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주도학습1187 [조선/호란]강홍립의 항복 강홍립의 항복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10. 27. [중국사/진한삼국]왕소군(王昭君) 왕소군(王昭君) ★ 왕소군(王昭君, BC 1C) : 본래 한나라 궁녀였으나 흉노에 공녀(貢女)로 보내졌다. 흉노의 호한야 선우, 복주류약제 선우의 연지(아내)가 되었다. 중국 4대 미녀 중 한사람으로 많은 시와 문학의 소재가 되었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10. 27. [중국사/진한삼국]신나라 화폐와 거푸집 신나라 화폐와 거푸집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10. 26. [지리/하천지형]선상지(扇狀地) 선상지(扇狀地) ★ 선상지(扇狀地) : 강에 의해 운반된 자갈이나 모래가 퇴적되어 만들어진 부채 모양의 지형으로 유속이 느려지면서 물에 의해 운반되는 고체 물질들은 가라앉게 되고, 점점 부채 모양의 지형이 만들어진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10. 26. [중국사/진한삼국]신(新)나라 화폐 신(新)나라 화폐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10. 26. [조선/공예]백자 달항아리(白磁 壺) 백자 달항아리 (白磁 壺) 국보 제 310호 조선시대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10. 25. [조선/사상과학문]양반가의 사당 양반가의 사당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10. 25. [조선/사회]열녀문 열녀문 ★ 열녀문(烈女門): 과부의 수절을 기리거나 여인의 정절을 기리기 위해 세우는 붉은 문. 조선시대에 법적으로 여성의 재혼을 허락하지 않았고 남편이 죽으면 따라 죽거나 평생 수절하기를 강요하였다. 이러한 여성 열녀라 칭하며 장려하였는데, 열녀문을 하사받은 가문에는 국가.. 2019. 10. 25. [조선/건축]산청 단성향교(山淸 丹城鄕校) 산청 단성향교 (山淸 丹城鄕校) ★ 산청 단성향교(山淸 丹城鄕校) : 유형문화재 제 88호. 경상남도 산청군 단성면 강누리 소재. 고려 인종 5년(1127)에 지은 후 조선 세종 때 서쪽 산기슭으로 옮겼다가 영조 28년(1752)에 지금의 위치로 다시 옮겨지었다고 전한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 2019. 10. 25. [조선/사회]효자각 효자각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10. 25. [지리/하천지형]하천 퇴적 지형 하천 퇴적 지형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10. 24. [조선/건축]창경궁 문정전 창경궁 문정전 ★ 창경궁(昌慶宮) : 대한민국 사적 제 123호. 조선 성종(1483년) 때에 건축한 궁궐로 창덕궁과 맞닿아 있다. 원래 세종이 태종을 위해 지은 궁이었으나 성종이 세 대비를 모시기 위해 중건하였다. 일제강점기에 동물원과 식물원, 이왕가 박물관이 들어서고, 이름도 ‘창경원.. 2019. 10. 24. [지리/퇴적침식지형]하천 지형 하천 지형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10. 24. [중국사/진한삼국]장신궁등(長身宮燈) 장신궁등(長身宮燈) ★ 장신궁등(長身宮燈) : 전한시대, BC 104년 경, 청동에 도금. 중산정왕과 두관왕후의 묘에서 발견된 청동 등(燈). 큰 등을 들고 꿇어앉은 시녀를 표현하였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10. 23. [중국사/진한삼국]마답비연(馬踏飛燕) 마답비연(馬踏飛燕) ★ 마답비연(馬踏飛燕) : 중국 후한 시대 무덤에서 발견된 말 조각상. ‘제비를 밟고 달리는 말 ’이란 뜻이다. 중국 역사에서 명마라 불리웠던 한혈마(汗血馬)를 형상화한 것이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10. 23. [조선/공예]분청사기 박지 모란문 장군 분청사기 박지 모란문 장군 조선 시대 보물 제 1070호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10. 23. [중국사/진한삼국]청년 제갈량 상 청년 제갈량 상 ★ 제갈량(諸葛亮, 181~234) : 중국 삼국시대 촉나라의 모신으로 자는 공명(孔明)이려 별호는 와룡(臥龍) 또는 복룡(伏龍)이다. 후한 말 군웅 유비를 도와 촉한을 건국하는 제업을 이루었다. 중국 역사상 지략과 충의의 전략가로 평가된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 2019. 10. 23. [조선/건축]내의원(창덕궁 내) 내의원 (창덕궁 내) ※ 저작권에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10. 22. [조선/건축]창덕궁 인정전(昌德宮 仁政殿) 창덕궁 인정전 (昌德宮 仁政殿) ★ 창덕궁(昌德宮) : 조선 시대 궁궐로 경복궁에 이어 두 번째로 지어진 궁궐로(태종 5, 1405), 임진왜한 때 소실되어 다지 지었고 경복궁이 중건될 때 까지 조선의 법궁 역할을 했다. 동쪽으로는 창경궁과 맞닿아 있으며, 경복궁의 동쪽에 있어서 조선시대에 .. 2019. 10. 22. [조선/건축]종묘 영녕전(宗廟 永寧殿) 종묘 영녕전 (宗廟 永寧殿) ★ 종묘(宗廟) : 조선 왕조의 역대 국왕들과 왕후들의 신주를 모시고 제례를 봉행하는 유교 사당. ★ 종묘 영녕전(宗廟 永寧殿) : 종묘 정전에서 옮겨온 신위를 모신 종묘의 별묘. 보물 제 821호. ※ 저작권에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10. 21. 이전 1 ··· 15 16 17 18 19 20 21 ··· 6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