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리287 [한국지리/빙하지형] 백두산의 빙식곡(U자곡) 백두산의 빙식곡(U자곡) ★ U자곡(빙식곡) : 곡빙하의 침식으로 형성된 U자 모양의 골짜기 2019. 11. 17. [기후/계절] 벚꽃축제(봄의 꽃놀이) 벚꽃축제(봄의 꽃놀이) ★ 꽃놀이 : 한국의 전통적인 세시풍속 중 하나로 꽃을 감상하며 즐기는 놀이. 주로 봄에 하였다. 과거에는 꽃을 감상하며 별식을 먹고 음주가무를 즐기며, 시를 짓고 그림을 그리기도 하였다. 현대에는 지역마다 꽃이 필 때 축제를 많이 연다. 2019. 11. 17. [세계지리/빙하지형]빙하(氷河) 빙하(氷河) ★ 빙하(氷河) : 천천히 움직이는 커다란 얼음덩어리. 중력과 높은 압력으로 천천히 흘러내린 눈으로부터 형성된 것. 빙하의 얼음은 지구에서 가장 큰 민물을 담고 있는 영역이며 지구상의 모든 물에서 바다 다음으로 크다. 빙하는 넓은 영역의 극권을 덮고 있지만 열대 지방에.. 2019. 11. 16. [지리/카르스트지형]카르스트 지형(Karst) 카르스트 지형(Karst) ★ 카르스트 지형(Karst) : 석회암 등의 물에 녹기 쉬운 암석으로 구성된 대지가 빗물 등에 의해서 용식되어서 생성된 지형. 돌리네, 종유동(석회동굴), 우발레, 라피에, 탑카르스트 등의 특수한 지형이 형성된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11. 16. [한국지리/산악지형]다랑이 논(남해 가천 마을) 다랑이 논(남해 가천 마을) ★ 다랑이 논 : 산비탈을 깍아 만든 계단식 논, 주로 산간 지역에 발달하였다. 2019. 11. 15. [지리/하천지형]V자곡의 형성(V-shaped valley) V자곡의 형성 (V-shaped valley) ★ V자곡(V-shaped valley) : 유수의 작용으로 생기는 종단면이 V자 모양을 한 골짜기. 하천의 상류나 유년기의 골짜기에서는 물의 흐름이 빠르고 측벽이 급경사를 이루며 협곡을 만든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11. 13. [한국지리/화산지형] 백록담(白鹿潭) 백록담(白鹿潭) ★ 백록담(白鹿潭) : 대한민국 제주특별자치도의 한라산 정상에 있는 화구호(火口湖). 한라산은 경사가 완만한 순상화산으로 정상에 화구호인 백록담(白鹿潭)이 있다. ★ 순상 화산(楯狀火山, shield volcano, aspite) : 완만한 경사면을 가진 밑바닥의 면적이 넓은 화산이다. 점성이 낮은 현무암질 용암의 분출·유동·퇴적에 의해서 형성된다. 2019. 11. 13. [한국지리/화산지형] 천지(天池) 천지(天池) ★ 천지(天池) : 백두산 정상에 있는 화산호. 송화강(松花江)의 발원지. 백두산은 성층화산으로 상단부가 함몰되어 거대한 칼데라를 이루었으며, 물이 차서 호수가 되었다. 2019. 11. 13. [지리/해안지형]기반암과 해안 침식 기반암과 해안 침식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11. 12. [지리/지형형성]해수면 변화에 따른 침식 해수면 변화에 따른 침식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11. 12. [한국지리/화산지형] 성인봉(聖人峰) 성인봉(聖人峰) ★ 성인봉(聖人峰) : 대한민국 경상북도 울릉군에 있는 높이 984m의 성층화산. ★ 성층 화산(成層火山, Stratovolcano) : 높고 굳은 용암과 테프라(퇴적한 화산재) 그리고 화산재로 이루어진 여러 층으로 구성된 원뿔형 화산. 측면이 가파르며 폭발적인 분출이 주기적으로 일어난다. 흘러내리는 용암은 점착성이 강해 멀리 퍼지기 전에 굳는다. 복식화산으로도 부른다. 2019. 11. 