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사사진자료실2316

[일제강점기/의열투쟁] 강우규 의사의 수형 기록 카드 강우규 의사의 수형 기록 카드 ★ 강우규(姜宇奎, 1855~1920) : 일제 강점기의 한의사이자 독립운동가. 1919년 조선총독부 총독으로 부임해 온 사이토 마코토를 저격하였으나 폭탄이 다른 데로 떨어져 거사에 실패하였으나, 일제 관헌 및 추종자 37명에게 중경상을 입혔다. 현장에서 도피하였으나 친일파 고등계 형사 김태석에서 붙잡혀 수감되었고, 1920년 11월 29일 서대문감옥에서 교수형을 당하였다. 2020. 10. 20.
[일제강점기/의열투쟁] 강우규 의거 신문기사(LA Times) 강우규 의거 신문기사 (LA Times) ★ 강우규(姜宇奎, 1855~1920) : 일제 강점기의 한의사이자 독립운동가. 1919년 조선총독부 총독으로 부임해 온 사이토 마코토를 저격하였으나 폭탄이 다른 데로 떨어져 거사에 실패하였으나, 일제 관헌 및 추종자 37명에게 중경상을 입혔다. 현장에서 도피하였으나 친일파 고등계 형사 김태석에서 붙잡혀 수감되었고, 1920년 11월 29일 서대문감옥에서 교수형을 당하였다. 2020. 10. 20.
[일제강점기/의열투쟁] 강우규 의거 신문기사(동아일보) 강우규 의거 신문기사 (동아일보) ★ 강우규(姜宇奎, 1855~1920) : 일제 강점기의 한의사이자 독립운동가. 1919년 조선총독부 총독으로 부임해 온 사이토 마코토를 저격하였으나 폭탄이 다른 데로 떨어져 거사에 실패하였으나, 일제 관헌 및 추종자 37명에게 중경상을 입혔다. 현장에서 도피하였으나 친일파 고등계 형사 김태석에서 붙잡혀 수감되었고, 1920년 11월 29일 서대문감옥에서 교수형을 당하였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10. 20.
[일제강점기/의열투쟁] 강우규 강우규 ★ 강우규(姜宇奎, 1855~1920) : 일제 강점기의 한의사이자 독립운동가. 1919년 조선총독부 총독으로 부임해 온 사이토 마코토를 저격하였으나 폭탄이 다른 데로 떨어져 거사에 실패하였으나, 일제 관헌 및 추종자 37명에게 중경상을 입혔다. 현장에서 도피하였으나 친일파 고등계 형사 김태석에서 붙잡혀 수감되었고, 1920년 11월 29일 서대문감옥에서 교수형을 당하였다. 2020. 10. 19.
[일제강점기/3.1운동]제암리 학살 사건의 유족들 제암리 학살 사건의 유족들 ★ 제암리 학살 사건(提巖里虐殺事件) : 일제강점기인 1919년 4월 15일 경기도 수원군 향남면(화성시 향남읍) 제암리 소재 제암리 감리교회에서 일어난 학살 사건. 1919년 3월 1일에 독립 만세 운동이 일어난 뒤, 3월 31일 발안 장날에 경기도 화성시(당시 수원군) 향남면 제암리에서 독립 만세 운동이 일어났다. 이날 이후 주민들이 밤마다 뒷산에 올라 봉화를 올려 만세운동은 계속하였다. 일본 경찰은 총칼로 시위를 진압하고 제암리 일대에서 검거 ․ 토벌 작전을 자행하였다. 일제는 지역 만세운동의 중심지인 제암리를 토벌할 계획을 세우고, 4월 15일 “만세운동 과잉 집안에 대한 사과”를 빌미로 주민들은 교회에 모아 놓고, 총을 쏘고 교회에 불을 질러 주민들을 학살하였다. 제암.. 2020. 10. 16.
