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지리280

[한국지리/경제]논갈이 논갈이 ★ 논갈이 : 모내기에 앞서 본논을 갈고 거름을 주어 써레질을 하는 것. 논갈이는 봄과 가을에 하는데, 가을 갈이는 토질을 좋게 하고 해충을 죽이는 효과가 있으며, 써레질은 논에 물을 대고 갈아엎은 흙덩이를 부서 논바닥을 평평하게 하는 것으로 논에서 물 새는 것을 막은 역할을 한다. 옛날에는 인력과 가축을 이용하였으나 현재는 트랙터로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9. 2.
농작물 재배 시기 농작물 재배 시기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9. 1.
[한국지리/경제]벼농사 벼농사 ★ 벼 : 벼과의 재배종으로 세계 인구의 반 이상에게 중요한 식량 자원이다. 물이 많이 필요하고 벼농사가 매우 노동집약적이나 수확량이 많아 인구부양력이 높은 작물이다. 주로 아시아 지역에서 많이 재배된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9. 1.
[한국지리/경제]수입 돼지고기 원산지 수입 돼지고기 원산지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9. 1.
[한국지리/경제]쌀과 육류 소비 변화의 추이 쌀과 육류 소비 변화의 추이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8. 31.
[한국지리/경제]한국의 주요 곡물 자급률 한국의 주요 곡물 자급률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8. 31.
[한국지리/경제]국가별 곡물 자급률 [한국지리/경제] 국가별 곡물 자급률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8. 30.
[한국지리/경제]한국의 식량 자급률 추이 한국의 식량 자급률 추이 자료출처 : 연합 뉴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8. 30.
[한국지리/경제]동아시아 교역액 동아시아 교역액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8. 29.
[한국지리/경제]한국의 주요 수출품 변화 [한국지리/경제] 한국의 주요 수출품 변화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8. 29.
[한국지리/경제]한국 공업 구조의 변화 한국 공업 구조의 변화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8. 28.
[한국지리/경제]한국의 공업 지역 한국의 공업 지역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8. 28.
[한국지리/통일과북한]북한식 순대 북한식 순대 ★ 순대(sundae) : 돼지의 창자에 채소나 당면을 비롯한 각종 속을 채우고 선지로 맛과 색깔을 낸 후 수증기에 쪄내어 만든 음식. 삼국시대 전래설과 고려시대 전래설이 전하며 ‘순대’라는 이름은 만주어에서 유래했다. 현재 남북한 모두 즐겨먹는 음식이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7. 29.
[한국지리/통일과북한]냉면 냉면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7. 29.
[한국지리/통일과북한]북청사자놀음 북청사자놀음 ★ 북청사자놀음(北靑獅子놀음) : 함경남도 북청 지방에서 정월대보름에 행해지던 사자놀이, 탈놀음. 북청군 전지역에서 행해졌다. 대한민국에서는 한국전쟁 뒤 월남한 연희자들에 의하여 현재는 서울 중심으로 전승되고 있다. 국가무형문화재 제15호.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7. 28.
[한국지리/통일과북한]땅굴 땅굴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7. 27.
[한국지리/통일과북한]굶주린 북한 어린이 굶주린 북한 어린이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7. 27.
[한국지리/통일과북한]북한의 산림 훼손 북한의 산림 훼손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7. 26.
[한국지리/통일과북한]북한의 산림 훼손 추이 북한의 산림 훼손 추이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7. 26.
[한국지리/통일과북한]북한의 시멘트 공장 북한의 시멘트 공장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7.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