12. [조선후기/지리학] 수선전도(首善全圖) 수선전도(首善全圖) ★ 수선전도(首善全圖) : 김정호가 만든 한성부 성곽 안과 그 근처의 지도. 19세기 중반 제작(헌종 12 ~15 추정). 김정호가 제작한 목판(보물 제 835호)과 필사본 지도(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 296호)가 전한다. 2019. 11. 12. [한국지리/화산지형] 나리분지(羅里盆地) 나리분지(羅里盆地) ★ 나리분지(羅里盆地) : 울릉도에 중북부에 있는 분지로, 성인봉의 북쪽에 있다. 이곳은 성인봉의 화산 폭발로 만들어졌으며, 칼데라이다. 500만 년 전 강력한 분화로 성인봉을 중심으로 울릉도가 형성되었고, 그 후 봉우리 아랫 부분이 함몰되어 나리분지가 생겨났다. 현재 취락과 농경지로 이용된다. 2019. 11. 12. [지리/해안지형]연안류(littoral / longshore current) 연안류 ★ 연안류(littoral / longshore current) : 해안을 따라 이동하는 조류로 비교적 한결같은 바닷물의 흐름을 보여준다. 해안선이 직선으로 뻗어 있는 해안에 잘 발달하고 해안과 거의 평행을 이룬다. 연안류의 이러한 작용은 사주나 사취발달에서 큰 영향을 끼친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 2019. 11. 11. [지리/하천지형] 영산강 하구둑의 단면도 영산강 하구둑의 단면도 ★ 하굿둑(하구언河口堰) : 강물이 바다로 흘러 들어가는 강어귀의 넓이와 수심을 일정하게 유지하려 하거나 바닷물이 침입하는 것을 막기 위하여 강어귀 부근에 쌓은 댐. 대한민국의 낙동강, 금강, 영산강 등의 강에는 염해를 방지하기 위해 하굿둑이 건설되었다. 2019. 11. 10. [한국지리/하천지형] 보(洑) 보(洑) ★ 보(洑) : 수리 시설의 일종으로 물을 취수할 목적으로 하천을 횡단하여 만들어지는 구조물. 2019. 11. 10. [고지도/조선후기] 동국지도 동국지도 동국대전도 동국지도(채색필사본) ★ 동국지도(東國地圖) : 조선 영조 때 정상기가 제작한 한국의 옛 지도. 한국 지도로는 최초로 백리척을 이용하여 축척을 나타내었으며 방위도 매우 정확하다. 동국지도는 동국대전도(東國大全圖)>와 팔도분도(八道分圖)>로 구성되었다. 동국지도>는 조선 후기에 제작된 많은 지도의 자료로 이용되었으며, 김정호가 대동여지도>를 제작할 때에도 자료로 삼았다. 동국대지도(東國大地圖)> 등의 필사본이 다수 남아있다. 2019. 11. 9. [지형/하천지형] 낙동강의 하구둑 낙동강의 하구둑 ★ 하굿둑(하구언河口堰) : 강물이 바다로 흘러 들어가는 강어귀의 넓이와 수심을 일정하게 유지하려 하거나 바닷물이 침입하는 것을 막기 위하여 강어귀 부근에 쌓은 댐. 대한민국의 낙동강, 금강, 영산강 등의 강에는 염해를 방지하기 위해 하굿둑이 건설되었다. 2019. 11. 9. [한국지리/하천지형] 범람원 범람원 ★ 범람원(氾濫原) : 충적지형 중에서 가장 보편적인 지형. 주로 큰 하천의 중 ․ 하류 발달하며 하천의 양쪽의 평탄하고 낮은 지형으로 홍수 때 강물이 범람하여 토사가 퇴적되어 형성된다. 자연제방과 배후습지로 구성되는데, 자연제방은 비교적 입자가 굵은 물질이 하천 양안에 퇴적되어 지면보다 약간 높은 지형으로 취락, 도로, 밭 등으로 이용되고, 배후습지는 자연재방 뒤의 고도가 낮은 곳에 형성되며 점토가 퇴적된 지형으로 주로 논으로 많이 이용된다. 최근에는 배후 습지에 대규모 주택 단지가 들어서기도 한다. 2019. 11. 8. [한국지리/해안지형/경제] 갯벌 체험 갯벌 체험 ★ 갯벌 체험 : 관광객들에게 갯벌에서 서식하는 조개류 등을 채취하는 것을 체험할 수 있는 관광 상품. 관광객들은 체험료나 도구 대여료 등을 지불한다. 어민들의 새로운 소득원 중 하나이다. 2019. 11. 7. 이전 1 ··· 7 8 9 10 11 12 13 ··· 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