[일제강점기/3.1운동]제암리 학살 사건 제암리 학살 사건 ★ 제암리 학살 사건(提巖里虐殺事件) : 일제강점기인 1919년 4월 15일 경기도 수원군 향남면(화성시 향남읍) 제암리 소재 제암리 감리교회에서 일어난 학살 사건. 1919년 3월 1일에 독립 만세 운동이 일어난 뒤, 3월 31일 발안 장날에 경기도 화성시(당시 수원군) 향남면 제암리에서 독립 만세 운동이 일어났다. 이날 이후 주민들이 밤마다 뒷산에 올라 봉화를 올려 만세운동은 계속하였다. 일본 경찰은 총칼로 시위를 진압하고 제암리 일대에서 검거 ․ 토벌 작전을 자행하였다. 일제는 지역 만세운동의 중심지인 제암리를 토벌할 계획을 세우고, 4월 15일 “만세운동 과잉 집안에 대한 사과”를 빌미로 주민들은 교회에 모아 놓고, 총을 쏘고 교회에 불을 질러 주민들을 학살하였다. 제암리 학살을.. 2020. 10. 15.
[일제강점기/3.1운동]천안 아우내 만세운동 재현 천안 아우내 만세운동 재현 ★ 천안 아우내 만세운동 : 1919년 3월 1일 시작된 3.1운동을 전국으로 확산되었는데, 1919년 4월 1일(음력 3월 1일) 천안 병천 시장에서 3,000여 명의 군중이 참가한 대규모 만세 운동이 일어났다. 일본 경찰과 헌병은 총검을 이용하여 강력한 진압을 하여 많은 사상자가 발생하였다. 일본의 강제 진압으로 현장에서 죽은 사람은 19명이며, 유관순을 포함한 많은 참가자들이 부상, 투옥 등의 어려움을 겪었다. 2020. 10. 15.
[일제강점기/독립운동가]유관순의 수형표 유관순의 수형표 ★ 유관순(柳寬順, 1902~1920) :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 이화학당 재학 중, 1919년 3월 1일 3.1 운동에 참여하고 3월 5일의 만세 시위에도 참여하였다. 총독부의 휴교령으로 천안으로 내려와 후속 만세 시위에 주도적으로 참여했다가 일제에 체포되어 징역 3년을 선고받았다. 교도소 내 가혹행위로 인해 1920년 9월 28일에 사망했으며, 2013년에 주일대사관에서 발견되어 국가기록원이 이관받아 11월 19일에 공개된 자료에 의하면 "유관순, 옥중에서 타살(打殺)"로 기재되어 있다. 1962년에 대한민국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되었으며, 1996년에 이화여자고등학교는 명예 졸업장을 추서하였다.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병천면 용두리의 생가가 복원되어 1991년에 사적 제230호로.. 2020. 10. 15.
[일제강점기/3.1운동]민족대표 33인 민족대표 33인 ★ 민족대표 33인(民族代表三十三人) : 1919년 3·1 운동 때 발표된 기미독립선언서에 서명한 33명. 천도교, 기독교, 불교에서 각 15명, 16명, 2명씩 참가했다. 1919년 3월 1일 민족대표 33인 중 29인이 태화관(종로구 소재)에 모여 독립선언을 하고, 총독부에 이 사실을 알렸다. 이들 대다수는 일제에 체포되어 옥고를 치렀다. 2020. 10. 12.
[일제강점기/독립운동]2·8 독립 선언의 주역들 2·8 독립 선언의 주역들 ★ 2·8 독립 선언(二·八獨立宣言) : 1919년 2월 8일 일본 도쿄에서 한국 유학생들이 조선의 독립을 선언한 사건으로, 3·1 독립선언의 도화선이 되었다. 1차대전의 종전과 윌슨의 , 등의 영향으로 받았다. 도쿄의 기독교청년회관(YMCA)에서 재일 유학생들이 ‘조선청년독립단’ 발족을 선언하고 이광수가 작성한 2·8독립선언서를 낭독하였다. 이 사건으로 60여명의 한국 학생들이 검거되었다. 2020. 10. 11.
[일제강점기/3.1운동]3·1독립선언서 3·1독립선언서 ★ 3·1독립선언서(3·1獨立宣言書) : 기미독립선언서라고도 한다. 한국(조선)이 주권을 가진 독립국임을 선언한 문서로 1919년 3월 1일의 3·1 운동 때 민족대표 33인이 독립을 선언한 글로, 상해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기초가 되었다. 이보다 앞서 1919년 2월 1일에 중국 지린에서 발표된 대한독립선언(무오독립선언)과 일본 도쿄에서 선포된 2·8 독립 선언의 영향을 받았다. 2020. 10. 11.
