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사사진자료실/조선725

[조선전기/학문과사상] 훈민정음 반포 훈민정음 반포 ★ 훈민정음(訓民正音) : 조선조 제 4대 세종대왕 집현전 학자들과 창시한 한국어 표기 문자 체계(한글), 또는 그것을 해설한 책의 제목. '백성(民)을 가르치는(訓) 바른(正) 소리(音)'라는 뜻으로, 독창적이고 쓰기 편한 28자의 소리글자이다. 세종 25년(1443)에 완성하고 세종 28년(1446)에 반포하였다. 2019. 9. 25.
[조선/학문]훈민정음(訓民正音) 훈민정음 (訓民正音) ★ 훈민정음(訓民正音) : 조선조 제 4대 세종대왕 집현전 학자들과 창시한 한국어 표기 문자 체계(한글), 또는 그것을 해설한 책의 제목. '백성(民)을 가르치는(訓) 바른(正) 소리(音)'라는 뜻으로, 독창적이고 쓰기 편한 28자의 소리글자이다. 세종 25년(1443)에 완성하고 .. 2019. 9. 25.
[조선/학문]천상열차분야지도 천상열차분야지도 (天象列次分野之圖) ★ 천상열차분야지도(天象列次分野之圖) : 하늘의 별자리를 그린 조선시대의 대표적인 천문도. 고구려의 천문도를 바탕으로 제작하였다. 최초의 것은 태조 4년(1395)에 각석하여 제작하였으며, 이후에도 목각본, 필사본 등으로 제작되었다. ※ 저작.. 2019. 9. 24.
[조선/학문]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 (混壹疆理歷代國都之圖) ★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混壹疆理歷代國都之圖) : 조선 태종(太宗) 2년(1402)에 제작된 세계 지도. 원본은 현재 전하지 않으며 일본에 필사본 2점이 보관되어 있다. ※ 저작권에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9. 24.
[조선/정치]호패(戶牌, 號牌) 호패 (戶牌, 號牌) ★ 호패(戶牌, 號牌) : 전통 봉건시대에 신분증 구실을 하는 작은 패(牌)로 16세 이상의 남자가 차고 다녔다. 고려 말에 시작되었으나 전국적으로 시행된 것은 조선 시대부터였다. 조선은 태종대부터 호패법을 실시하였으며(태종 13, 1413년), 호적법(戶籍法)이 보조 역할로 .. 2019. 9. 24.
[조선/정치행정] 경국대전 경국대전(經國大典) ★ 경국대전(經國大典) : 조선시대의 최고의 법전으로 세조 대에 편찬을 시작하여 성종대에 완성하였다(1470년, 성종 1). 시간이 흐르면서 새로운 법전이 편찬되고 개정 및 페지 된 조문이 적지 않지만 기본 이념은 조선이 멸망할 때까지 이어졌다. 2019. 9. 24.
[조선전기/인물치] 정도전(鄭道傳) 정도전(鄭道傳)   ★ 정도전(鄭道傳, 1342년~1398)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이자 유학자, 혁명가. 고려의 신진사대부 중 한사람으로 역성혁명을 지지하였다. 조선의 개국 공신으로 조선의 이념적 바탕과 체제 정비에 큰 공을 세웠으마 1차 왕자의 난 때 이방원의 군사에게 피살되었다. 2019. 9. 23.
[조선/정치]세종 세종 ★ 세종(世宗, 1397~1450, 재위 1418~1450) : 조선의 제4대 군주이자 언어학자. 태종과 원경왕후의 셋째 아들이며, 비는 소헌왕후 심씨이다. 첫째 형 양녕대군이 왕세자에서 폐위되면서 세자로 책봉되었고 얼마 후 태종의 선위로 즉위하였다. 의정부서사제의 기틀을 다지고 세제를 개편하여 농민의 부담을 줄였으며, 4군 6진을 개척하고 대마도를 정벌하였다. 과학, 예술, 문화 등 다방면에 뛰어났는데 한글(훈민정음)을 창제하고, 재위 중 수많은 저서를 출판하는 등 조선의 문화 발전에 크게 기여하였다. 2019. 9. 23.
[조선/인물/왕] 태조(이성계) 태조(이성계) ★ 태조(太祖, 1335~1408, 재위 1392~1398) : 고려 말의 무신 겸 정치가이자 조선의 초대 왕. 고려 말 홍건적과 왜구 격퇴에 큰 공을 세운 신흥무인세력 중 하나이다. 우왕 14년(1388) 요동 정벌에 반대하며 위화도 회군으로 권력을 장악하고 정적을 제거한 뒤 조선을 세우고 왕위에 올랐다(1392). ★ 조선 태조 어진 : 조선을 건국한 태조 이성계의 초상화로 태조 재위 당시 제작하였다. 현재 남아있는 것은 19세기(1872, 고종 9)에 모사한 것이다. 대한민국의 국보 제317호로 진본은 전라북도 전주시 경기전어진박물관 수장고에 보관되어 있다. 2019. 9. 23.
