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고학110

[고구려/유적]국내성 유적(1930년대) 국내성 유적(1930년대) ★ 국내성(國內城) : 고구려의 두 번째 수도로, 졸본성(卒本城) 천도하였다(유리왕 22, AD3). 장수왕이 평양으로 수도를 옮기기 전까지 고구려의 수도였으며(3~427), 이곳을 중심으로 영토를 넓히고 강력한 중앙집권적 고대국가의 틀을 갖추어 나갔다. 위치는 중국 길림성 집안의 통구성(吉林省 集安 通溝城)으로 추정한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2. 1.
[연맹왕국/삼한]압독국의 순장묘 압독국의 순장묘 ★ 압독국(押督國) : 삼한(三韓)의 소국 중 하나로, 현재의 경상북도 경산시 압량읍 일대에 위치해 있었다. 와 에 2세기 경 신라에 복속되었다고 기록하고 있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1. 31.
[초기철기시대]야철지(울산) 야철지(울산) ★ 야철지(冶鐵址) : 철 생산과 관련된 작업장이 있던 유적. 제철유적.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1. 29.
[연맹왕국]새 모양 청동기 새 모양 청동기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1. 28.
[고조선]요령 강상 유적(강상무덤) 전경과 실측도 요령 강상 유적(강상무덤) 전경과 실측도    ★ 요령 강상 유적(遼寧崗上遺蹟) : 중국 요령성 대련시(大連市) 감정자구(甘井子區)에 있는 청동기시대 돌무지무덤(적석총) 등이 발굴된 무덤군으로, BC 8∼6세기 경의 고조선 지배층의 무덤이다. 동서 약 100m의 둥근 언덕에서 23기의 묘광과 144구 이상의 인골이 발견되었으며, 비파형동검을 비롯한 무기와 장신구, 토기, 석기, 뼈도구(골각기) 등이 발견되었다. 중심 묘광(7호묘)를 중심으로 여러 묘광이 둘러싸고 있어, 피장자 사이의 서열 관계가 있음을 유추한다. 2019. 1. 22.
네안데르탈인의 정착 지역 네안데르탈인의 정착 지역 ※ 저작권에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1. 18.
[선사&고대/청동기시대]다양한 석기들 다양한 석기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1. 17.
청동기 시대 마을(모형) 청동기 시대 마을(모형) ※ 저작권에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1. 16.
[연맹왕국]군장국가와 연맹왕국 군장국가와 연맹왕국 ★군장국가(君長國家, chiefdom) : 혈연관계에 기반하는 전근대 비산업 사회의 정체. 군장국가는 부족사회보다는 더 복잡하고 본격 국가보다는 덜 복잡한 사회구조이다. 한국사에서는 처음으로 나타난 국가 형태이며, 연맹왕국(聯盟王國) 이전의 단계이다. ★연맹왕국(聯盟王國) : 한국의 고대 국가발전 과정 중의 하나로, 고조선 멸망 후 건국된 여러 나라의 공통된 통치형태. 부여, 가야, 초기 고구려, 백제, 신라 등이 이에 해당된다. 국가 내에 여러 부족이 있고, 그들의 영향력이 막강했으며 상대적으로 왕권이 약했다. 각 부족은 중앙을 제외한 자신의 영토를 다스릴 자치권이 있었다. 연맹왕국을 벗어나 중앙집권 체제를 이룩한 고구려, 백제, 신라가 중앙집권을 이루지 못한 연맹왕국을 정복하였다... 2019. 1. 15.
[선사&고대/청동기시대]청동기 시대 대형 주거지(강화도) 청동기 시대 주거지(강화도)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1. 14.
[선사&고대/청동기시대]청동기 시대 집자리 유적(노은동 3호) 청동기 시대 집자리 유적(노은동 3호)   ★ 노은동 유적(老隱洞 遺蹟) : 대전광역시 유성구 노은동에 있는 선사시대의 유적으로 청동기시대 및 삼국시대 초기의 유적이다. 청동기시대 집자리 유적 12기와 송국리형 원형주거지 1기, 사각형주거지 1기를 조사하였고, 삼구시대 유적은 사각형 주거지 14기와 지상가옥으로 추정되는 유적이 복잡한 구조의 유적을 조사하였다. 겹아가리토기(이중구연토기)와 구멍무늬토기(공열토기)가 출토되었다. 대전광역시의 기념물 제38호. 2019. 1. 14.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실측도) 울산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실측도)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蔚州 大谷里 盤龜臺 岩刻畫, Petroglyphs of Bangudae Terrace in Daegok-ri, Ulju) : 울산광역시 울주군 언양읍에 위치한 암각화로, 태화강 상류의 지류 하천인 대곡천의 중류부 절벽에 있다. 신석기 시대부터 청동기 시대에 걸쳐 제작되었으며, 약 300여점의 그림(동물, 어류 및 해양 생물, 사람, 배, 연장 등)이 새겨져 있다.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고래 사냥 암각화로 유명하다. 대한민국국보 제285호로 지정되었으며, 유네스코 세계유산 후보목록인 '우선등재목록'에 '대곡천 암각화군'으로 묶여 올라있다. 지속적인 침수와 노출의 반복으로 풍화가 가속되어 사라져가고 있다. 저작권에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1. 13.
