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화운의역사사회교실2510

[현대/민주주의발전/제5공화국]최루탄에 맞은 이한열 최루탄에 맞은 이한열 ★ 이한열(李韓烈, Lee Han Yeol, 1966~1987) : 대한민국의 학생운동가. 연세대학교 경영학과 재학 중에 반독재투쟁에 가담, 1987년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의 진상규명을 요구하며 6월 9일 민주헌법쟁취국민운동본부가 개최하기로 한 ‘박종철군 고문살인 은폐조작 규탄 및 민주헌법쟁취 국민대회’를 하루 앞두고 열린 ‘6·10 대회 출정을 위한 연세인 결의대회’에서 전경이 쏜 최루탄을 맞고 요절하였다. 그의 죽음은 6월 항쟁과 6·29 선언의 도화선이 되었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즉시 삭제하겠습니다 2021. 11. 16.
[현대/광복~정부수립]반민특위에 체포된 최린 반민특위에 체포된 최린 ★ 반민특위 : 반민족행위특별조사위원회(反民族行爲特別調査委員會), 줄여서 ‘반민특위’라고 부른다. 일제 강점기에 일본에 적극적으로 협조한 자를 조사하기 위하여 제헌국회에서 설치한 특별위원회. 1948년 9월 7 반민족행위처벌법을 통과시켰으며, 국권강탈에 적극 협력한 자, 일제치하의 독립운동가나 그 가족을 악의로 살상·박해한 자 등을 처벌하는 것이 목적이었다. 반민특위는 친일파들을 색출하였으나, 친일파를 대거 기용한 이승만 정부의 반대와 미국의 방해로 활동이 지지부진하였다. 1949년 6월 6일 반민특위 산하의 특별경찰대가 강제 해산당하면서 사실상 기능을 상실하였고, 곧 국회 중도파가 특위기간을 단축하였고 동년 10월에 완전히 해체되어 친일청산에 실패하고 말았다. 2021. 4. 23.
[현대/광복~정부수립]제주 4·3 사건에 희생된 민간인들 제주 4·3 사건에 희생된 민간인들 ★ 제주 4·3 사건(濟州四三事件) : 1947년 3월 1일을 기점으로 1948년 4월 3일 발생한 소요사태 및 1954년 9월 21일까지 제주도에서 발생한 남로당 무장대와 토벌대 간의 무력충돌과 토벌대의 진압과정에서 다수의 주민들이 희생당한 사건. 2021. 4. 16.
[근현대/국제관계]포츠담 회담과 선언 포츠담 회담과 선언 포츠담 회담(위), 포츠담 선언(아래) ★ 포츠담 회담(Potsdam Conference) : 1945년 7월 17 ~8월 2일까지 독일 포츠담에서 개최된 회담으로 스탈린(소련), 애틀리 총리(영국), 트루먼 대통령(미국)이 각국 대표로 참가하였다. 5월 8일(유럽전승기념일) 무조건 항복하기로 한 독일을 어떻게 통치할 것인지와 전후 질서, 평화 조약 이슈, 전쟁의 영향에 대한 대응 등을 논의하였다. 회담의 결과로 포츠담 협정을 의결하였고, 회담 중 일본의 항복을 요구하는 을 발표하였다. ★ 포츠담 선언(Potsdam Declaration, 1945년 7월 26일) : 미국, 영국, 중화민국의 대표가 포츠담 회담(1945년 7월 17일 ~ 8월 2일) 중 발표한 선언. 회담에 참석한 소.. 2021. 4. 14.
[근현대/국제관계]얄타 회담 얄타 회담 ★ 얄타 회담(Yalta Conference) : 1945년 2월 4일부터 2월 11일까지 소련 흑해 연안에 있는 크림 반도의 얄타에서 미국 · 영국 · 소련의 수뇌자(루스벨트, 처칠, 스탈린)들이 모여 나치 독일의 제2차 세계 대전의 패전과 그 관리에 대하여 의견을 나눈 회담. 이 회담에서 연합국은 일본과의 전쟁을 의결하였다. 2021. 4. 14.
