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53 [고려]지눌 지눌 ★ 지눌(知訥, 1158년~1210년) : 고려 중 ․ 후기의 승려로 시호는 불일보조국사(佛日普照國師)이다 . 조계종을 창시하였고 선종 중심의 불교 통합을 시도하였다. ※ 저작권에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8. 3. [고려]의천 의천 ★ 의천(義天, 1055 ~ 1101) : 고려의 왕족 출신 승려로 대각국사(大覺國師)라고 부른다. 한국 천태종의 중흥시조로, 불교 통합을 위해 노력하였다. 요와 송의 불교 성지를 순례하였고 흥왕사의 주지를 맡았다. 동아시아 각국의 불경을 수집하여 <신편제종교장총록(新編諸宗敎藏總錄)&.. 2019. 8. 2. [고려]여주 고달사지 승탑 여주 고달사지 승탑 고려초기, 국보 제 4호 경기도 여주시 북내면 소재 ※ 저작권에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7. 30. [고려]담양 객사리 석당간 담양 객사리 석당간 고려시대, 보물 제 505호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객사리 소재 ※ 저작권에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7. 27. [고려/승탑]충주 정토사지 홍법국사탑 충주 정토사지 홍법국사탑 고려시대, 국보 제 102호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 저작권에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7. 26. [고려]평창 월정사 팔각구층석탑 평창 월정사 팔각구층석탑 고려시대, 국보 제48-1호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월정사 소재 ※ 저작권에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7. 26. [고려]담양 남산리 오층석탑 담양 남산리 오층석탑 고려시대, 보물 제 506호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남산리 소재 ※ 저작권에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7. 26. [고려전기/불교유물유적/탑] 예천 개심사지 오층석탑 예천 개심사지 오층석탑 ★ 예천 개심사지 오층석탑(醴泉 開心寺址 五層石塔) : 경상북도 예천군 개심사지에 있는 고려시대의 오층석탑. 탑은 고려 현종(顯宗) 1년(1010)에 건립하였으며, 지금은 논 가운데 서 있다. 탑은 신라 양식을 계승하면서 고려의 특징도 보여준다. 하층 기단은 네 개의 돌로 되어 있고, 각면에는 안상(眼象) 속에 십이지상을 조각했으며 상층 기단에는 각면에 탱주 한 개를 두고 팔부신장(八部神將)을 조각했다. 탑신의 처마가 길게 뻗어 있다. 보물 제53호. 2019. 7. 25. [고려]개성 경천사지 십층석탑 개성 경천사지 십층석탑 고려, 국보 제 86호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 저작권에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7. 25. [고려]금강령 세부 도안 금강령 세부 도안 영국사터(도봉 서원 터) 출토 ※ 저작권에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7. 21. [고려]금강령과 탁설 금강령과 탁설 영국사터(도봉서원 터) 출토 ※ 저작권에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7. 21. 정효공주묘의 불탑 정효공주묘의 불탑 ★ 정효공주묘 불탑(貞孝公主墓 佛塔) : 발해 문왕의 넷째 딸 정효공주 묘 위 지상에 세워져 있던 불탑으로 벽돌탑이다. 무덤 위에 탑을 쌓는 것은 발해의 독특한 양식으로 무덤 위에 건물을 짓던 풍습이 불교와 결합되어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탑은 기단부만이 남아 있다. 그림은 복원한 모습을 유추하여 그린 것이다. ★ 정효공주묘(貞孝公主墓) : 남북국시대 발해의 제3대 왕인 문왕의 넷째 딸 정효공주의 묘로, 793년에 만들어진 발해 초기 고분이다. 중국 길림성 연변 조선족 자치주 화룡시 룽터우산 고분군(中國 吉林省 朝鮮族 自治州 和龍市 龍頭山古墳群) 가운데 하나이다. 불탑(佛塔)아래 지하에 묘가 조성되어 있다. 굴식돌방 무덤이고 벽돌로 쌓았으며, 천장은 모줄임 구조이다. 당나라식 벽.. 2019. 7. 12. [남북국/신라하대/사상과 학문] 신라의 선종 9산 신라의 선종 9산 ★ 신라의 선종 9산(新羅 禪宗 九山) : 당나라에서 성행한 선종 불교가 유학승에 의해 8세기 후반 신라에 도입되어, 남북국시대 말기와 고려 초기에 9산문이 성립되었다. 선종의 9산은 가지산문 · 동리산문 · 봉림산문 · 사굴산문 · 사자산문 · 성주산문 · 수미산문 · 실상산문 · 희양산문이다. 