[선사&고대/청동기시대]고령 장기리 암각화와 실측도 고령 장기리 암각화와 실측도 ★ 고령 장기리 암각화(高靈 場基里 岩刻畫) : 경상북도 고령군 대가야읍 알터 마을 입구에 있는 높이 3m, 너비 6m의 암벽에 새겨진 바위그림(암각화, Petroglyph). 동심원, 십자형, 가면 등이 새겨져 있는데, 동심원은 태양, 사각형 안에 그려진 십자형은 부족사회의 생활권, 가면은 부적을 의미하는 것으로 추정한다. 태양신에게 소원을 빈 농경사회 신앙을 표현한 것으로 본다. 근처의 유적에서 출토되는 유물을 통해 청동기시대 후기(B.C. 300∼0)에 만들어진 암각화로 짐작하다. 대한민국의 보물 제605호.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1. 12.
[선사~고대/석기] 마제 석검 마제석검   ★ 마제석검(磨製石劍) : 청동기시대에 돌을 갈아서 만든 단검(短劍) 형태의 석기. 한반도의 청동기시대를 대표하는 석기 가운데 하나로, 거의 전 시기에 걸쳐 사용되었다. 출토 장소에 따라 용도가 다양하나, 실용성보다 상징성이 큰 것으로 추정된다. 2018. 10. 30.
[선사&고대/청동기시대]청동기 시대의 논 유적(논산 마전리 유적) 청동기 시대 논 유적 (논산 마전리 유적) ★ 논산 마전리 유적(論山麻田里遺蹟) : 충청남도 논산시 연무읍에 있는 청동기시대 유적으로 집터와 무덤 및 생활유적이 발견되었다. 여러 유적 중 수로와 보(洑) 시설을 갖춘 계단식 논 유적과 저장시설 등이 발견되어 당시의 농경과 정착 생활을 유추할 수 있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8. 10. 15.
[선사/신석기시대]움집 내부(복원) 움집 내부(복원) ★ 움집 : 땅을 파고 내려가 벽체 없이 지붕만 씌운 건축물로, 움막 · 움막집이라고도 하며 고고학에서는 수혈주거(豎穴住居)라 부른다. 땅을 판 다음, 기둥을 세우고 지붕틀을 만든 뒤, 풀이나 짚단으로 지붕을 이었다. 집 내부에는 화덕이 만들었다. 한국에서는 신석기시대부터 철기시대 초기까지 지었다고 추정한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즉시 삭제하겠습니다 2018. 9. 24.
[선사/신석기시대]암사동 움집 유적 암사동 움집 유적  ★ 암사동 움집 유적 : 서울 암사동 유적의 선사 집자리(주거지) 유적. 약 6,000년 전 신석기 시대의 집단 취락이다. 움집 터와 함께 빗살무늬 토기와 다양한 석기가 발견되어 신석기인의 생활상을 보여주다. 현재 암사 선사 공원과 전시관에 움집을 복원하여 전시하고 있다. 2018. 9. 23.
[선사/신석기시대]암사동 유적 움집 복원 모형 암사동 움집(복원) ★ 암사동 움집 유적 : 서울 암사동 유적의 선사 집자리(주거지) 유적. 약 6,000년 전 신석기 시대의 집단 취락이다. 움집 터와 함께 빗살무늬 토기와 다양한 석기가 발견되어 신석기인의 생활상을 보여주다. 현재 암사 선사 공원과 전시관에 움집을 복원하여 전시하고 있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즉시 삭제하겠습니다 2018. 9. 22.
[선사/구석기시대]쌍코뿔소와 사냥 도구 쌍코뿔소와 사냥 도구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8. 3. 30.
[선사/구석기시대]역포인 복원 모형 역포인 복원 모형 ★ 역포인(力浦人) : 한반도에 살던 호모 하이델베르겐시스에 속하는 화석인류. 1977년 평양직할시 역포구역(力浦區域) 대현동(大峴洞)에서 두개골 화석이 발견되었는데, 6~8세 된 소녀의 것으로 밝혀졌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즉시 삭제하겠습니다 2018. 3.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