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사진자료실2316 [일제강점기/독립운동가] 박준채 박준채 ★ 박준채(朴準埰, 1914~2001) : 한국의 독립운동가. 광주고등보통학교 2학년생이던 1929년 10월 30일 하교길에 나주역 입구에서 일본 중학생이 자신의 사촌 누이를 비롯한 한국인 여학생을 희롱하는 것을 보고 항의하였으나, 일본 학생은 조롱으로 응수하였다. 박준채를 격분하여 일본 학생을 때리자, 한일 학생들의 싸움으로 번졌다. 이 사건을 계기로 광주학생항인운동이 발발하였다. 시위에 적극적으로 참가하다 일본 경찰에 체포되어 심문을 받았다. 1990년 건국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수여받았다. 2020. 12. 20. [일제강점기/시위운동]광주학생항일운동 기념탑 광주학생항일운동 기념탑 ★ 광주 학생 항일 운동(광주 학생 독립 운동) : 1929년 11월 3일부터 광주 시내에서 일본 학생이 한국 여학생을 희롱하자 일어난 한국 학생과 일본 학생 간 충돌을 계기로 광주지역 학생의 대규모 시위가 일어났다(11월 12일). 시위는 호남 일대로 확산되고 서울을 거쳐 11월 말 쯤에는 전국 각지로, 12월에는 간도(만주) 등지로 퍼져나갔다. 이 운동은 1930년 5월까지 전국적인 동맹휴학, 학생 항일 시위로 변모, 발전했다. 2020. 12. 20. [일제강점기/대한제국및황실]순종의 장례 순종의 장례 ★ 순종(純宗, 1874~1926) : 대한제국 제2대 황제이자 한국사의 마지막 황제. 고종과 명성황후의 아들이며, 고종의 장성한 자녀 중 유일한 적자이다. 대한제국이 병합된 이후에는 사실상 일본 천황의 신하로서 왕공족 중 이왕가의 수장인 이왕(李王)으로 불렸다. 순종의 장례식에 6.10 만세운동이 일어났으며, 3.1 운동만큼 확산되지는 못했지만 민족주의 계파와 사회주의 계파가 합작한 신간회가 결성되는 계기가 되었다. 2020. 12. 19. [일제강점기/시위운동]6·10 만세 운동 6·10 만세 운동 ★ 6·10 만세 운동(六十萬歲運動) : 일제 강점기 한국에서 학생을 중심으로 하여 일어난 독립운동으로 3·1 운동을 잇는 전국적·전민중적인 항일운동이다. 순종의 인산일(因山日)에 상여가 지나갈 때 격문을 뿌리고 만세를 불러 시민들이 호응하여 대규모 시위로 확대되었으나, 조직 사이의 유대 결여 및 사회주의 게열의 사전 체포 등으로 일본 경찰에 제지당하여 실패하였지만, 시위는 전국으로 확산되었으며, 1927년 여러 사회 단체 결성과 광주학생항일운동(1929)에 영향을 주었다. 2020. 12. 16. [일제강점기/사회운동]1920년대 사회 단체 현황 1920년대 사회 단체 현황 2020. 11. 7. [일제강점기/해외독립운동]1920년대 만주 지역의 독립 투쟁 1920년대 만주 지역의 독립 투쟁 2020. 11. 7. [일제강점기/독립운동]3.1 운동 전후의 동립 운동 단체 3.1 운동 전후의 동립 운동 단체 ★ 3·1 운동 : 일제 강점기에 있던 조선인들이 일제의 지배에 항거하여 1919년 3월 1일 한일 병합 조약의 무효와 한국의 독립을 선언하고 비폭력 만세 운동을 시작한 사건. 3.1운동은 전국으로 확산되었고 5월까지 지속되었으며, 해외에서도 있어났다. 일제는 3.1운동을 무자비하게 탄압하였다. 3.1운동을 계기로 일제의 무단 통치가 해외에 알려졌고, 일제는 통치 방식으로 문화통치로 바꾸었다. 또한, 3.1운동을 계기로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수립되어 국내외의 독립운동이 조직적으로 실행되었다. 대한민국 제헌 헌법에서는 3·1 운동을 대한민국 건국의 기원으로 삼아 임시정부의 법통을 계승한다는 것을 천명하였다. 2020. 11. 7. [일제강점기/일제의탄압과만행] 간도참변 간도참변 ★ 간도참변(間島慘變) : 경신참변(庚申慘變)이라고도 한다. 1920년 독립군 섬멸 계획 실패 및 봉오동 ․ 청산리 전투 패배에 대한 보복으로 간도 일대(만주지역)의 한국인들을 학살한 사건. 약 27일 동안 3,469명을 학살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실제 사망자는 수만명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 일제는 노령 연해주에서도 이와 같은 만행을 저질렀다. 2020. 10. 26. [일제강점기] 간도의 한인 정착촌 간도의 한인 정착촌 2020. 10. 