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3563 [조선/왕실문화]친경례에 사용된 농기구 친경례에 사용된 농기구 ★ 친경례(親耕禮) : 고려와 조선시대에 백성들에게 농사를 권장하기 위한 하나의 방책으로 왕이 적전(籍田)을 경작하는 의례. 신농(神農)에 대한 제사와 함께 거행되었으며, 직접 농경의 시범을 보이기 위해 경작지로 설정한 토지인 적전의 수확물은 종묘·사직 등의 국가제사에 사용하였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5. 4. [조선/왕실문화]종묘 제례악 종묘 제례악 ★ 종묘 제례악(宗廟祭禮樂) : 조선왕조 역대 임금과 왕후의 신위(神位)를 모신 종묘에 제사드릴 때 연주하는 기악·노래·무용의 총칭으로 '종묘악'이라고도 한다. 국가무형문화제 제 1호. 유네스코 세계 문화유산.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5. 4. [조선후기/왕실문화]춘방 편액 춘방 편액 ★ 춘방 편액 : 세자시강원에 걸었던 현판. 효명세자(익종)의 예필이다.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5. 3. [조선후기/왕실문화]중희당 편액 중희당 편액 ★ 중희당 편액 : 창경궁의 동궁이자 시강원으로 사용된 중희당의 편액. 국립고궁박물관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5. 3. [조선후기/왕실문화]종학청 편액 종학청 편액 정조 11년(1787). 국립고궁박물관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5. 3. [조선/국방]철신포 철신포 ★ 철신포 : 고려 때부터 사용한 신호용 화포. 일반적으로 봉화대에서 연기를 이영하여 긴급시에 신호를 했는데, 날씨가 흐리거나 비가 올 때 주로 사용하였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5. 2. [조선중기/임진왜란] 조총(鳥銃) 조총(鳥銃) ★ 조총(鳥銃) : 전근대 조선과 중국에서 사용된 화승총. 탄자와 추진제를 총포구를 통해, 즉 화기의 앞쪽을 통해 넣는 전장총포(前裝銃砲, muzzleloader)로 현대에는 거의 쓰이지 않는다. 일본은 포루투갈로부터 조총을 받아들여 전국시대 내전과 임진왜란 때 사용하였다. 임진왜란 이후 조선에도 유입되어 사용되었다. 2020. 5. 2. [조선/의학]침구동인 침구동인 ★ 침구동인(鍼灸銅人) : 구리로 만든 인체 모형으로 경혈과 경락을 새겨 침을 놓는 자리와 혈자리를 학습을 위한 것이다. 중국 송나라(宋) 때 왕유일이 처음 제작하였고, 조선 태종 때(1415) 명나라(明)에서 동인을 하사받았다. 위 사진의 침구동인은 내의원 소장품으로 내의원 소속 의녀(醫女)의 학습용으로 사용되었다.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5. 1. [조선/의학]조선의 침구 조선의 침구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5. 1. [조선/의학]산삼(조선의 약재) 산삼 (조선의 약재)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5. 1. [조선후기/사회문화]투전(조선 후기의 도박) 투전 (조선 후기의 도박) ★ 투전(鬪牋) : 한국의 민속놀이. 참가자 수에 따라 매우 다양한 방식의 놀이가 있다. 조선 후기로 가면 갈수록 성행하여, 기방 등에 도박장을 차려 놓고 영업하기도 했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4. 30. [조선후기/사회문화]쌍륙(조선 후기의 도박) 쌍륙 (조선 후기의 도박) ★ 쌍륙(雙六) : 두 사람이 말 열두 개씩 가지고 노는 한국의 민속놀이. 24개의 말과 주사위 2개, 말판 등이 사용된다. 정약용의 에 도박으로 기록되어 있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4. 30. [조선후기/사회문화]골패(조선 후기의 도박) 골패 (조선 후기의 도박) ★ 골패(骨牌) : 놀이 도구의 하나. 상아나 짐승뼈를 대쪽에 붙여 만들고 수를 새긴 크고 작은 구멍을 새긴다. 골패의 모양은 오늘날 마작과 비슷하다. 정약용의 에 “강패”(江牌)라 하며 도박으로 여긴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4. 30. [조선/사회와문화]혼례 (婚禮) 혼례 (婚禮)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4. 29. 제수의 형태 제수의 형태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4. 29. 제례(祭禮) 제례(祭禮)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4. 29. [조선전기/경제] 조선통보(朝鮮通寶) 조선통보 (朝鮮通寶) ★ 조선통보(朝鮮通寶) : 조선 전기 세종대에 처음 주조된 동전으로 조선 최초의 동전이었다. 조선 중기 인조대에도 주조되어 법화(法貨)로 유통되었다. 지름 2.3cm 2020. 4. 28. [조선전기/정치]조광조 적려 유허비 조광조 적려 유허비 ★ 조광조 적려 유허비 : 기묘사화(1519)로 조광조가 귀양 온 것을 추모하기 위해 세운 비석. 전라남도 화순군 능주면 남정리 소재. 2020. 4. 28. [조선전기/정치] 조광조(趙光祖) 조광조(趙光祖) ★ 조광조(趙光祖, 1482~1520) 조선 중종 대의 문신, 사상가이자 교육자, 성리학자, 정치가. 김종직의 학통을 이어받은 김굉필의 문하에서 수학하였으며, 사림파의 정계 진출을 확립하였다. 중종의 훈구파 견제 정책에 적극적으로 실행하고 성리학적 도학 정치 이념을 구현하려 했으나 훈구 세력의 반발로 실패하였다. 반정공신들의 음해로 역적으로 몰려 전라남도 화순으로 유배되었다가 사사되었다. 사후 인종 때 복관되고 문묘에 종사되었으며, 후대의 유림에게 큰 영향을 끼쳤다. 2020. 4. 28. 정주성 공위도 정주성 공위도 ★ 정주성(定州城) : 북한 평안북도 정주군 정주읍에 있는 조선시대의 읍성. 홍경래의 난(1811)이 일어났을 때, 홍경래가 난군을 직접 지휘한 장소이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4. 27. 이전 1 ··· 58 59 60 61 62 63 64 ··· 17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