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5211

[개화기/항일의병운동]철도 파괴 의병의 처형 철도 파괴 의병의 처형 ★ 철도 파괴 의병의 처형 : 1904년 9월, 용산과 마포를 잇는 철도 공사를 방해한 혐의로 처형당하는 의병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9. 1.
[개화기/항일의병운동]의병 처형(남한 대토벌) 의병 처형(남한 대토벌) ★ 남한 대토벌 작전(南韓大討伐作戰) : 일본 제국이 1909년 가을(9,10월) 약 2달에 걸쳐 대한제국 내 전라남도와 그 외곽지대에서 저항을 했던 항일의병들을 진압하기 위해 세운 토벌작전. 일제는 의병 뿐 아니라 양민 살해와 약탈 등을 일삼으며 수많은 민간인을 학살하였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9. 1.
[개화기/열강의침략]기고시 여단의 시가 행진 기고시 여단의 시가 행진 ★ 인천에 상륙한 일본국 기고시(木越) 여단의 시가 행진(1904년 2월 8일)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9. 1.
[중국사/현대]중일공동성명 중일공동성명 ★ 중일공동성명(中日共同聲明) : 중화인민공화국 정부와 일본 정부가 1972년 9월 29일 중화인민공화국 베이징에서 체결한 공동성명. 이 조약이 체결된 후 일본은 중화민국과 외교 관계를 단절하고, 중화인민공화국과 정식으로 수교하였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8. 31.
[중국사/현대]문화 대혁명 문화 대혁명 ★ 문화 대혁명(文化大革命) : 1966년 5월부터 1976년 12월까지 중화인민공화국에서 벌어졌던 사회·문화·정치상의 소란으로, 공식 명칭은 무산계급문화대혁명이고 약칭은 문혁(文革)이다. 표면적 목적은 자본주의와 봉건주의, 관료주의 등을 타파하고 새로운 공산주의 문화 창출이었으나, 실질적으로 대약진 운동 실패 후 정권 중심에서 감시 물러나 있던 마오쩌뚱이 재부상을 획책한 것으로 민중 선동과 학생 폭력 운동을 동원하였다. 이 과정에서 중국 전통 문화가 말살되고 수많은 지식인이 살해당했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8. 31.
[한국지리/경제]쌀과 육류 소비 변화의 추이 쌀과 육류 소비 변화의 추이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8. 31.
[한국지리/경제]한국의 주요 곡물 자급률 한국의 주요 곡물 자급률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8. 31.
[개화기/열강의침략]을사늑약 전문 을사늑약 전문 ★ 을사조약(乙巳條約) : 제2차 한일 협약, 을사늑약이라고도 한다. 1905년 11월 17일 대한제국의 외부대신 박제순과 일본 제국의 주한 공사 하야시 곤스케에 의해 체결되었다. 대한제국의 외교권을 빼앗고, 통감을 두어 내정간섭을 하는 것이 주된 내용이다. 전국적인 반발을 불렀으며 이에 반대하는 의병 운동이 일어났다(을사의병). 2020. 8. 31.
[개화기/국방]러시아인 교관에게 훈련받는 대한제국 군인들 러시아인 교관에게 훈련받는 대한제국 군인들 ★ 아관파천(1896) 이후 일본인 교관 대신 러시아인 교관이 친위대 훈련을 맡았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8. 31.
[근대/열강의침략]운요호 사건 운요호 사건 ★ 운요호 사건(雲揚號事件, 1875) : 통상조약 체결을 위해 일본 군함 운요호가 불법으로 강화도에 들어와 측량을 구실로 조선 정부의 동태를 살피다, 조선 수비대와 전투를 벌인 사건이다. 이 사건을 계기로 조선과 일본은 강화도 조약을 체결하였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8. 31.
[중국사/현대]마오쩌둥 마오쩌둥 ★ 마오쩌둥(毛澤東, 1893~1976) : 중화인민공화국의 군인 겸 공산주의 정치인. 초대 중앙위원회 주석을 지냈다. 초기 중국 공산당의 최고 지도자였으며 1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난 뒤국공 내전에서 승리를 거두고 1949년 중국 대륙에 중화인민공화국을 수립하였다. 국가의 요직을 두루 거쳐 오랫동안 권력자로 군림하며 대약진 운동, 문화대혁명 등을 추진하였다. 공산주의 국가를 건설한 혁명가이나 대약진 운동 및 문화 대혁명 실패로 중국에 큰 해악을 끼쳤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8. 30.