[일제강점기/3.1운동]대한독립선언(무오독립선언) 대한독립선언(무오독립선언) ★ 대한독립선언(大韓獨立宣言) : 1919년 2월 1일에 발표된 독립선언. 3·1 운동의 전초가 된 독립선언서 발표 사건으로 만주 지린(吉林)에서 만주와 연해주 및 중국, 미국 등 해외에서 활동 중인 독립운동가들 39명의 명의로 발표하였다. 언문은 조소앙(趙素昻)이 작성하였다. 무오독립선언, 길림선언 등으로도 부른다. 2020. 10. 11.
[일제강점기/3.1운동]3.1운동 기념탑 3.1운동 기념탑 ★ 3·1 운동 : 일제 강점기에 있던 조선인들이 일제의 지배에 항거하여 1919년 3월 1일 한일 병합 조약의 무효와 한국의 독립을 선언하고 비폭력 만세 운동을 시작한 사건. 3.1운동은 전국으로 확산되었고 5월까지 지속되었으며, 해외에서도 있어났다. 일제는 3.1운동을 무자비하게 탄압하였다. 3.1운동을 계기로 일제의 무단 통치가 해외에 알려졌고, 일제는 통치 방식으로 문화통치로 바꾸었다. 또한, 3.1운동을 계기로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수립되어 국내외의 독립운동이 조직적으로 실행되었다. 대한민국 제헌 헌법에서는 3·1 운동을 대한민국 건국의 기원으로 삼아 임시 정부의 법통을 계승한다는 것을 천명하였다. 2020. 10. 4.
[일제강점기/3.1운동]해외의 3.1운동 해외의 3.1운동 ★ 3·1 운동 : 일제 강점기에 있던 조선인들이 일제의 지배에 항거하여 1919년 3월 1일 한일 병합 조약의 무효와 한국의 독립을 선언하고 비폭력 만세 운동을 시작한 사건. 3.1운동은 전국으로 확산되었고 5월까지 지속되었으며, 해외에서도 있어났다. 일제는 3.1운동을 무자비하게 탄압하였다. 3.1운동을 계기로 일제의 무단 통치가 해외에 알려졌고, 일제는 통치 방식으로 문화통치로 바꾸었다. 또한, 3.1운동을 계기로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수립되어 국내외의 독립운동이 조직적으로 실행되었다. 대한민국 제헌 헌법에서는 3·1 운동을 대한민국 건국의 기원으로 삼아 임시 정부의 법통을 계승한다는 것을 천명하였다. 2020. 10. 4.
[일제강점기/3.1운동] 3.1 운동의 확산 3.1 운동의 확산 ★ 3·1 운동 : 일제 강점기에 있던 조선인들이 일제의 지배에 항거하여 1919년 3월 1일 한일 병합 조약의 무효와 한국의 독립을 선언하고 비폭력 만세 운동을 시작한 사건. 3.1운동은 전국으로 확산되었고 5월까지 지속되었으며, 해외에서도 있어났다. 일제는 3.1운동을 무자비하게 탄압하였다. 3.1운동을 계기로 일제의 무단 통치가 해외에 알려졌고, 일제는 통치 방식으로 문화통치로 바꾸었다. 또한, 3.1운동을 계기로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수립되어 국내외의 독립운동이 조직적으로 실행되었다. 대한민국 제헌 헌법에서는 3·1 운동을 대한민국 건국의 기원으로 삼아 임시 정부의 법통을 계승한다는 것을 천명하였다. 2020. 10. 4.
[일제강점기/3.1운동]3.1운동 참여 인원 3.1운동 참여 인원 ★ 3·1 운동 : 일제 강점기에 있던 조선인들이 일제의 지배에 항거하여 1919년 3월 1일 한일 병합 조약의 무효와 한국의 독립을 선언하고 비폭력 만세 운동을 시작한 사건. 3.1운동은 전국으로 확산되었고 5월까지 지속되었으며, 해외에서도 있어났다. 일제는 3.1운동을 무자비하게 탄압하였다. 3.1운동을 계기로 일제의 무단 통치가 해외에 알려졌고, 일제는 통치 방식으로 문화통치로 바꾸었다. 또한, 3.1운동을 계기로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수립되어 국내외의 독립운동이 조직적으로 실행되었다. 대한민국 제헌 헌법에서는 3·1 운동을 대한민국 건국의 기원으로 삼아 임시 정부의 법통을 계승한다는 것을 천명하였다. 2020. 10. 3.
