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고학98

[신라]경주 나정 유적에서 발견된 건물터 경주 나정 유적에서 발견된 건물터 ★ 경주 나정(慶州 蘿井) : 신라의 시조 박혁거세(朴赫居世)의 탄강전설(誕降傳說)이 깃든 우물. 경상북도 경주시 탑동 소재. 사적 제245호. 2019. 4. 29.
[백제/공예]호자(부여 군수리 출토) 호자(부여 군수리 출토) ★ 호자(虎子)(부여 군수리 출토) : 부여 군수리에서 출토된 남성용 변기. 와질토기(瓦質土器)이며 사비시대(6~7세기)에 만든 것으로 추정한다. 호랑이 모양이어서 호자라고 부른다. 삼국 초기에는 중국에서 수입한 도자기 재질의 호자를 사용하였으나 점차 토제 호자를 제작하여 사용하였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4. 6.
[백제/고분유물]나주 신촌리 금동관 나주 신촌리 금동관 ★ 나주 신촌리 금동관 (羅州 新村里 金銅冠) : 전라남도 나주 반남면 신촌리 9호 무덤에서 발견된 금동관. 높이 25.5㎝. 5세기 경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한다. 기본 형태는 신라 금관과 같으나 머리띠 장식이 ‘山’자 모양이 아닌 풀꽃 모양이다. 금동관의 주인은 지역의 지배세력을 추정하며, 백제의 왕에게 하사받은 것인지 현지 토착 세력이 제작한 것인지 분명하지 않다. 국보 295호.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4. 5.
[백제]서산 용현리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서산마애삼존불상) 서산 용현리 마애 여래 삼존상 (서산 마애 삼존 불상) ★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瑞山龍賢里磨崖如來三尊像) : 충청남도 서산시 운산면 용현리의 가야산 절벽에 새겨진 백제 후기의 마애불. 중앙에 여래 입상을 양각(陽刻)하고 오른쪽에 보살 입상을, 왼쪽에 반가사유형 보살좌상을 배치하였다. 삼존의 고졸(古拙)한 미소는 백제 불상의 특징이며 ‘백제의 미소’라 불린다. 1962년 국보 제84호 서산마애삼존불상(瑞山磨崖三尊佛像)으로 지정되었다가, 2010년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4. 5.
[백제/공예]벼루(공주 공산성 출토) 벼루(공주 공산성 출토)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4. 4.
[백제/공예]칠지도 칠지도 ★ 칠지도(七支刀) : 일본 나라현 덴리시 이소노카미 신궁(石上神宮)에 보관 중인 철제 칼. 길이 74.9cm의 양 옆으로 모두 6개의 가지가 뻗은 모양으로 앞면에 35자, 뒷면에 27자의 금상감 명문(銘文)이 새겨져 있다. 제작 연대가 6세기로 추정한다. 한국 역사학계는 칠지도가 백제왕이 일본왕에게 하사한 것으로 해석하고 있고, 일본은 일본서기의 신공황후의 삼한정벌에 대한 증거라 주장하며 침략을 정당화하는 데 악용하고 있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3. 28.
[백제/불교미술]부여 정림사지 5층 석탑 부여 정림사지 5층 석탑 ★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扶餘定林寺址五層石塔) : 백제시대 대표적 석탑.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동남리에 정림사지에 있다. 6세기 중엽에 건립되었으며 한국 석탑의 시조(始祖)라 할 수 있다. 목탑의 양식을 따른 미륵사지 석탑에 비해 소략해져 목탑에서 석탑으로 변화를 보여준다. 화강암으로 지었으며 높이는 8.33m이다. 국보 제9호. 저작권에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3. 25.
[백제/건축]익산 미륵사지 석탑 익산 미륵사지 석탑 ★ 익산 미륵사지 석탑(益山 彌勒寺址 石塔) : 전라북도 익산시 금마면 미륵사지에 있는 백제의 석탑으로 백제 무왕 재위 중(639년)에 만들어졌다. 목조 건물을 석재로 구현한 것으로 목탑에서 석탑으로 이행하는 과정을 잘 보여준다. 원래는 미륵사지에는 3개의 금당과 탑이 있었으나 현재 서탑만 남아있다. 높이는 14.2m이며 파손되어 현재 6층까지만 남아있지만 원래 9층으로 추청한다. 일제강점기인 1915년에 탑의 붕괴를 막기 위해 시멘트로 보수하였으며, 2001년부터 국립문화재연구소가 본격적인 해체·보수 정비를 시작하여 2019년에 완공하였다. 저작권에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3. 25.
