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사진자료실/근대525 [일제강점기/의학]수원 자혜원 배치도 수원 자혜원 배치도 ★ 수원 자혜원 : 1910년 세워진 수원 지역 최초의 근대적 공립병원. 일제가 화성행궁의 정전인 봉수당을 허물고 만들었다. 화성 행궁 복권이 추진되며 이전되었다. 2020. 9. 5. [개화기/의학]선교 병원의 조선인 환자들 선교 병원의 조선인 환자들 성 누가 병원, 20세기 전후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9. 5. [개화기/교육]이화학당 이화학당 ★ 이화학당(梨花學堂) : 1886년에 조선 한성부에 설립된 근대 중등교육기관으로 한국 초기의 여성교육 기관. 이화여자고등학교와 이화여자대학교의 전신이다. 2020. 9. 4. [개화기/교육] 여학생들을 가르치는 스크랜튼 부인 여학생들을 가르치는 스크랜튼 부인 ★ 메리 플레처 벤튼 스크랜튼(Mary Fletcher Benton Scranton, 1832~1909) : 미국의 교육자이자 기독교 감리교회 선교사. 이화여자대학교와 이화여자고등학교의 전신인 이화학당과 매향여자정보고등학교의 창설자이다. 갑신정변 이후 북아메리카 감리교회에서 파견된 5인의 여자 선교사 중 한 사람으로 한국 최초의 여성 교육기관인 이화학당을 설립하여 한국 여성 교육의 시초가 된 인물이라 평가받는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9. 4. [개화기/교육] 메리 플레처 벤튼 스크랜튼 메리 플레처 벤튼 스크랜튼 ★ 메리 플레처 벤튼 스크랜튼(Mary Fletcher Benton Scranton, 1832~1909) : 미국의 교육자이자 기독교 감리교회 선교사. 이화여자대학교와 이화여자고등학교의 전신인 이화학당과 매향여자정보고등학교의 창설자이다. 갑신정변 이후 북아메리카 감리교회에서 파견된 5인의 여자 선교사 중 한 사람으로 한국 최초의 여성 교육기관인 이화학당을 설립하여 한국 여성 교육의 시초가 된 인물이라 평가받는다. 2020. 9. 4. [개화기/경제]공립한성은행 광고문 공립한성은행 광고문 ★ 한성은행(漢城銀行) : 1897년 서울에 설립되었던 민족계의 근대적 은행. 민간인 대상 은행이 목표였으나 황실 및 정부 재산의 관리와 금융으로 전환하고, 1903년 공립한성은행으로 개편하였다. 1905년 금융공황으로 일본 다이이치은행(第一銀行)의 융자로 위기를 극복하였으나 다이치 은행에 의존하게 되어 일제 자본과 경영인을 끌어들이는 결과를 낳았다. 1910년 국권상실로 친일파가 경영을 장악하였다. 1919년 3.1운동 때 한국인들이 예금 인출과 1920년대의 대공황으로 다이치 은행의 구제자금을 지원받은 뒤 일본인이 경영에 참여하여 주요 직책을 독점하였다. 1928년 조선 식산 은행이 주식 상당분을 인수하여 조선 식산 은행의 지배를 받았다. 이후 일제의 민족계은행통합정책에 의해, 1.. 2020. 9. 3. [개화기/경제]대한천일은행 창립 청원서 대한천일은행 창립 청원서 ★ 대한천일은행(大韓天一銀行) : 조선 말기, 강화도 조약으로 한반도로 진출한 일본 금융업계에 대항하기 위해 1899년 설립된 민족계 은행. 초기에는 정부에게 국고금을 대여받아 쓰고 영친왕이 은행장을 맡으면서 황실과 고위층이 이용하는 특수은행의 성격을 가졌으나, 1906년 일반은행으로 변모하였다. 1911년 조선총독부에 의해 조선상업은행으로 개편되었다. 해방 후 한국상업은행, 한빛은행을 거쳐 지금의 우리은행의 일부이다. 2020. 