그림이, 하부에는 신라 초기부터 통일신라에 이르기까지 조각된 그림과 명문(銘文)이 새겨져 있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2. 5. 27. [선사&고대/청동기시대]움집 짓기(청동기 시대) 움집 짓기(청동기 시대) ★ 움집 : 땅을 파고 내려가 벽체 없이 지붕만 씌운 건축물로, 움막 · 움막집이라고도 하며 고고학에서는 수혈주거(豎穴住居)라 부른다. 땅을 판 다음, 기둥을 세우고 지붕틀을 만든 뒤, 풀이나 짚단으로 지붕을 이었다. 집 내부에는 화덕이 만들었다. 한국에서는 신석기시대부터 철기시대 초기까지 지었다고 추정한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2. 5. 24. [선사&고대/청동기시대]돌널무덤(부여 송국리) 돌널무덤(부여 송국리) ★ 돌널무덤(석관묘, 石棺墓) : 널길 없이 석재로 네 벽을 쌓은 무덤으로 평평한 돌(판석)을 상자 모양으로 만들어 관으로 사용하는 청동기 시대의 무덤. 상자식 돌널무덤이라고도 한다. 고인돌(지석묘)보다 앞선 시대에 나타나며, 한국의 돌널무덤은 청동기 시대 전 기간, 전 지역에 걸쳐 분포하였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2. 5. 23. [연맹왕국&삼국시대]널무덤(창원 다호리 유적) 널무덤(창원 다호리 유적) ★ 창원 다호리 고분군(昌原 茶戶里 古墳群) :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동읍에 있는 철기시대의 고분군이다. 선사시대부터 가야시대까지의 고분이 밀집되어 있는데, 대부분 널무덤(목관묘)이며, 중국 거울과 화폐 등도 출토되었다. 대한민국의 사적 제327호.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2. 5. 16. [초기철기시대]광주 신창동 유적 출토 유물 광주 신창동 유적 출토 유물 ★ 광주 신창동 유적 : 광주광역시 광산구 신창동에서 발견된 초기 철기 시대 유적. 다양한 재배작물 씨앗과 칼, 활 등 무기, 괭이, 낫 등 농기구, 원통모양칠기를 비롯한 각종 용기, 발화구, 신발골, 베틀 부속구, 현악기, 빗 등이 출토되었다. 당시의 농경 기술과 농경 의례를 유추할 수 있다. 발굴된 유물의 대부분은 국립광주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대한민국 사적 제375호.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2. 5. 13. [고조선]미송리식 토기 실측도 미송리식 토기 실측도 ★ 미송리식 토기(美松里式土器) : 고조선 시대에 만들어진 민무늬 토기. 1959년에 평안북도 의주군 미송리에서 처음 발견되어 그 지역의 이름을 따 미송리식 토기라 부르게 되었다. 만주와 한반도 북부 지역에 주로 발견되며, 고조선의 영토를 판별하는 유물 중 하나이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2. 5. 8. 고구려의 건국 고구려의 건국 ★ 고구려(高句麗, BC 37년~ AD 668년) : 한국의 고대 왕조 중 하나. 백제, 신라와 함께 삼국시대를 이루었다. 한반도 북부 지역과 만주, 연해주, 몽골 동부까지 지배하였으며, 5세기에 말갈, 거란, 실위 등을 휘하에 두었다. 7세기 중엽 내분과 당의 침입으로 멸망하였다. 이후 유민들이 부흥운동을 일으켰으나 실패하였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2. 5. 4. [청동기시대]한반도의 청동기 유적 한반도의 청동기 유적 ★ 한국의 청동기 시대 : BC 20c ~ BC 4c에 걸쳐 발전하였다. 신석기 시대에 비해 농업이 크게 발전하고 신분제가 성립되는 등 사회 ․ 경제적 변화가 일어났으며, 청동기 문화를 바탕으로 고대 국가가 성립되었다. 대표적 유물로는 비파형 동검, 민무늬 토기, 고인돌 등이 있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즉시 삭제하겠습니다 2022. 4. 26. [선사/신석기시대]다양한 어로 도구 다양한 어로 도구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즉시 삭제하겠습니다 2022. 4. 23. [선사/신석기시대]비봉리 목선 비봉리 목선 ★ 비봉리 목선(木船) : 2005년 경남 창녕군 비봉리에서 발굴된 신석기 시대의 나무배로 약 8천년 전에 만든 것으로 추정된다. 선체는 4m를 넘은 것으로 추정되며 치밀하게 가공한 흔적이 남아있다.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즉시 삭제하겠습니다 2022. 4. 22. [선사/신석기시대]사슴뼈로 만든 화살촉이 박힌 고래뼈 사슴뼈로 만든 화살촉이 박힌 고래뼈 ★ 사슴뼈로 만든 화살촉이 박힌 고래뼈 울산 남구 황성동의 신석기 시대(약 8천년 전) 유물층에서 발견되었다. 화살촉은 사슴 앞다리뼈를 갈아 만든 것으로 추정된다. 신석기시대 한반도에서 고래사냥을 했음을 보여준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즉시 삭제하겠습니다 2022. 4. 21. [선사/신석기시대]신석기 시대의 집자리 유적(양양 오산리) 신석기 시대의 집자리 유적 (양양 오산리) ★ 양양 오산리 유적(襄陽 鰲山里 遺蹟) : 강원도 양양군 손양면 오산리의 신석기 시대 집터 유적. 신석기시대 집터 11기, 불을 피웠던 자리 5기, 도구를 만들던 곳으로 보이는 돌무지 유구 2기가 확인되었다. 다량의 토기조각과 석기가 출토되었는데, 흑요석제 석기의 백두산 지역의 흑요석으로 밝혀졌다. 대한민국의 사적 제394호.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즉시 삭제하겠습니다 2022. 4. 19. [전시및박물관]부산 복천 박물관 부산 복천 박물관 탐방장소 : 부산 복천 박물관 탐방날자 : 2018년 9월 25일 그리 멀지 않은 곳에 있음에도 생각만 하고 가지 못했던 <복천 박물관>에 갔다. 복천 고분군 옆에 자리 잡은 <복천 박물관>은 도심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고도가 제법 높다. 지배층의 고분을 구릉에 조성하.. 2020. 1. 19. 황금 인간의 땅, 카자흐스탄展 황금 인간의 땅, 카자흐스탄展 탐방장소 : 국립중앙박물관 특별전시실 탐방날자 : 2018년 12월 26일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열린 <황금 인간의 땅, 카자흐스탄>展은 2017년 벨라루스를 시작으로 러시아, 폴란드, 중국 등에서 열렸고, 2018년 한국에서도 전시하였다. 전시장 입구의 포스터 카.. 2020. 1. 11. 이전 1 2 3 4 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