[일제강점기/3.1운동]3.1운동 시 투옥자 직업 분포 3.1운동 시 투옥자 직업 분포 ★ 3·1 운동 : 일제 강점기에 있던 조선인들이 일제의 지배에 항거하여 1919년 3월 1일 한일 병합 조약의 무효와 한국의 독립을 선언하고 비폭력 만세 운동을 시작한 사건. 3.1운동은 전국으로 확산되었고 5월까지 지속되었으며, 해외에서도 있어났다. 일제는 3.1운동을 무자비하게 탄압하였다. 3.1운동을 계기로 일제의 무단 통치가 해외에 알려졌고, 일제는 통치 방식으로 문화통치로 바꾸었다. 또한, 3.1운동을 계기로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수립되어 국내외의 독립운동이 조직적으로 실행되었다. 대한민국 제헌 헌법에서는 3·1 운동을 대한민국 건국의 기원으로 삼아 임시 정부의 법통을 계승한다는 것을 천명하였다. 2020. 10. 3.
[일제강점기/3.1운동] 일제의 3.1 운동 탄압 일제의 3.1 운동 탄압 ★ 3·1 운동 : 일제 강점기에 있던 조선인들이 일제의 지배에 항거하여 1919년 3월 1일 한일 병합 조약의 무효와 한국의 독립을 선언하고 비폭력 만세 운동을 시작한 사건. 3.1운동은 전국으로 확산되었고 5월까지 지속외었으며, 해외에서도 있어났다. 일제는 3.1운동을 무자비하게 탄압하였다. 3.1운동을 계기로 일제의 무단 통치가 해외에 알려졌고, 일제는 통치 방식으로 문화통치로 바꾸었다. 또한, 3.1운동을 계기로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수립되어 국내외의 독립운동이 조직적으로 실행되었다. 대한민국 제헌 헌법에서는 3·1 운동을 대한민국 건국의 기원으로 삼아 임시 정부의 법통을 계승한다는 것을 천명하였다. 2020. 10. 3.
[일제강점기/3.1운동]3.1운동 3.1운동 ★ 3·1 운동 : 일제 강점기에 있던 조선인들이 일제의 지배에 항거하여 1919년 3월 1일 한일 병합 조약의 무효와 한국의 독립을 선언하고 비폭력 만세 운동을 시작한 사건. 3.1운동은 전국으로 확산되었고 5월까지 지속외었으며, 해외에서도 있어났다. 일제는 3.1운동을 무자비하게 탄압하였다. 3.1운동을 계기로 일제의 무단 통치가 해외에 알려졌고, 일제는 통치 방식으로 문화통치로 바꾸었다. 또한, 3.1운동을 계기로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수립되어 국내외의 독립운동이 조직적으로 실행되었다. 대한민국 제헌 헌법에서는 3·1 운동을 대한민국 건국의 기원으로 삼아 임시 정부의 법통을 계승한다는 것을 천명하였다. 2020. 10. 2.
[일제강점기/3.1운동]3.1운동 3.1운동 ★ 3·1 운동 : 일제 강점기에 있던 조선인들이 일제의 지배에 항거하여 1919년 3월 1일 한일 병합 조약의 무효와 한국의 독립을 선언하고 비폭력 만세 운동을 시작한 사건. 3.1운동은 전국으로 확산되었고 5월까지 지속외었으며, 해외에서도 있어났다. 일제는 3.1운동을 무자비하게 탄압하였다. 3.1운동을 계기로 일제의 무단 통치가 해외에 알려졌고, 일제는 통치 방식으로 문화통치로 바꾸었다. 또한, 3.1운동을 계기로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수립되어 국내외의 독립운동이 조직적으로 실행되었다. 대한민국 제헌 헌법에서는 3·1 운동을 대한민국 건국의 기원으로 삼아 임시 정부의 법통을 계승한다는 것을 천명하였다. 2020. 10.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