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기주도학습1187

[조선/학문]훈민정음(訓民正音) 훈민정음 (訓民正音) ★ 훈민정음(訓民正音) : 조선조 제 4대 세종대왕 집현전 학자들과 창시한 한국어 표기 문자 체계(한글), 또는 그것을 해설한 책의 제목. '백성(民)을 가르치는(訓) 바른(正) 소리(音)'라는 뜻으로, 독창적이고 쓰기 편한 28자의 소리글자이다. 세종 25년(1443)에 완성하고 .. 2019. 9. 25.
[조선/정치]호패(戶牌, 號牌) 호패 (戶牌, 號牌) ★ 호패(戶牌, 號牌) : 전통 봉건시대에 신분증 구실을 하는 작은 패(牌)로 16세 이상의 남자가 차고 다녔다. 고려 말에 시작되었으나 전국적으로 시행된 것은 조선 시대부터였다. 조선은 태종대부터 호패법을 실시하였으며(태종 13, 1413년), 호적법(戶籍法)이 보조 역할로 .. 2019. 9. 24.
[지리/지형]습곡 습곡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9. 23.
[중국사/진한삼국]후한(後漢)의 영역 후한(後漢)의 영역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9. 22.
[지리/지형]습곡 습곡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9. 22.
[중국사/진한삼국]중국의 통치 제도 중국의 통치 제도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9. 22.
[지리/지형]단층 단층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9. 21.
[중국사/춘추전국]공자묘 공자묘 중국 산둥성 취푸 시 소재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9. 21.
[조선/복식장신구]오조룡보(五爪龍補) 오조룡보 (五爪龍補) 조선 전기의 보(왼쪽)와 후기의 보(오른쪽) ★ 오조룡보(五爪龍補) : 왕과 왕비의 옷 가슴, 등, 양어깨에 달았던 보(補). 왕세자와 세자빈은 사조룡보(四爪龍補), 왕세손은 삼조룡보(三爪龍補)를 달았다. ※ 저작권에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9. 21.
[조선/복식장신구]화장품 화장품 ※ 저작권에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9. 21.
[조선/복식장신구]거울 거울 코리아나 화장품 박물관 소장 ※ 저작권에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9. 21.
[조선/복식장신구]여성의 머리 꾸밈 여성의 머리 꾸밈 비녀 왕비의 봉황잠(비녀) 빗치개, 뒤꽂이, 떨잠 ※ 저작권에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9. 21.
[중국사/춘추전국]취푸성(曲阜城)의 해자 취푸성(曲阜城)의 해자 중국 산둥성 취푸시 소재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9. 21.
[조선/복식장신구]빗접 빗접 빗과 화장용품 등을 넣어두는 여성용 가구 ※ 저작권에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9. 21.
[조선/복식장신구]단추 단추 ※ 저작권에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9. 20.
[조선/복식장신구]연밥 장식 연밥 장식 다산을 바라며 서민 여성들이 달고 다닌 주머니 장식 ※ 저작권에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9. 20.
[조선/복식장신구]호박 가락지와 은반지 호박 가락지와 은반지 ※ 저작권에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9. 20.
[중국사/하상주]서주 시대 화폐 서주 시대 화폐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9. 20.
[조선/복식장신구]열쇄패 노리개 열쇄패 노리개 여성들의 장신구의 하나로 부와 복을 기원하였다. ※ 저작권에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9. 19.
[중국사/춘추전국]전국시대의 화폐 전국시대의 화폐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9.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