[조선/건축]흥인지문(興仁之門) 흥인지문(興仁之門) ★ 흥인지문(興仁之門) : 조선의 수도인 한양의 4대문(大門) 중의 하나로 동쪽의 대문으로 동대문(東大門)로도 불린다. 한양도성의 축조와 함께 1396년에 지어졌고 몇 차례 보수를 거쳤다. 도성의 8개 성문 중 유일하게 옹성을 갖추고 있다. 1963년 보물 1호로 지정되었다. 2019. 9. 22.
[조선/건축]돈의문(敦義門) 돈의문(敦義門) 1880년대 돈의문 자리에 설치한 구조물 ★ 돈의문(敦義門) : 조선의 수도인 한양의 4대문(大門) 중의 하나로 서쪽의 대문이다. 근대 이후부터 서대문(西大門)으로도 불린다. 한양도성의 축조와 함께 1396년에 건립되었으나 1915년 일제가 철거하였다. 현재 돈의문 자리에 구조물을 설치해 놓았다. 2019. 9. 22.
[조선/건축]숙정문(肅靖門) 숙정문(肅靖門) ★ 숙정문(肅靖門) : 숙청문(肅淸門)으로도 불린다. 조선의 수도인 한양의 4대문(大門) 중의 하나로 북쪽의 대문이다. 사람의 출입이 거의 없는 험준한 산악지역에 위치해 실질적인 성문 기능은 하지 않았다. 1396년(태조 5년) 9월 다른 성문과 함께 완공되었다. 목조 누각은 소실되었던 것을 1976년에 복원한 것이다. 1.12 사태 이후 일반인의 접근을 금지하였다가 2006년 개방하였다. 2019. 9. 22.
[조선/건축]숭례문(崇禮門) 숭례문(崇禮門) ★ 숭례문(崇禮門) : 조선의 수도인 한양의 4대문(大門) 중의 하나로 남쪽의 대문으로 남대문(南大門)이라고도 부른다. 조선 태조 5년(1369)에 준공하였고 여러 차례 보수하였다. 현재의 숭례문은 2008년 방화로 불탄 것을 복원한 것이다(2013). 2019. 9. 22.
[조선/건축]서울 한양도성 서울 한양도성 ★ 서울 한양도성(서울 漢陽都城, Fortress Wall of Seoul) : 조선 시대 한양을 둘러싼 도성(都城)으로 좁게는 서울을 둘러싼 성곽과 문을, 넓게는 성곽과 그 안의 공간을 의미한다. 조선 개국 후 태조대에 처음 축조되었고(1369), 여러 차례 보수하였다. 일제 강점기와 6.25 전쟁을 거치며 많은 구간이 훼손되었으나 광복 후 복원 사업으로 70% 정도가 남아있다. 2019. 9. 22.
[조선/건축]서울 한양도성(지도) 서울 한양도성(지도) ★ 서울 한양도성(서울 漢陽都城, Fortress Wall of Seoul) : 조선 시대 한양을 둘러싼 도성(都城)으로 좁게는 서울을 둘러싼 성곽과 문을, 넓게는 성곽과 그 안의 공간을 의미한다. 조선 개국 후 태조대에 처음 축조되었고(1369), 여러 차례 보수하였다. 일제 강점기와 6.25 전쟁을 거치며 많은 구간이 훼손되었으나 광복 후 복원 사업으로 70% 정도가 남아있다. 2019. 9. 22.
[조선/복식장신구]오조룡보(五爪龍補) 오조룡보 (五爪龍補) 조선 전기의 보(왼쪽)와 후기의 보(오른쪽) ★ 오조룡보(五爪龍補) : 왕과 왕비의 옷 가슴, 등, 양어깨에 달았던 보(補). 왕세자와 세자빈은 사조룡보(四爪龍補), 왕세손은 삼조룡보(三爪龍補)를 달았다. ※ 저작권에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9. 21.
[조선/복식장신구]거울 거울 코리아나 화장품 박물관 소장 ※ 저작권에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9. 21.
[조선/복식장신구]빗접 빗접 빗과 화장용품 등을 넣어두는 여성용 가구 ※ 저작권에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9. 21.
[조선/복식장신구]화장품 화장품 ※ 저작권에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9. 21.
[조선/복식장신구]여성의 머리 꾸밈 여성의 머리 꾸밈 비녀 왕비의 봉황잠(비녀) 빗치개, 뒤꽂이, 떨잠 ※ 저작권에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9.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