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리287 [세계지리/열대기후]열대 식생의 수직 분포 열대 식생의 수직 분포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1. 20. [한국지리/도시와촌락]촌락-산촌 촌락-산촌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1. 19. [한국지리/도시와촌락]촌락-농촌 촌락-농촌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1. 19. [한국지리/경제]4대강 정비 사업의 비용 4대강 정비 사업의 비용 ★ 4대강 정비 사업 : 이명박 정부가 한국형 녹색 뉴딜을 내세워 추진한 사업으로 2012년까지 22조원의 예산을 투입하였다. 대하천을 정비하여 하천 저수량을 늘리고 홍수를 방지하며, 하천 생태계를 살린다는 명분을 내세웠으나, 졸속 추진과 예산 낭비, 환경 파괴 .. 2020. 1. 19. [세계지리/열대기후]열대 우림(熱帶雨林) 열대 우림(熱帶雨林) ★ 열대 우림(熱帶雨林) : 열대와 아열대의 연중 고온습윤한 지역에 형성되는 숲. 다양하고 복잡한 생태계를 형성하며 대기에 많은 산소를 공급한다. 적도 우림이라고도 한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1. 18. [기후/생활] 터돋움집 터돋움집 ★ 터돋움집 : 침수 피해를 막기 위해 집터를 높게 올려서 지은 집. 2020. 1. 17. [세계지리/고산기후]열대 고산 기후 열대 고산 기후 ★ 열대 고산 기후 : 해발고도가 높아 기온이 낮고, 연중 봄처럼 온화한 기후(상춘기후). 고산 도시가 발달한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1. 17. [세계지리/건조기후지형]플라야(미국 캘리포니아 데스밸리) 플라야(playa) (미국 캘리포니아 데스밸리) ★ 플라야(playa) : 사막 지대에 비가 내려 일시적으로 생기는 건호(乾湖). 넓은 지역을 아우르며 생길 수 있지만 깊지 않다. 대부분의 물은 증발하여 표면에 소금층만 남는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1. 16. [기후/계절/봄] 화전(花煎) 화전(花煎) ★ 화전(花煎) : 한국의 전통 계절 음식으로, 봄에 여성들이 꽃을 따서 화전을 만들어 먹던 ‘화전놀이’에서 유래하였다. 2020. 1. 16. [기후/계절/겨울] 호빵 호빵 ★ 호빵 : 일반적으로 겨울에 먹는 음식으로 밀가루 반죽 속에 팥이나 채소 따위의 소를 넣고 김에 쪄서 먹는 찐빵이다. 2020. 1. 16. [기후/계절] 여름의 해수욕 여름의 해수욕 ★ 해수욕(海水浴) : 바다(해안)에서 수영과 물놀이를 하며 즐기고 노는 일. 온대지방인 대한민국에서는 여름에만 가능하다. 열대지방에서는 언제나 할 수 있으나 건기에 성행하며, 한대지방에서는 할 수 없다. 2020. 1. 15. [기후/계절/여름] 스쿠버 다이빙 스쿠버 다이빙 ★ 스쿠버 다이빙(SCUBA Diving) : 잠수 장비(수중 호흡기, 공기탱크, 부력 조절 조끼 등)를 갖추고 잠수하는 수중 다이빙(underwater diving). 일반적으로 ‘스킨 스쿠버’라고 한다. 최대 40m 정도, 3시간 반 정도 잠수할 수 있다. 온대지방에서는 바다에서 즐기는 여름 스포츠이며, 열대 지방에서는 연중 내내 할 수 있다. 한국에서 제주도와 동해, 남해에서 한다. 2020. 1. 15. [한국지리/기후]서울의 기온과 강수량 서울의 기온과 강수량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1. 14. [기후] 동아시아의 최종 빙기와 해수면의 변화 동아시아의 최종 빙기와 해수면의 변화 2020. 1. 13. [기후/바람] 여름과 겨울의 바람(風) 여름과 겨울의 바람(風) 2020. 1. 13. [기후/계절/생활] 소발구(쇠발구) 소발구(쇠발구) 발구 소발구(축제에서 재현) ★ 소발구(쇠발구) : 소에 매어 물건을 실어나르는 썰매. 산간지역의 겨울에 이용하였다. 2020. 1. 12. [기후/계절/생활] 설피와 현대의 설상화 설피와 현대의 설상화 설피(왼쪽), 설상화(오른쪽) 설피를 신은 모습 설상화를 신은 모습 ★ 설피(雪皮) : 눈이 많이 오는 지역에서 눈에 빠지지 않게 하기 위해 신발 위에 신고 다니는 덧신.★ 설상화(雪上靴) : 눈이나 얼음 위에서 신는 신발. 미끄러지지 않도록 바닥에 체인을 댄다. 2020. 1. 11. [기후/주거] 중부 지방의 전통 가옥 구조 중부 지방의 전통 가옥 구조 남부와 북부 지방을 절충한 구조 2020. 1. 10. [기후/주거] 우데기 우데기 우데기 우데기의 내부 우데기의 구조 ★ 우데기 : 눈이 많이 오는 울릉도에서 폭설에도 집안을 자유롭게 돌아 다닐수 있게 가벽(假壁)을 설치한 집. 2020. 1. 10. [기후/주거] 남부 지방의 전통 가옥 구조 남부 지방의 전통 가옥 구조 통풍이 잘되는 개방적 구조, 홑집, 마루 발달 2020. 1. 9. 이전 1 ··· 4 5 6 7 8 9 10 ··· 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