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사사진자료실/삼국~남북국379

[가야]가야 보병(판갑) 가야 보병(판갑)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4. 22.
[가야]가야의 판갑옷과 투구 가야의 판갑옷과 투구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4. 22.
[가야]덩이쇠(鐵錠) 덩이쇠(鐵錠)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4. 22.
[가야]구지봉 기념비 구지봉 기념비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4. 21.
[가야]가야 마갑 가야 마갑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4. 21.
[삼국/대외관계]당염립본왕회도의 삼국 사신 당염립본왕회도의 삼국 사신 왼쪽부터 신라, 고구려, 백제 사신 ★ 당염립본왕회도(唐閻立本王會圖) : 양직공도(梁職貢圖)의 모사본 중 하나로, 7세기 경의 것으로 추정한다. 노국(虜國)부터 여단국(女蛋國)에 이르기까지 총 24개국 26명의 사신이 조공하는 모습과 기사가 실려있으며, 고구려, 백제, 신라 사신이 모두 그려져 있다. 비단에 채색. 폭 28.1cm, 길이 238.1cm.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4. 21.
[백제/복식]백제왕과 왕비 복식(재현) 백제왕과 왕비 복식(재현)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4. 17.
[백제]동하총(능산리1호분) 벽화 동하총(능산리1호분) 벽화 ★ 동하총(東下塚, 능산리 1호분) : 부여 왕릉원(능산리 고분군)의 고분 중 하나로 백제에서 보기 드문 벽화고분이다. 화강암과 편마암을 다듬어 축조한 굴식돌방무덤이며 널방 벽에는 사신도(四神圖)가 천정에는 인동과 연꽃 구름 등이 그려져 있다. 백제 사비시대(538~660)에 축조되었으며 고분군 서쪽에서는 백제 왕실 절로 추정되는 능산리 절터가 발견되었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4. 17.
[백제/공예]산수 무늬 벽돌 산수 무늬 벽돌 ★ 산수무늬벽돌(山水文塼) : 부여 외리 문양전(扶餘外里文樣塼) 8매 중 하나. 백제 사비시대에 제작된 장식벽돌로 경질 점토를 틀에 찍어 만들었다. 각변 29cm 정도의 정사각형으로 두께는 4cm 정도이다. 산수문의 벽돌은 바위, 소나무, 건물 등이 새겨져 있으며 불교와 도교적 색채가 드러나 있다. 보물 제343호.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4. 16.
[백제/공예]백제 금동대향로 발굴 백제 금동대향로 발굴 ★ 백제 금동대향로(百濟金銅大香爐) : 백제에서 만들어진 금동제 박산로. 부여 나성과 능산리 고분군 사이에서 주차장 공사중에 발견되었다(1993년). 제작 시기는 6세기 초로 추정하며, 발굴 조사로 일대가 백제의 왕실 절터(능산리 절터)였음이 밝혀졌다. 불교와 도교적 세계관을 표현하고 있으며 백제의 뛰어난 금속 공예와 예술적 역량을 보여준다. 국보 제287호. 국립 부여 박물관 소장.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4. 16.
[백제/공예]백제 금동대향로 백제 금동대향로 ★ 백제 금동대향로(百濟金銅大香爐) : 백제에서 만들어진 금동제 박산로. 부여 나성과 능산리 고분군 사이에서 주차장 공사중에 발견되었다(1993년). 제작 시기는 6세기 초로 추정하며, 발굴 조사로 일대가 백제의 왕실 절터(능산리 절터)였음이 밝혀졌다. 불교와 도교적 세계관을 표현하고 있으며 백제의 뛰어난 금속 공예와 예술적 역량을 보여준다. 국보 제287호. 국립 부여 박물관 소장.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4. 16.
[백제/공예]호자(부여 군수리 출토) 호자(부여 군수리 출토) ★ 호자(虎子)(부여 군수리 출토) : 부여 군수리에서 출토된 남성용 변기. 와질토기(瓦質土器)이며 사비시대(6~7세기)에 만든 것으로 추정한다. 호랑이 모양이어서 호자라고 부른다. 삼국 초기에는 중국에서 수입한 도자기 재질의 호자를 사용하였으나 점차 토제 호자를 제작하여 사용하였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4. 6.