[백제/건축]공주 공산성 공주 공산성 ★ 공주 공산성(公州 公山城) : 백제의 대표적인 고대 성곽으로 백제의 문주왕 원년(475) 한강유역의 한성에서 웅진으로 천도한 후 삼근왕·동성왕·무령왕을 거쳐 성왕 16년(538)에 부여로 옮길 때까지 대표적인 웅진시대의 도성이었으며 그 후 신라·고려·조선 시대에도 행정과 군사적 요충지였다. 백제 시대 토성 735m, 조선시대 석성 1925m, 총둘레 2,660m의 포곡형 산성이다. 사적 제12호, 충청남도 공주시 소재. 저작권에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3. 25.
[고구려/유적]국내성 유적(1930년대) 국내성 유적(1930년대) ★ 국내성(國內城) : 고구려의 두 번째 수도로, 졸본성(卒本城) 천도하였다(유리왕 22, AD3). 장수왕이 평양으로 수도를 옮기기 전까지 고구려의 수도였으며(3~427), 이곳을 중심으로 영토를 넓히고 강력한 중앙집권적 고대국가의 틀을 갖추어 나갔다. 위치는 중국 길림성 집안의 통구성(吉林省 集安 通溝城)으로 추정한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2. 1.
[연맹왕국/삼한]압독국의 순장묘 압독국의 순장묘 ★ 압독국(押督國) : 삼한(三韓)의 소국 중 하나로, 현재의 경상북도 경산시 압량읍 일대에 위치해 있었다. 와 에 2세기 경 신라에 복속되었다고 기록하고 있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1. 31.
[초기철기시대]야철지(울산) 야철지(울산) ★ 야철지(冶鐵址) : 철 생산과 관련된 작업장이 있던 유적. 제철유적.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1. 29.
[연맹왕국]새 모양 청동기 새 모양 청동기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1. 28.
[고조선]요령 강상 유적(강상무덤) 전경과 실측도 요령 강상 유적(강상무덤) 전경과 실측도 ★ 요령 강상 유적(遼寧崗上遺蹟) : 중국 요령성 대련시(大連市) 감정자구(甘井子區)에 있는 청동기시대 돌무지무덤(적석총) 등이 발굴된 무덤군으로, BC 8∼6세기 경의 고조선 지배층의 무덤이다. 동서 약 100m의 둥근 언덕에서 23기의 묘광과 144구 이상의 인골이 발견되었으며, 비파형동검을 비롯한 무기와 장신구, 토기, 석기, 뼈도구(골각기) 등이 발견되었다. 중심 묘광(7호묘)를 중심으로 여러 묘광이 둘러싸고 있어, 피장자 사이의 서열 관계가 있음을 유추한다. 저작권에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1. 22.
네안데르탈인의 정착 지역 네안데르탈인의 정착 지역 ※ 저작권에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1. 18.
[선사&고대/청동기시대]다양한 석기들 다양한 석기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1. 17.
청동기 시대 마을(모형) 청동기 시대 마을(모형) ※ 저작권에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1. 16.
[연맹왕국]군장국가와 연맹왕국 군장국가와 연맹왕국 ★군장국가(君長國家, chiefdom) : 혈연관계에 기반하는 전근대 비산업 사회의 정체. 군장국가는 부족사회보다는 더 복잡하고 본격 국가보다는 덜 복잡한 사회구조이다. 한국사에서는 처음으로 나타난 국가 형태이며, 연맹왕국(聯盟王國) 이전의 단계이다. ★연맹왕국(聯盟王國) : 한국의 고대 국가발전 과정 중의 하나로, 고조선 멸망 후 건국된 여러 나라의 공통된 통치형태. 부여, 가야, 초기 고구려, 백제, 신라 등이 이에 해당된다. 국가 내에 여러 부족이 있고, 그들의 영향력이 막강했으며 상대적으로 왕권이 약했다. 각 부족은 중앙을 제외한 자신의 영토를 다스릴 자치권이 있었다. 연맹왕국을 벗어나 중앙집권 체제를 이룩한 고구려, 백제, 신라가 중앙집권을 이루지 못한 연맹왕국을 정복하였다... 2019. 1. 15.
[선사&고대/청동기시대]청동기 시대 집자리 유적(노은동 3호) 청동기 시대 집자리 유적 (노은동 3호) ★ 노은동 유적(老隱洞 遺蹟) : 대전광역시 유성구 노은동에 있는 선사시대의 유적으로 청동기시대 및 삼국시대 초기의 유적이다. 청동기시대 집자리 유적 12기와 송국리형 원형주거지 1기, 사각형주거지 1기를 조사하였고, 삼구시대 유적은 사각형 주거지 14기와 지상가옥으로 추정되는 유적이 복잡한 구조의 유적을 조사하였다. 겹아가리토기(이중구연토기)와 구멍무늬토기(공열토기)가 출토되었다. 대전광역시의 기념물 제38호.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1. 14.
[선사&고대/청동기시대]청동기 시대 대형 주거지(강화도) 청동기 시대 주거지(강화도)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1.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