26. [일제강점기/독립운동가] 김좌진 김좌진 ★ 김좌진(金佐鎭, 1889~1930) : 일제 강점기의 군인이자 독립운동가,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정치인. 충청남도의 부유한 가문에서 태어나 1905년 대한제국 육군무관학교에 입학하고 가노 해방 및 전답을 무상 분배, 교육사업과 언론운동을 펼쳤다. 무관학교 졸업 후 북간도에 독립군 사관학교 설립을 추진하였으나 실패하였다. 이후, 1917년 대한광복단을 조직하여 활동하였고 1918년 만주로 망명, 무오 독립선언에 하였다. 1919년 북로군정서 사단장과 사관연성소 소장을 역임하였고, 1920년 청산리 전투를 지휘하여 큰 승리를 거두었다. 자유시 참변 이후 1925년 군사위원장 겸 사령관직 겸임한 신민부를 창건하고, 성동사관학교를 세워 부교장으로서 정예사관 양성에 심혈을 기울였다. 이때 대한민국 임시정.. 2020. 10. 26. [일제강점기/독립운동가] 홍범도 홍범도 ★ 홍범도(洪範圖, 1868~1943) : 조선 말기의 의병장,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 군인. 사냥꾼으로 활동하여 사격술에 능하였다. 1895년부터 의병 활동을 하였고 1910년 한일 병합 조약 이후에는 만주에서 독립군을 이끌었다. 1919년 간도 국민회의 대한 독립군 사령관이 되어 국내로 잠입하여 일본군을 습격하였고, 후에 독립군의 통합운동을 벌여 대한독립군단을 조직하여 김좌진과 함께 부총재가 되었다.1920년 일본군이 봉오동을 공격해 오자 3일간의 전투에서 120명을 사살하고 최대의 전과를 올렸고(봉오동 전투), 청산리대첩에서 김좌진의 북로군정서군과 함께 일본군을 대파하였다. 1927년 볼셰비키당에 입당하였으나, 1937년 스탈린의 한인강제이주정책에 의해 카자흐스탄 크질오르다로 강제 이주당.. 2020. 10. 25. [일제강점기/무장독립투쟁]청산리 전투에서 패하고 퇴각하는 일본군 청산리 전투에서 패하고 퇴각하는 일본군 ★ 청산리 전투(靑山里 戰鬪) : 청산리 대첩(靑山里 大捷)이라고도 한다. 1920년 10월 김좌진 등이 ,지휘하는 북로군정서군(北路軍政署軍), 홍범도가 지휘하는 대한독립군, 대한신민단 예하 신민단 독립군 등 주축으로 활약한 만주 독립군 연합 부대가 중국 길림성 화룡현 청산리 백운평(白雲坪)·천수평(泉水坪)·완루구(完樓溝) 등지의 10여 차례에 간도에 출병한 일본 제국 육군과 벌인 전투. 일제는 중국 마적일 일으킨 훈춘 사건을 빌미로 만주에 대규모 병력을 투입하였고, 독립군은 1920년 10월 21일부터 10월 26일까지 길림성 화룡현 내의 여러 지역에서 교전하여 청산리 골짜기에서 일본군과 교전하여 대승을 거두었다. 청산리 전투 이후 일본은 중국에 압력을 행사하여 .. 2020. 10. 25. [일제강점기/무장독립투쟁]청산리 전투 청산리 전투 ★ 청산리 전투(靑山里 戰鬪) : 청산리 대첩(靑山里 大捷)이라고도 한다. 1920년 10월 김좌진 등이 ,지휘하는 북로군정서군(北路軍政署軍), 홍범도가 지휘하는 대한독립군, 대한신민단 예하 신민단 독립군 등 주축으로 활약한 만주 독립군 연합 부대가 중국 길림성 화룡현 청산리 백운평(白雲坪)·천수평(泉水坪)·완루구(完樓溝) 등지의 10여 차례에 간도에 출병한 일본 제국 육군과 벌인 전투. 일제는 중국 마적일 일으킨 훈춘 사건을 빌미로 만주에 대규모 병력을 투입하였고, 독립군은 1920년 10월 21일부터 10월 26일까지 길림성 화룡현 내의 여러 지역에서 교전하여 청산리 골짜기에서 일본군과 교전하여 대승을 거두었다. 청산리 전투 이후 일본은 중국에 압력을 행사하여 한국 독립군이 러시아로 건너.. 2020. 10. 25. [일제강점기/임시정부]대한민국 임시정부에서 발행한 외교 책자 대한민국 임시정부에서 발행한 외교 책자 ★ 대한민국 임시 정부(大韓民國臨時政府,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1919년 4월 11일 ~ 1948년 8월 15일) : 1919년 3월 1일 경성(서울)에서 선포된 3·1 독립선언에 기초하여 일본의 대한제국 침탈과 식민 통치를 부인하고 한반도 내외의 항일 독립운동을 주도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립된 대한민국의 망명 정부이다. 1919년 4월 11일 중국 상하이에서 설립되었으며, 같은 해 9월 11일에는 각지의 임시 정부들을 통합하여 상하이에서 단일 정부를 수립하였다. 