[백제/대외관계]양직공도의 백제 사신 양직공도의 백제 사신 ★ 양직공도(梁職貢圖) : 6세기 중국 남북조 시대 양나라에 온 외국의 사신들과 그 나라의 풍속 등을 양 원제가 간략히 적은 그림. 현존하는 것은 북송때의 모사본이다. 당시 아시아 여러 나라의 복식을 보여주는 자료이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4. 6.
[백제/대외관계]양직공도 양직공도 ★ 양직공도(梁職貢圖) : 6세기 중국 남북조 시대 양나라에 온 외국의 사신들과 그 나라의 풍속 등을 양 원제가 간략히 적은 그림. 현존하는 것은 북송때의 모사본이다. 당시 아시아 여러 나라의 복식을 보여주는 자료이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4. 6.
[백제]서산 용현리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서산마애삼존불상) 서산 용현리 마애 여래 삼존상 (서산 마애 삼존 불상) ★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瑞山龍賢里磨崖如來三尊像) : 충청남도 서산시 운산면 용현리의 가야산 절벽에 새겨진 백제 후기의 마애불. 중앙에 여래 입상을 양각(陽刻)하고 오른쪽에 보살 입상을, 왼쪽에 반가사유형 보살좌상을 배치하였다. 삼존의 고졸(古拙)한 미소는 백제 불상의 특징이며 ‘백제의 미소’라 불린다. 1962년 국보 제84호 서산마애삼존불상(瑞山磨崖三尊佛像)으로 지정되었다가, 2010년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4. 5.
[백제/고분유물]나주 신촌리 금동관 나주 신촌리 금동관 ★ 나주 신촌리 금동관 (羅州 新村里 金銅冠) : 전라남도 나주 반남면 신촌리 9호 무덤에서 발견된 금동관. 높이 25.5㎝. 5세기 경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한다. 기본 형태는 신라 금관과 같으나 머리띠 장식이 ‘山’자 모양이 아닌 풀꽃 모양이다. 금동관의 주인은 지역의 지배세력을 추정하며, 백제의 왕에게 하사받은 것인지 현지 토착 세력이 제작한 것인지 분명하지 않다. 국보 295호.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4. 5.
[백제/불교미술]태안 동문리 마애삼존불입상 태안 동문리 마애삼존불입상 ★ 태안 동문리 마애삼존불입상(泰安 東門里 磨崖三尊佛立像) : 충청남도 태안군 태안읍 동문리 백화산(白華山) 정상 아래에 위치한 백제의 마애불. 가로 5.5m, 높이 4m의 바위 동쪽 면을 다음어 조각하였다. 가운데 보살상을 좌우에 여래상을 배치한 독특한 형태이다. 제작시기는 6세기 말∼7세기 초로 추정한다. 국보 제307호.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4. 4.
[백제/공예]벼루(공주 공산성 출토) 벼루(공주 공산성 출토)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4. 4.
[백제/공예]그릇 받침(공주 송산리 출토) 그릇 받침(공주 송산리 출토) ★ 공주 송산리 출토 백제 그릇받침(器臺) : 6세기 중엽 경에 제작한 것으로 추정하며, 왕릉과 능묘 제사에 사용된 제기(祭器)로 사용한 것으로 추정하며, 제작 시기는 6세기 중엽 경으로 본다. 일부 파손되었으나 웅진-사비 시대 백제 그릇받침의 완전한 모습을 보여준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4. 4.
[백제/고분]공주 무령왕릉과 왕릉원(공주 송산리 고분군) 공주 무령왕릉과 왕릉원 (공주 송산리 고분군) ★ 공주 무령왕릉과 왕릉원(공주 송산리 고분군) : 충청남도 공주시 송산리(현재 웅진동)에 위치한 백제의 왕릉들로 추정되는 고분들로 1~7호분이 복원되었다. 이중 7호분은 무령왕릉이다. 발굴 당시 지명을 따서 공주 송산리 고분군으로 불리었으나 2021년 현재의 이름으로 바뀌었다. 대한민국 사적 제 13호이자 유네스코 문화유산의 백제역사유적지구 중 하나이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4.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