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사3543

[일제강점기/문화와예술] 삼천리 삼천리 ★ 삼천리(三千里) : 일제강점기의 잡지. 1929년 6월 조선 경성부(서울)에서 발행된 취미 · 시사 중심의 월간 종합잡지. 김동환, 김동인, 이광수, 정지용, 나혜석 등 당대의 걸출한 문인(文人)들이 필진으로 참여하였다. 정치, 사회, 취미, 역사, 시사 등 다양한 분야의 글을 소개하였으며, 은어와 비속어, 여성 운동, 조선의 독립운동에 대해서도 폭넓게 소개하였다. 1941년 폐간되었다가 이후 두 차례 복간되었다. 2021. 4. 7.
[일제강점기/문화와예술] 임자 없는 나룻배 임자 없는 나룻배 ★ 임자 없는 나룻배 : 1932년 흑백 35mm 필름으로 제작된 한국의 무성 영화. 각본·감독은 이규환, 나운규·문예봉(文藝峰)이 주연을 맡았다. 한국 근대 영화사의 수작으로 전형적인 권선징악을 탈피한 한국적 사실주의(리얼리즘)의 시초로 평가받는다. 2021. 4. 6.
[일제강점기/사회] 일제강점기의 출생율과 사망율 일제강점기의 출생율과 사망율 2021. 4. 6.
[근현대/과학기술] 수풍댐 수풍댐 ★ 수풍댐(水豐dam) : 압록강에 위치한 중력식 댐으로 북한의 평안북도 삭주군과 중국 랴오닝성 단둥 시 콴뎬 만족 자치현 사이에 있다. 일본이 1937~1943년에 걸쳐 건설하였다. 준공 당시에는 아시아에서 가장 큰 댐이었으며, 후버 댐과 윌슨 댐에 이어서 세계에서 세 번째로 큰 수력발전소였다. 6.25 전쟁 중에 UN군의 공습을 세 차례 받았으며, 휴전 후 복구하였고 여러 번의 보수를 거쳐 지금까지 전력을 생산하고 있다. 2021. 4. 6.
[일제강점기/경제] 흥남비료공장 흥남비료공장 ★ 흥남비료공장(興南肥料工場) : 일제가 함흥 남쪽에 건설한 대규모 질소 비료 공장으로, 당시 한국 최대의 비료 공장이었다. 태평양 전쟁 말기에 이곳에서 원자폭탄 개발을 추진하기도 했다. 6.25 전쟁 때 파괴되었으나 중국의 지원으로 재건하였으며, 1990년대부터 생산 계통 현대화 및 석탄 가스화 등을 추진하고 있다. 2021. 4. 5.
[일제강점기/경제수탈] 줄포 정미소 줄포 정미소 ★ 줄포정미소 : 일제강점기 서해안 4대 항구 중 하나인 줄포면(전라북도 부안군)에 있던 정미소로, 독립운동가였으나 1940년대에 친일로 변절한 김성수 가문의 소유였다. 당시 줄포면은 부안 지역의 경제 중심지이지아 일본의 호남 지역의 농산물 수탈 거점이었다. 2021. 4. 5.
[일제강점기/경제] 소작 계약서 소작 계약서 ★ 소작계약서 : 소작계약서의 양식은 지역마다 약간의 차이가 있었으나, 토지의 위치, 토지 번호, 면적, 소작료 등이 기재되었다. 2021. 4. 5.
[근현대/사상과학문] 큰 사전 큰 사전 ★ 큰 사전 : 한글 학회가 만든 한국어 사전이다. 1929년 조선어사전편찬회가 발족되어 사전 편찬을 진행하였으나 1942년 조선어학회 사건으로 중단되었다. 일본 경찰에 압수됐던 사전 원고가 광복 후 경성역 조선통운 창고에서 발견되어 1947년 1권, 1949년 2권을 간행하였다. 조선어학회가 한글 학회로 이름을 바꾸면서 1950년 간행한 3권부터는 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1950년 한국 전쟁으로 사전 간행이 중단되고, 1953년 한글 간소화 파동으로 이승만 대통령이 록펠러 재단의 원조를 막는 등 위기가 있었지만, 1957년에 4·5·6권을 간행하면서 이 완간되었다. 2021. 4. 4.