1919년 4월 11일 임시 헌법을 제정하여 국호는 '대한민국'으로 하고 정치 체제는 '민주공화국'으로 하였으며, 대통령제를 도입하고 입법·.. 2020. 10. 24. [일제강점기/임시정부]상하이의 임시정부 청사 상하이의 임시정부 청사 ★ 대한민국 임시 정부(大韓民國臨時政府,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1919년 4월 11일 ~ 1948년 8월 15일) : 1919년 3월 1일 경성(서울)에서 선포된 3·1 독립선언에 기초하여 일본의 대한제국 침탈과 식민 통치를 부인하고 한반도 내외의 항일 독립운동을 주도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립된 대한민국의 망명 정부이다. 1919년 4월 11일 중국 상하이에서 설립되었으며, 같은 해 9월 11일에는 각지의 임시 정부들을 통합하여 상하이에서 단일 정부를 수립하였다. 1919년 4월 11일 임시 헌법을 제정하여 국호는 '대한민국'으로 하고 정치 체제는 '민주공화국'으로 하였으며, 대통령제를 도입하고 입법·행정·사법의 3권.. 2020. 10. 24. [일제강점기/대한제국및황실] 고종의 장례 고종의 장례 ★ 조선의 마지막 왕이자 대한제국의 초대 황제인 고종은 1919년 1월 21일 아침 6시경 덕수궁 함녕전에서 68세로 사망했다. 공식적 사인은 뇌일혈 또는 심장마비로 인한 자연사이지만, 아직까지 사망 원인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고종의 갑작스러운 죽음은 사회적으로 화제가 되었고, 독살설이 퍼지면서 3.1 운동의 도화선이 되었다. 2020. 10. 24. [일제강점기/독립운동]대한국 노인 연맹단 명부 대한국 노인 연맹단 명부 ★ 대한국노인연맹단 : 이라고도 한다. 1919년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조직되었던 독립운동단체. 3.1 운동 이후 한국의 노인들이 동지 규합과 자금 모금을 목적으로 신한촌 덕창국(新韓村 德昌局)에서 결성하였으며, 46세 이상 70세까지의 남녀 노인으로 구성되었다.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외곽단체로서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사업을 지원, 협조하였다. 단장 김치보(金致寶), 고문 이순(李舜), 재무 천수점(千手漸) 등이었고, 1919년 조선 총독 사이토 마코토에게 폭탄을 던진 강우규 의사가 요하현 지부장이었다. 2020. 10. 22. [일제강점기/독립운동가]강우규 의사의 묘 강우규 의사의 묘 (국립 서울 현충원 애국지사 묘역 ) ★ 강우규(姜宇奎, 1855~1920) : 일제 강점기의 한의사이자 독립운동가. 1919년 조선총독부 총독으로 부임해 온 사이토 마코토를 저격하였으나 폭탄이 다른 데로 떨어져 거사에 실패하였으나, 일제 관헌 및 추종자 37명에게 중경상을 입혔다. 현장에서 도피하였으나 친일파 고등계 형사 김태석에서 붙잡혀 수감되었고, 1920년 11월 29일 서대문감옥에서 교수형을 당하였다. 2020. 10. 21. [일제강점기/독립운동가] 강우규 의사의 재판과 기사 강우규 의사의 재판과 기사 강우규 의사의 재판(왼쪽)과 신문기사(오른쪽) 재판에 출두하는 강우규 의사 ★ 강우규(姜宇奎, 1855~1920) : 일제 강점기의 한의사이자 독립운동가. 1919년 조선총독부 총독으로 부임해 온 사이토 마코토를 저격하였으나 폭탄이 다른 데로 떨어져 거사에 실패하였으나, 일제 관헌 및 추종자 37명에게 중경상을 입혔다. 현장에서 도피하였으나 친일파 고등계 형사 김태석에서 붙잡혀 수감되었고, 1920년 11월 29일 서대문감옥에서 교수형을 당하였다. 2020. 10. 21. [일제강점기/의열투쟁] 강우규 의사 동상(구 서울역사) 강우규 의사 동상 (구 서울역사) ★ 강우규(姜宇奎, 1855~1920) : 일제 강점기의 한의사이자 독립운동가. 1919년 조선총독부 총독으로 부임해 온 사이토 마코토를 저격하였으나 폭탄이 다른 데로 떨어져 거사에 실패하였으나, 일제 관헌 및 추종자 37명에게 중경상을 입혔다. 현장에서 도피하였으나 친일파 고등계 형사 김태석에서 붙잡혀 수감되었고, 1920년 11월 29일 서대문감옥에서 교수형을 당하였다. 2020. 10. 21. 이전 1 ··· 29 30 31 32 33 34 35 ··· 1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