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3563

[일본사/중세]가미카제(神風) 가미카제(神風) ★ 가미카제(神風) : 13세기 원나라의 일본 원정 당시 태풍이 불어 침공군이 저지된 것을 “신이 일으킨 바람”이라 부른 데에서 따온 것이다. 제2차 세계 대전 말기에 전투기에 폭탄을 싣고 적함에 충돌하여 자살 공격한 일본의 결사 특공대의 이름으로도 사용되었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9. 20.
[일본사/중세]미나모토노 요리토모 미나모토노 요리토모 ★ 미나모토노 요리토모(源 賴朝, 1147~1199) : 헤이안 시대 말기부터 가마쿠라 시대 초기까지의 무장으로, 겐페이 전쟁에서 겐지(源氏)를 이끌었던 무사 가운데 한 명이었으며, 가마쿠라 막부를 개창한 초대 정이대장군이다. 무로마치 막부 이후, 에 의한 무가정권은 왕정복고의 대호령이 행해지는 게이오 3년(1868년)까지 약 680년간 지속되었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9. 20.
[개화기]시골 소년 시골 소년 2020. 9. 20.
[개화기]시골 소녀 시골 소녀 2020. 9. 20.
[개화기/열강의침략]인천의 일본인 거류지 인천의 일본인 거류지 ★ 거류지 : 외국인들이 스스로 행정권과 경찰권을 행사하도록 조약에 의하여 외국인들에게 정해진 토지에서 거주하거나 영업을 하도록 토지를 빌려주고, 거기에 치외법권(治外法權)을 부여한 지역. 조선에는 교류와 무역을 위한 왜관이 있었다. 근대에는 불평등조약 체결과 열강의 침략으로 일본, 청(중국), 서구열강의 거류지가 늘어났으며, 그 중 일본이 거류지가 가장 많았다. 일제강점기인 1914년에 폐지되었다. 2020. 9. 20.
[개화기]개항 이후의 인천 개항 이후의 인천 2020. 9. 19.
[개화기/열강의침략]부산의 일본인 거류지 부산의 일본인 거류지 ★ 거류지 : 외국인들이 스스로 행정권과 경찰권을 행사하도록 조약에 의하여 외국인들에게 정해진 토지에서 거주하거나 영업을 하도록 토지를 빌려주고, 거기에 치외법권(治外法權)을 부여한 지역. 조선에는 교류와 무역을 위한 왜관이 있었다. 근대에는 불평등조약 체결과 열강의 침략으로 일본, 청(중국), 서구열강의 거류지가 늘어났으며, 그 중 일본이 거류지가 가장 많았다. 일제강점기인 1914년에 폐지되었다. 2020. 9. 19.
[개화기]마포 나루 마포 나루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9. 19.
[개화기/교통통신]증기 기관차 증기 기관차 ★ 증기 기관차(蒸氣機關車, steam locomotive) : 증기 기관에서 구동력을 얻어 움직이는 기관차. 19세기 영국에서 개발되어 교통과 운송의 혁신을 이끌었다. 한국에서는 1899년 도입되었다. 광복 이후 디젤 기관차가 도입되며 쇠퇴하여 1960년대에 운행이 중지되었다. 2020. 9. 18.
[개화기/건축]유리창이 설치된 한옥 유리창이 설치된 한옥 2020. 9. 18.
[개화기]수어장대(19세기말) 수어장대(19세기말) ★ 수어장대(守禦將臺) : 경기도 광주시 남한산성에 있는 조선시대의 성곽시설이다. 조선 인조 2년(1624) 남한산성을 쌓을 때 만들어진 4개의 장대 중 하나이다. 장대란 지휘관이 올라서서 군대를 지휘하도록 높은 곳에 쌓는 대(臺)를 말한다. 이곳은 병자호란(1636) 때 인조(재위 1623∼1649)가 직접 군사를 지휘하여 청나라 태종의 군대와 45일간 대항하여 싸운 곳이기도 하다. 처음에는 1층 누각으로 짓고 서장대라 불렀으나, 영조 27년(1751)에 이기진이 왕의 명령으로 서장대 위에 2층 누각을 지었다. 현재 건물은 1896년에 다시 고쳐 세운 것으로 인조 대에 지은 4개의 장대 중 유일하게 남아있는 중요한 건물이다. 경기도의 유형문화재 제1호. 2020. 9. 18.
[일본사/고대]2관 8성제 2관 8성제 ★ 2관 8성제 : 일본에서 701년 반포한 다이호 율령(大宝律令)에 따라 설치된 관료 기구. 다이호 율령의 반포 및 시행으로 고대 일본은 본격적인 율령제 국가로 들어서게 되었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9. 17.