2019. 7. 11. [남북국/발해/고분] 발해 돌사자 발해 돌사자 ★ 발해 돌사자(渤海 石獅子) : 중국 길림성 둔화현 정혜공주묘(貞惠公主墓) 앞에 있었던 발해의 돌사자상. 정혜공주묘에서 2기가 출토되었느데, 780년 경에 만들어진 것으로 보인다. 사자상은 비교적 현실적인 사자에 가까운 모습이며, 장식없는 대좌와 사자를 하나의 돌로 조성했다. 입을 크게 벌린 모습의 사자상은 생동감 있고 용맹한 느낌을 준다. 고대의 지배층의 무덤에는 무덤을 지키는 석인(石人)과 석수(石獸)를 만들어 배치하였고, 일찍 불교를 받아들인 고구려에서는 궁궐과 사찰에 수호의 의미로 사자상을 제작하여 두었다. 이 돌사자 상은 고구려의 이러한 문화를 계승한 것으로 보인다. 정혜공주는 발해 3대 문왕(文王)의 둘째 딸이다. 2019. 7. 9. [신라/인물]의상(義湘) 의상(義湘) ★ 의상(義湘, 625~702) : 신라 중대의 왕족 출신 승려, 신라 중대의 작가이자 철학자. 중국 당나라에 유학하여 중국화엄종 제2대 조사인 지엄(至嚴)으로부터 화엄종(華嚴宗)을 수학하고 법통을 이어받았다. 한국 화엄종(華嚴宗)의 시조이다. 호는 해동화엄시조원교국사(海東華嚴始祖圓敎國師)이다. 2019. 6. 29. [신라/인물]원효(元曉) 원효(元曉) ★ 원효(元曉, 617~686) : 삼국시대 신라의 고승이자 학자, 사상가, 작가, 시인, 정치가. 원효는 법명이고, 본래 성씨는 설씨(薛)이다. 청년 시절 태학에서 수학하고 화랑으로 활동하기도 하였으며, 어머니의 죽음을 계기로 출가하여 승려가 되었다. 이후 당나라 유학길에 올랐다가 당항성 근처 무덤가에서 잠이 들었다가 해골물을 마시고 일체유심조의 진리를 깨닫고 유학을 포기한다. 그 귀 민중에 불교를 보급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요석공주와의 사이에 설총을 낳았다. 2019. 6. 28. [남북국/신라하대/불교유물] 무구정광대다라니경 무구정광대다라니경 ★ 무구정광대다라니경(無垢淨光大陀羅尼經) : 대승불교 경전 중 하나로 줄여서 이라고도 부른다. 1966년 불국사 석가탑을 보수하기 위해 해체하다가 발견되었다. 제2층 탑신부에 있던 금동제 사리외함(舍利外函)에서 여러 사리장엄구(舍利莊嚴具)와 함께 나왔다. 8세기에 인쇄한 목판본으로, 현존하는 목판 인쇄물로 중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것이다. 국보 126-6호. 불국사성보박물관 소장. 2019. 6. 26. [남북국/신라중대/탑] 의성 탑리리 오층석탑 의성 탑리리 오층석탑 ★ 의성 탑리리 오층석탑 (義城 塔里里 五層石塔) : 경상북도 의성군 금성면 탑리리에 있는 남북국시대 신라중대(통일신라)의 석탑으로 현재까지 거의 온전한 형태를 유지하고 있다. 전탑과 목탑의 특징이 모두 드러나는 독특한 양식으로 모전석탑으로 분류한다. 또, 모전석탑과 석탑의 과도기와 같은 모습이어서 통일신라 전기(중대)의 작품으로 추정한다. 구조는 낮은 1층 기단 위에 5층의 탑신 (塔身) 은 몸돌과 지붕돌로 구성되어 있으며, 지붕돌 위의 장식은 흔적만 남아있다. 몸돌은 목조건물을 모방하여 모서리에 기둥모양을 조각하였고, 1층에는 감실이 있다. 지붕돌은 돌은 깍아서 짜맞추었는데, 4층과 5층은 돌 하나로 깍아 만들었다. 탑은 응회암과 화강암으로 만들어졌으며, 높이는 9.6m이다... 2019. 6. 23. [남북국/신라하대/불상] 석조 약사여래불 좌상(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석조 약사여래불 좌상(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삼릉곡에 있던 모습(조선고적도보) ★ 석조 약사불 좌상(국립중앙박물관 소장) : 8~9세기 신라 하대의 약사불 좌상. 본래 경주 남산 삼릉계에 있었는데, 1915년에 서울로 옮겨졌다. 전체적으로 보존 상태가 좋은 편이다. 머리는 나발이고 이마에 백호 구멍이 있으며 표정은 근엄하다. 풍만한 몸에 통견(通肩)의 법의를 걸쳤다. 수인(手印)은 오른손은 항마촉지인(降魔觸地印), 왼손에는 약합을 쥐고 있다. 광배는 타원형의 거신광(擧身光)으로 두줄 선은로 두광과 신광을 새겼다. 내부에는 화불(化佛), 외부에는 화염문(火焰文)을 새겼다. 대좌는 3단으로, 상·하단은 연화좌, 중단은 8각의 면석에 향로와 보살상을 조각하였다. 높이 3m 40cm.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2019. 6. 21. [남북국/신라중하대/불교유물] 석굴암 십일면 관음보살상 석굴암 십일면 관음보살상 ★ 석굴암 십일면 관음보살상(石窟庵十一面 觀音菩薩像) : 석굴암 본존불의 바로 뒤에 부조로 새겨진 관음보살상. 머리에 쓴 관에 11개의 얼굴이 조각되어 있으며 오른손에 정병(淨甁)을 들고 있다. 다른 조각상보다 많이 돌출되어 입체감이 강조되어 있다. 2019. 6. 20.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