[일제강점기/독립운동가] 백범일지 백범일지 ★ 백범일지(白凡逸志) : 독립운동가인 백범 김구가 쓴 자서전. 친필본과 필사본 2종, 1947년에 공식적으로 출간된 국사원본(이광수 윤문)이 있다. 1994년 백범의 아들 김신이 친필 원본을 공개하였으며, 친필본은 보물 제 1245호로 지정되었다. 2021. 4. 4.
[일제강점기/여성운동]<근우> 창간호 창간호 ★ 근우회(槿友會) : 일제 강점기 중반에 조직된 여성 단체. 1927년 한국의 여성운동가들이 좌우를 초월하여 설립한 단체이며 신간회의 자매 단체였다. 김활란, 고황경, 박차정, 정칠성, 박순천 등이 주요 인물이었으며, 전국적 규모의 조직이었다. 근우회의 목표는 ‘여성의 지위 향상 도모’였고 봉건적 구습 타파 및 여성 파별 철폐, 여성 교육 등을 주장하였다. 1931년 신간회 일부 지부가 해소를 결의하고, 일제의 탄압과 여러 계열이 혼재된 구성 등으로 한계에 부딪혀 해체되었다. ★ 근우 : 1927년 조직된 여성 단체 의 기관지. 2021. 4. 4.
[일제강점기/인적수탈] 일제의 강제 징용 피해자 자료 일제의 강제 징용 피해자 자료 강제징용 피해자 전우석씨의 사진과 사망진단서(1943년 사망)와 강제징용 피해자들의 자료들 (사진출처 : 뉴시스) ★ 일제강점기의 강제 징용 : 일본은 제2차 세계대전 중 인력 확보를 위해 많은 한국인을 강제로 동원하였다. 1938년 을 공포하고 실시하였다. 한국 노동자들의 직업 선택권을 빼앗고 일본의 필요에 따라 강제 노동을 시켰다. 한국 노동자들은 사할린 섬이나 동남아시아, 남양군도 등에서 탄광, 군사기지 및 철도 건설에 동원되어 임금도 제대로 받지 못한 채 과중한 노동에 시달렸다. 이들 중 많은 이들이 한국으로 돌아오지 못하였으며, 전후 전범으로 희생되기도 했다. 일본은 현재까지 일제의 강제징용을 부인하고 있다. 2021. 4. 3.
[일제강점기/민족말상정책]일본어 독본을 읽은 어린이들 일본어 독본을 읽은 어린이들 ★ 일제강점기 후반 일본이 실시한 민족말살정책의 일환으로 한국어와 한글을 금지하고 일본어 사용을 강요하였다. ★ 민족말살정책(民族抹殺政策) : 일본이 일제강점기 1930년대 후반부터 한국의 식민통치를 정당화하고 한민족의 정체성을 사라지게 하여 최후까지 전쟁협력을 얻기 위해 취한 정책. 와 등을 내세우며 , 등을 추진하였다. 그러나, 한국인의 정치 참여와 교육 확대 등은 외면하고 차별은 개선하지 않았다. 2021. 4. 3.
[일제강점기/일제의탄압과만행] 일제강점기 한일 노동자의 임금과 노동 시간 차이 일제강점기 한일 노동자의 임금과 노동 시간 차이 2021. 4. 3.
[일제강점기/독립운동] 성진회 성진회 ★ 성진회(醒進會) : 1926년 전라남도 광주에서 조직되었던 항일학생운동단체로 비밀단체였다. 광주보통학교와 광주농업학교 학생들이 모여 조직하였으며, 한국의 독립과 민족 해방을 목표로 하였다. 1927년 조직의 비밀 누설을 염려하여 해체하였으나, 주요구성원을 중심으로 ‘독서회’로 재편되어 사회과학을 연구하였다. 1929년 일어난 광주학생항일운동의 전국적 확산의 기폭제가 된 2차 광주시위운동(1929년 11월 12일)을 주도하였다. 2021. 4. 2.