[개화기]철거 전의 서소문(소의문) 철거 전의 서소문(소의문) ★ 소의문(昭義門) : 조선의 수도인 한양의 4소문(小門) 중의 하나로 서쪽의 문이다. 강화군 또는 인천군으로 향하는 관문으로, 광희문과 함께 시체를 도성 밖에 내어갈 수 있는 문이었다. 한양도성의 축조와 함께 1396년에 건립되었다가, 1914년 일제 강점기 때 철거되었다. 속칭은 서소문(西小門)으로, 조선 초기부터 불렸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9. 17.
[개화기]동십자각과 서십자각의 위치 동십자각과 서십자각의 위치 ★ 동십자각(東十字閣) : 경복궁 동남쪽 모서리에 설치했던 망루. 서십자각과 짝으로 이루었으나 서집자각은 1923년 일제가 철거하였다. 사적 117호(경복궁 부속). ★ 서십자각(西十字閣) : 경복궁 서쪽에 있던 망루. 1923년 전차부설 공사를 하면서 철거되었다. 2020. 9. 17.
[개화기/대한제국및황실]대한제국 고종 황제어새 대한제국 고종 황제어새 ★ 대한제국 고종 황제어새(大韓帝國 高宗 皇帝御璽) : 대한제국 고종황제가 비밀 외교를 위해 사용한 국새. 고종은 세계 각국에 일본의 만행을 드러내고 대한제국에 지지를 요청하는 친서(親書)에 이 국새를 사용하였다. 가 찍힌 문서는 1900년(광무 4)부터 1909년(융희 3)까지 약 10년에 걸쳐 나타나며, 모두 18건이 발견되었다. 프랑스, 러시아, 독일의 군주에게 대한제국에 대한 지지와 협조를 요청한 문서가 대부분이며, 그 외에도 헤이그밀사 파견문서, 호머 헐버트에게 준 문서 등이 발견되었다. 보물 제1618호.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9. 17.
[일본사/고대]헤이안 시대 서민 복식 헤이안 시대 서민 복식 ★ 헤이안 시대(平安時代, 794~1185) : 794년 간무 천황이 헤이안쿄(平安京)로 천도한 것으로부터, 가마쿠라 막부의 설립까지의 약 390년간을 지칭하는 일본역사의 시대구분의 하나. 교토에 세워진 헤이안쿄가 가마쿠라 막부가 설립될 때까지 정치의 중심이었기 때문에 헤이안 시대라고 한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9. 16.
[일본사/고대]후지와라 부채 후지와라 부채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9. 16.
[근현대/대한제국및황실]순정효황후 윤씨 순정효황후 윤씨 ★ 순정효황후 윤씨(純貞孝皇后 尹氏, 1894~1966) : 대한제국의 황후이자 일제 강점기의 이왕비, 이왕대비. 대한제국 순종 황제의 계후(繼后). 일본 정부로부터 후작 작위를 받았던 친일 인사인 윤택영의 딸이다. 1910년 10월 한일 합방 당시 옥새를 치마 속에 감추고 내놓지 않으려고 고집하였으나, 숙부 윤덕영이 빼앗아갔다. 해방 이후에는 창덕궁과 정릉 수인재에서 거주하였다. 시호는 헌의자인순정효황후(獻懿慈仁純貞孝皇后)이며, 이는 정식 시호가 아니라 해방 후에 전주이씨대동종약원에서 올린 사시이다. 순종과 사이에 자녀는 없다. 1959년 불교에 귀의하였으며, 법명은 대지월(大地月)이다. 2020. 9. 16.
[개화기/대한제국및황실]순비 책봉 의궤 순비 책봉 의궤 ★ 순비책봉의궤 : 1901년 순빈 엄씨(순헌황귀비)가 순비(純妃)로 책봉된 것을 기록한 의궤. 당시 순비는 황후가 받는 금책문을 받았는데, 이는 순비가 황후 수준의 대우를 받았음을 의미한다. 2020. 9. 16.
[개화기/대한제국및황실]순헌황귀비 엄씨 순헌황귀비 엄씨 ★ 순헌황귀비 엄씨(純獻皇貴妃 嚴氏, 1854~1911) : 대한제국 황제 고종의 후궁으로 대한제국 성립 후 황비로 책봉되었다. 8세(1861)에 입궐하여 을미사변 직후 고종의 시중을 들다 총애를 받아 영친왕 은을 출산하고 이후 상궁에서 귀인으로, 순빈을 거쳐 순비가 되었다가 1903년에는 황귀비가 된다. 1905년 양정의숙(현 양정고등학교)을, 1906년 사립 명신여학교(현 숙명여자중과 숙명여고)를 설립하였다. 2020. 9.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