[중국사/현대]수용소에 수감된 푸이(선통제) 수용소에 수감된 푸이(선통제) ★ 선통제(宣統帝, 1906~1967, 재위 1908~1912, 황제 칭호는 1924년까지 유지) : 아이신 교로 푸이. 청의 마지막 황제이자 만주국의 집정 및 황제(재위 1932~1934, 1934~1945). 2세의 나이로 청나라 황제에 올랐으나 위안스카이와 쑨원과의 협약에 따라 이내 퇴위하였다. 청의 황제 대우를 받지만 자금성 내에서만 한정되었다. 펑위샹의 쿠데타로 인해 자금성에서 쫓겨났다가 일본의 도움으로 만주국의 황제에 오르지만 일본의 괴뢰국가로 황제로서의 실권은 거의 보장되지 않았다. 일본의 패전 이후 중화인민공화국의 포로로 잡혀 수용 생활 이후 인민정치협상회의의 전국위원을 지냈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8. 30.
[한국지리/경제]국가별 곡물 자급률 [한국지리/경제] 국가별 곡물 자급률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8. 30.
[한국지리/경제]한국의 식량 자급률 추이 한국의 식량 자급률 추이 자료출처 : 연합 뉴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8. 30.
[개화기/열강의침략] 청일전쟁으로 폐허가 된 민가 청일전쟁으로 폐허가 된 민가 ★ 청일 전쟁(淸日戰爭) : 청나라와 일본이 조선의 지배권을 놓고 1894년 7월 25일부터 1895년 4월까지 벌인 전쟁. 전쟁은 일본이 승리하였고 청 ․ 일 양국은 심모노세키 조약을 체결하였다. 청은 조선에 대한 지배권을 상실하고 일본은 더욱 노골적으로 조선 침략을 추진하였다. 또한, 일본에 배상금 2억 냥(兩)을 지불하였고, 랴오둥 반도·타이완, 펑후 제도 등을 할양 및 일본에 할양 및 통상상의 특권을 부여하였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8. 30.
[개화기/열강의침략]청일전쟁 중 격침되는 청 군함 고승호 청일전쟁 중 격침되는 청 군한 고승호 ★ 청일 전쟁(淸日戰爭) : 청나라와 일본이 조선의 지배권을 놓고 1894년 7월 25일부터 1895년 4월까지 벌인 전쟁. 전쟁은 일본이 승리하였고 청 ․ 일 양국은 시모노세키 조약을 체결하였다. 청은 조선에 대한 지배권을 상실하고 일본은 더욱 노골적으로 조선 침략을 추진하였다. 또한, 일본에 배상금 2억 냥(兩)을 지불하였고, 랴오둥 반도·타이완, 펑후 제도 등을 할양 및 일본에 할양 및 통상상의 특권을 부여하였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8. 30.
[개화기/정변및사건] 동학농민운동 기념탑 동학농민운동 기념탑 전라북도 정읍 소재 ★ 동학농민운동(東學農民運動) : 1894년 동학 지도자들과 동학 교도 및 농민들에 의해 일어난 백성의 무장 봉기. 동학 농민 전쟁(東學農民戰爭)이라고도 한다. 크게 1894년 음력 1월의 고부 봉기(1차)와 음력 4월의 전주성 봉기(2차)와 음력 9월의 전주·광주 궐기(3차)로 나뉜다. 동학농민군을 진압하기 위해 민씨 정권에서는 청나라군과 일본군을 번갈아 끌어들여 결국, 농민 운동 진압 후 청일 전쟁의 직접적인 원인이 되었다. 한편, 갑오개혁(1894)에 농민들의 요구가 반영되어 신분제 및 전근대적 구습이 폐지되는 결과를 이끌어내었다. 아래로부터의 반봉건 ․ 반외세 운동으로 평가한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8. 30.
[중국사/현대]포탈라 궁 포탈라 궁 ★ 포탈라 궁 : 중화인민공화국 티베트 자치구의 라싸에 위치한 건축물. 1959년 중국의 침략으로 14대 달라이 라마가 인도로 망명할 때까지 달라이 라마의 주요 거주지였다. 현재는 박물관이자 유네스코 세계유산이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8. 29.