9. 3. [개화기/정변및사건] 만석보터 만석보터 ★ 만석보터(萬石洑터) : 정읍천과 태인천 상류에 농민들이 설치한 보가 있었으나, 고종 30년(1893) 고부군수 조병갑이 농민들을 강제로 동원하여 두 하천이 합류하는 하류지점에 새로 만석보를 축조하였다. 만석보가 완공된 후 가을에 새 보에 대한 수세라는 명목으로 많은 양의 쌀을 착취하자 농민들이 분개하여 1894년 1월 전봉준을 중심으로 고부 관아를 점령하였다. 만석보는 농민들에 의하여 파괴되어 지금은 둑을 쌓았던 흔적만이 남아있다. 1973년 동학농민운동의 근원지인 이곳을 기념하기 위해 비를 세웠다. 전라북도 정읍시 이평면 하송리 소재.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9. 3. [개화기/항일의병운동]을미 의병 을미 의병 ★ 을미의병(乙未義兵) : 1895년에 명성황후 민씨가 일본에 의해 암살된 을미사변과 단발령에 반발한 유생들이 임금을 위하여 힘쓰고 임금을 위한 의리를 주장한다는 근왕창의(勤王倡義)를 내걸고 친일 내각의 타도와 일본 세력을 몰아내기 위해 일으킨 항일 의병. 1896년 3월 이후 의병활동은 점차 누그러지고, 1896년 5월 24일 고종의 해산 칙유문(勅諭文) 발표로 을미의진은 대부분 해산했으나 경북 지역의 의병들은 서로 연합하여 8월까지 활동하였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9. 2. [개화기/애국계몽운동]시일야방성대곡 시일야방성대곡 ★ 시일야방성대곡(是日也放聲大哭) : 의 주필인 장지연이 1905년 11월 20일 에 올린 글의 제목. 시일야방성대곡이란 "이 날에 목놓아 우노라"라는 의미이다. 장지연은 이 글에서 고종 황제의 승인을 받지 않은 을사조약의 부당함을 알리고 이토 히로부미와 을사오적을 규탄했다. 2020. 9. 2. [개화기/항일운동]단지동맹 기념 엽서 단지동맹 기념 엽서 ★ 단지동맹(斷指同盟) : 1909년 러시아 그라스키노 근처 카리에서 안중근을 중심으로 결성된 소규모 결사대. 왼손 약지를 끊어 태극기에 ‘대한독립(大韓獨立)’을 쓰며 맹세하여 단지동맹이라 부른다. 1909년 10월 26일 안중근을 하얼빈에서 이토 히로부미를 사살하였다. 2020. 9. 2. [개화기/항일의병운동]철도 파괴 의병의 처형 철도 파괴 의병의 처형 ★ 철도 파괴 의병의 처형 : 1904년 9월, 용산과 마포를 잇는 철도 공사를 방해한 혐의로 처형당하는 의병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9. 1. [개화기/항일의병운동]의병 처형(남한 대토벌) 의병 처형(남한 대토벌) ★ 남한 대토벌 작전(南韓大討伐作戰) : 일본 제국이 1909년 가을(9,10월) 약 2달에 걸쳐 대한제국 내 전라남도와 그 외곽지대에서 저항을 했던 항일의병들을 진압하기 위해 세운 토벌작전. 일제는 의병 뿐 아니라 양민 살해와 약탈 등을 일삼으며 수많은 민간인을 학살하였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9. 1. [개화기/열강의침략]기고시 여단의 시가 행진 기고시 여단의 시가 행진 ★ 인천에 상륙한 일본국 기고시(木越) 여단의 시가 행진(1904년 2월 8일)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9. 