[근현대/국제관계]카이로 선언 카이로 선언 ★ 카이로 선언(Cairo Declaration) : 1943년 11월 27일 미국 · 영국 · 중국, 3개 연합국이 이집트의 수도 카이로에 모여 발표한 공동선언. 5일간에 걸친 카이로 회담에는 루스벨트(미), 처칠(영), 장제스(중) 등이 대표로 참가하여 제2차 세계 대전 발발 후 최초로 일본에 대한 전략을 토의하였다. 회담 결과 발표한 선언에서 연합국은 승전하더라도 자국의 영토 확장을 도모하지 않을 것을 천명하고, 일본이 제1차 세계 대전 후 타국으로부터 약탈한 영토를 반환할 것을 요구했다. 특히 한국에 대해서는 앞으로 자유독립국가로 승인할 결의를 하여 처음으로 한국의 독립이 국제적으로 보장을 받았다. 카이로 선언의 조항은 포츠담 선언에서 재확인됐다. 2021. 4. 14.
광복 이후 좌우 세력의 동향과 활동 광복 이후 좌우 세력의 동향과 활동 2021. 4. 13.
[현대/광복~정부수립]신탁통치 반대 시위와 찬성 시위 신탁통치 반대 시위와 찬성 시위 ★ 신탁 통치 반대 운동(信託統治反對運動) : 1945년 12월 모스크바 3상회의에서 “한국을 신탁통치한다”고 결정한 것이 알려지자 신탁 통치에 반대하여 일어난 국민운동. 김구를 비롯한 임시정부 세력은 신탁통치 반대운동 '제2의 독립운동'으로 간주하고 국민들의 참여를 독려하였으며, 남한 지역은 신탁통치에 대한 찬반 논란으로 극심한 갈등이 일어났다. 2021. 4. 13.
[현대/광복~정부수립] 광복 광복 ★ 광복(光復) : 태평양 전쟁 말기, 일본이 연합국의 항복 요구를 거부하였다. 연합국은 일본의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에 원자폭탄을 투하하자(1945년 8월 6일, 9일) 일본은 1945년 8월 15일 항복을 선언하였다. 일본의 항복으로 2차대전이 막을 내렸고 일본의 식민지는 모두 해방되거나 연합국에게 넘어갔다. 한국은 일본의 항복 선언과 함께 해방되었으며, 조선총독부는 미군정와 소련군정에 행정권을 인수인계한 뒤 해체되었다(1945년 9월 28일). 이후 한국은 8월 15일 ‘광복절’로 기념하고 있다. 2021. 4. 12.
[현대/광복~정부수립]모스크바 삼국 외상 회의 모스크바 삼국 외상 회의 ★ 모스크바 삼국 외상 회의(-三國外相會議) : 모스크바 삼상 회의라고도 한다. 1945년 12월 16일~26일까지 소련의 모스크바에서 개최된 미국 · 영국 · 소련의 외무장관 회의로 제2차 세계대전 뒤의 일본 점령지구에 대한 관리 문제 및 얄타회담에 따른 대한민국의 독립 문제를 거론하였다. 이 회의에서 미국과 소련은 첨예하게 대립하였으나, 결국 합의를 이루어 12월 27일 4대 조로 이루어진 합의문을 발표하였다. 합의문에는 포함하였는데, 5년동안 4개국(미, 영, 중, 소)이 한국을 신탁통치 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 모스크바 삼상회의의 결과는 곧바로 한국에 전해져 좌익과 우익의 극심한 분열을 가져왔다. 2021. 4. 12.
[일제강점기/태평양전쟁]미주리호에서 항복 서명하는 일본 대표 미주리호에서 항복 서명하는 일본 대표 ★ 일본의 항복 : 일본 제국이 1945년 8월 14일에 연합국에 통보하고, 8월 15일 낮 12시에 쇼와 일왕이 무조건적인 항복을 선언한 것. 9월 2일에는 일본의 도쿄만 요코하마에 정박 중이던 미국 전함 USS 미주리 (BB-63) 선상에서 일본 대표 시게미쓰 마모루 외무대신이 정식으로 나와서 항복 문서에 서명을 하였다. 일본의 무조건적인 항복으로 제2차 세계 대전은 완전 종결되었다. 2021. 4. 11.