[중국사/현대]중국군의 티베트 침공 중국군의 티베트 침공 ★ 중화인민공화국의 티베트 합병 : 1950년부터 1951년 사이에 중화인민공화국이 티베트를 군사적으로 합병한 사건. 티베트 망명 정부에서는 중화인민공화국의 티베트 침공, 중화인민공화국에서는 평화적인 티베트 해방이라고 부른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8. 29.
[한국지리/경제]동아시아 교역액 동아시아 교역액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8. 29.
[한국지리/경제]한국의 주요 수출품 변화 [한국지리/경제] 한국의 주요 수출품 변화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8. 29.
[근대/인물]홍종우 홍종우 ★ 홍종우(洪鍾宇, 1850~1913) : 조선의 문신이며 대한제국의 근왕주의 개화파 정치인, 조선 최초의 프랑스 유학생. 1894년 중국 상하이에서 급진 개화파의 거두인 김옥균을 저격하여 암살했다. 2020. 8. 29.
[개화기/인물] 서광범 서광범 ★ 서광범(徐光範, 1859~1897) : 조선 말기의 문신, 정치가이며 개화파 사상가. 김옥균 등과 함께 갑신정변을 일으켰다가 일본에서 망명생활을 하였다. 그뒤 귀국하여 김홍집 내각에서 법무대신, 학무대신 등으로 활약하였고, 미국으로 전권공사로 발령받았다가 친러정부에 의해 해임되었다. 젊은 나이에 미국에서 병사하였다. 2020. 8. 29.
[근대/개화파] 박영효 박영효 ★ 박영효(朴泳孝, 1861~1939) : 조선 말기의 문신, 정치인, 사상가, 급진개화파. 갑신정변을 일으켰고 갑오개혁을 주도했으며 모두 실패해 20여 년 동안 일본에서 망명 생활을 했다. 대한제국 멸망 후 일본 정부에게 받은 은채 공사금을 받아 일제 강점기 초반에는 기업과 은행 활동을 했고, 중추원 고문과 귀족원 의원, 조선총독부 산하 조선사 편수회 고문도 지냈다. 광복 후 친일반민족행위자로 지목되었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8. 29.
[중국사/현대]중국 공산 정권의 수립 중국 공산 정권의 수립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8. 28.
[중국사/현대]중화인민공화국 수립(1949) 중화인민공화국 수립(1949)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8. 28.
[한국지리/경제]한국 공업 구조의 변화 한국 공업 구조의 변화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8. 28.
[한국지리/경제]한국의 공업 지역 한국의 공업 지역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8. 28.
[개화기/인물] 민영환의 묘 민영환의 묘 ★ 민영환(閔泳煥, 1861~1905) : 조선과 대한제국의 대신(大臣)이자 척신. 종묘배향공신. 문과 급제 후 민씨 척족의 총아로서 여러 요직을 거쳤다. 독립협회를 후원하고 근대적 개혁을 시도하였으며, 고위 관료로 활약하였다. 1905년 을사늑약 체결에 대탄하며 을사늑략 체결 반대 상소를 올렸으나 일제 헌병에 진압에 막혀 실패하자 11월 30일 마지막으로 우리 대한제국 이천만 동포에게 고함〉이라는 유서를 국민들에게 남기고 자결하였다. 1962년에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을 추서받았다. 2020. 8. 28.
[개화기/인물] 민영환의 유서 민영환의 유서 ★ 민영환(閔泳煥, 1861~1905) : 조선과 대한제국의 대신(大臣)이자 척신. 종묘배향공신. 문과 급제 후 민씨 척족의 총아로서 여러 요직을 거쳤다. 독립협회를 후원하고 근대적 개혁을 시도하였으며, 고위 관료로 활약하였다. 1905년 을사늑약 체결에 대탄하며 을사늑략 체결 반대 상소를 올렸으나 일제 헌병에 진압에 막혀 실패하자 11월 30일 마지막으로 우리 대한제국 이천만 동포에게 고함〉이라는 유서를 국민들에게 남기고 자결하였다. 1962년에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을 추서받았다. 2020. 8.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