1. [개화기/열강의침략]을사늑약 전문 을사늑약 전문 ★ 을사조약(乙巳條約) : 제2차 한일 협약, 을사늑약이라고도 한다. 1905년 11월 17일 대한제국의 외부대신 박제순과 일본 제국의 주한 공사 하야시 곤스케에 의해 체결되었다. 대한제국의 외교권을 빼앗고, 통감을 두어 내정간섭을 하는 것이 주된 내용이다. 전국적인 반발을 불렀으며 이에 반대하는 의병 운동이 일어났다(을사의병). 2020. 8. 31. [근대/열강의침략]운요호 사건 운요호 사건 ★ 운요호 사건(雲揚號事件, 1875) : 통상조약 체결을 위해 일본 군함 운요호가 불법으로 강화도에 들어와 측량을 구실로 조선 정부의 동태를 살피다, 조선 수비대와 전투를 벌인 사건이다. 이 사건을 계기로 조선과 일본은 강화도 조약을 체결하였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8. 31. [개화기/열강의침략] 청일전쟁으로 폐허가 된 민가 청일전쟁으로 폐허가 된 민가 ★ 청일 전쟁(淸日戰爭) : 청나라와 일본이 조선의 지배권을 놓고 1894년 7월 25일부터 1895년 4월까지 벌인 전쟁. 전쟁은 일본이 승리하였고 청 ․ 일 양국은 심모노세키 조약을 체결하였다. 청은 조선에 대한 지배권을 상실하고 일본은 더욱 노골적으로 조선 침략을 추진하였다. 또한, 일본에 배상금 2억 냥(兩)을 지불하였고, 랴오둥 반도·타이완, 펑후 제도 등을 할양 및 일본에 할양 및 통상상의 특권을 부여하였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8. 30. [개화기/열강의침략]청일전쟁 중 격침되는 청 군함 고승호 청일전쟁 중 격침되는 청 군한 고승호 ★ 청일 전쟁(淸日戰爭) : 청나라와 일본이 조선의 지배권을 놓고 1894년 7월 25일부터 1895년 4월까지 벌인 전쟁. 전쟁은 일본이 승리하였고 청 ․ 일 양국은 시모노세키 조약을 체결하였다. 청은 조선에 대한 지배권을 상실하고 일본은 더욱 노골적으로 조선 침략을 추진하였다. 또한, 일본에 배상금 2억 냥(兩)을 지불하였고, 랴오둥 반도·타이완, 펑후 제도 등을 할양 및 일본에 할양 및 통상상의 특권을 부여하였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8. 30. [개화기/정변및사건] 동학농민운동 기념탑 동학농민운동 기념탑 전라북도 정읍 소재 ★ 동학농민운동(東學農民運動) : 1894년 동학 지도자들과 동학 교도 및 농민들에 의해 일어난 백성의 무장 봉기. 동학 농민 전쟁(東學農民戰爭)이라고도 한다. 크게 1894년 음력 1월의 고부 봉기(1차)와 음력 4월의 전주성 봉기(2차)와 음력 9월의 전주·광주 궐기(3차)로 나뉜다. 동학농민군을 진압하기 위해 민씨 정권에서는 청나라군과 일본군을 번갈아 끌어들여 결국, 농민 운동 진압 후 청일 전쟁의 직접적인 원인이 되었다. 한편, 갑오개혁(1894)에 농민들의 요구가 반영되어 신분제 및 전근대적 구습이 폐지되는 결과를 이끌어내었다. 아래로부터의 반봉건 ․ 반외세 운동으로 평가한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8. 30. [근대/인물]홍종우 홍종우 ★ 홍종우(洪鍾宇, 1850~1913) : 조선의 문신이며 대한제국의 근왕주의 개화파 정치인, 조선 최초의 프랑스 유학생. 1894년 중국 상하이에서 급진 개화파의 거두인 김옥균을 저격하여 암살했다. 2020. 8. 29. 이전 1 ··· 13 14 15 16 17 18 19 ··· 2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