[일제강점기/무장독립투쟁] 조선의용군의 군사 훈련 조선의용군의 군사 훈련 ★ 조선의용대(朝鮮義勇隊, Korean Volunteers Army) : 조선항일의용군(朝鮮抗日義勇隊), 국제여단(國際旅團)이라고도 불렀다. 대장 김원봉과 조선민족혁명당의 주도로 1938년 10월 10일 중국 후베이성 한커우(漢口, 현재 우한)에서 결성된 독립군이다. 조선민족전위동맹 산하의 단체로 분류된다. 중국 국민당의 지원을 받아 중국 본토에서 일본군과 싸웠으며, 게릴라전과 선전업무를 맡기도 했다. 1941년 의용대 일부가 화북으로 이동하여 분열되자 조선의용군(朝鮮義勇軍)으로 개칭하였으며, 1942년 김원봉이 대한민국 임시 정부에 참여하자 의용대의 일부는 광복군 제1지대로 편입되었고, 김원봉은 군무부장에 취임했다. 2021. 4. 2.
[일제강점기/독립운동가] 한중호조사의 임시정부 대표들 한중호조사의 임시정부 대표들 ★ 한중호조사(韓中互助社) : 1921년 중국 각지에서 한국 독립운동가들과 중국의 민간인들이 한중친선과 한국독립 지원, 반제국주의 활동 등을 목적으로 결성한 민간단체. 2021. 4. 2.
[일제강점기/독립운동]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피난선과 이삿짐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피난선과 이삿짐 ★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만주사변(1932), 이봉창 의거와 윤봉길 의거(1932), 중일 전쟁(1937) 등으로 1932년부터 1940년 충칭에 정착할 때까지 여러 차례 본거지를 옮겼다. ★ 대한민국 임시 정부(大韓民國臨時政府,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1919년 4월 11일 ~ 1948년 8월 15일) : 1919년 3월 1일 경성(서울)에서 선포된 3·1 독립선언에 기초하여 일본의 대한제국 침탈과 식민 통치를 부인하고 한반도 내외의 항일 독립운동을 주도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립된 대한민국의 망명 정부이다. 1919년 4월 11일 중국 상하이에서 설립되었으며, 같은 해 9월 11일에는 각지의 임시 정부들을 .. 2021. 4. 1.
[일제강점기/해외독립운동]만주와 연해주 지역의 독립운동 단체 만주와 연해주 지역의 독립운동 단체 2021. 4. 1.
[근현대/영토와역사문제]간도 지역 간도 지역 ★ 간도(間島) : 압록강 상류와 두만강 북쪽의 조선인 거주 지역을 일컫는 말로, 범위에 관하여는 여러 이견이 있다. 일반적으로 간도라 하면 현재의 연변 조선족 자치주 지역을 가리키며, 두만강 북쪽 연변 지역을 ‘북간도’, 서쪽인 압록강 북쪽 지역을 '서간도'라 부르기도 한다. 19세기 말, 조선과 청나라가 백두산정계비에 쓰여진 "토문(土門)"을 서로 달리 해석하면서 이 지역(북간도)에 대한 귀속 문제가 불거졌고, 1903년(광무 7년) 대한제국은 간도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하며 간도관리사 파견하였다. 일본이 을사조약으로 대한제국의 외교권을 박탈한 뒤(1905), 1909년 일본은 청나라와 간도 협약을 체결하여 이 지역에 대한 청나라의 법적 권한을 인정하여 한국은 간도를 빼앗겼다. 1962년 북.. 2021. 4. 1.
[일제강점기/무장독립투쟁]조선혁명선언 조선혁명선언 ★ 조선혁명선언(朝鮮革命宣言) : 1923년 중국에 망명중이던 신채호(申采浩)가 비밀 항일결사 단체인 의열단(義烈團)의 선언문으로 작성한 글.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외교노선주의론에 반대하고 폭력투쟁적 항일투쟁노선을 정당화하고 아나키즘의 영향을 받은 민중의 직접 혁명 이념을 제시하였으며 반제국주의 노선을 명백하게 드러내었다. 삼일 독립선언문 이후 가장 큰 역사적 의의를 지닌 독립사상을 밝힌 문헌으로 평가받는다. 2021. 3.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