[일제강점기/태평양전쟁]원폭이 떨어진 시간에 멈춘 시계 원폭이 떨어진 시간에 멈춘 시계 ★ 히로시마·나가사키 원자폭탄 투하(広島・長崎原子爆彈投下, Atomic bombings of Hiroshima and Nagasaki) :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나갈 무렵 1945년 미국은 일본의 히로시마(8월 6일), 나가사키(8월 9일)에 원자폭탄을 투하하였다. 미국은 일본에 원자폭탄을 투하하기 전 6개월 동안 일본에 공습을 하엿고, 영국 ․ 중화민국과 함께 포츠담 선언에서 일본에 무조건 항복을 요구하였으나, 일본이 항복하지 않자 원자폭탄을 투하하였다. 나가사키 원폭투하 6일 후 8월 15일 일본은 연합군에 무조건 항복을 선언하고, 9월 2일 항복 문서에 사인하면서 공식적으로 태평양 전쟁과 제2차 세계대전이 막을 내렸다. 일본의 항복으로 한국을 비롯한 아시아의 일본 식민.. 2021. 4. 11.
[일제강점기/대한제국황실]서십자각 서십자각 ★ 서십자각(西十字閣) : 경복궁 서쪽에 있던 망루. 1923년 전차부설 공사를 하면서 철거되었다. 2021. 4. 8.
[일제강점기/일제의탄압과만행]창경원의 동물원 창경원의 동물원 ★ 창경궁(昌慶宮) : 대한민국 사적 제 123호. 조선 성종(1483년) 때에 건축한 궁궐로 창덕궁과 맞닿아 있다. 원래 세종이 태종을 위해 지은 궁이었으나 성종이 세 대비를 모시기 위해 중건하였다. 일제강점기에 동물원과 식물원, 이왕가 박물관이 들어서고, 이름도 ‘창경원’(昌慶苑)으로 격하되는 수난을 겪었다. 1983년에는 동물원과 식물원을 서울대공원으로 옮기고 이름도 창경궁으로 되찾았다. 2021. 4. 7.
[일제강점기/사회] 일제강점기의 출생율과 사망율 일제강점기의 출생율과 사망율 2021. 4. 6.
[일제강점기/일제의탄압과만행] 일제강점기 한일 노동자의 임금과 노동 시간 차이 일제강점기 한일 노동자의 임금과 노동 시간 차이 2021. 4. 3.
[일제강점기/해외독립운동]만주와 연해주 지역의 독립운동 단체 만주와 연해주 지역의 독립운동 단체 2021. 4. 1.
[근현대/영토와역사문제]간도 지역 간도 지역 ★ 간도(間島) : 압록강 상류와 두만강 북쪽의 조선인 거주 지역을 일컫는 말로, 범위에 관하여는 여러 이견이 있다. 일반적으로 간도라 하면 현재의 연변 조선족 자치주 지역을 가리키며, 두만강 북쪽 연변 지역을 ‘북간도’, 서쪽인 압록강 북쪽 지역을 '서간도'라 부르기도 한다. 19세기 말, 조선과 청나라가 백두산정계비에 쓰여진 "토문(土門)"을 서로 달리 해석하면서 이 지역(북간도)에 대한 귀속 문제가 불거졌고, 1903년(광무 7년) 대한제국은 간도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하며 간도관리사 파견하였다. 일본이 을사조약으로 대한제국의 외교권을 박탈한 뒤(1905), 1909년 일본은 청나라와 간도 협약을 체결하여 이 지역에 대한 청나라의 법적 권한을 인정하여 한국은 간도를 빼앗겼다. 1962년 북.. 2021. 4. 1.
[근현대/인물] 장준하와 친구들 장준하와 친구들 ★ 장준하(張俊河, 1915~1975) : 일제강점기의 독립운동가, 대한민국의 정치가, 종교인, 언론인, 사회운동가. 일제 강점기에 교육 활동을 하였고, 일본군 '쓰가다 부대'에 자원입대하였다가, 중국 장쑤성 쑤저우에서 탈출, 중국 중앙군관학교에서 훈련을 받고 중국군 중앙군 준위가 되었다. 1945년 중국 쓰촨성 충칭의 대한민국 임시 정부를 찾아가 한국광복군 소위로 복무하였으며 미국 전략첩보대(OSS)에서 활동하며 국내 진공작전에 가담하였으나, 8.15 광복을 맞이하여 귀국하였다. 김구의 비서로 있다가 대한민국정부수립 후 정치에 입문하였으며 4.19 혁명의 단초가 된 교양지 를 창간하기도 했다. 2, 3 공화국 도안 여러 직책을 거쳤으며, 박정희 정권의 유신독재에 항거하다 1975년 의문.. 2021. 3. 27.
[일제강점기/사회와문화] 서양식 의상을 입은 여인(1918) 서양식 의상을 입은 여인(1918) 2021. 3.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