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도161

공민왕의 영토 수복 공민왕의 영토 수복 2016. 5. 21.
삼별초의 대몽항쟁 삼별초의 대몽항쟁 2016. 5. 20.
원의 융성 원의 융성 2016. 5. 19.
고려의 영토상실(몽골 침입) 고려의 영토상실(몽골 침입) 2016. 5. 18.
몽골의 고려 침입 몽골의 고려 침입 2016. 5. 17.
금의 발전 금의 발전 2016. 5. 13.
[고려/정치행정] 5도양계 5도양계  ★ 5도양계(五道兩界): 고려의 지방제도. 성종 때부터 행정구역 정비를 시작하여 현종 대에 지방관제의 기본 구조를 완성하였다. 전국을 5도와 양계, 경기(개경 주변)으로 크게 나누고, 그 안에 군․현․진 등을 설치하였다. 5도는 상설 행정 기관이 없는 일반 행정 단위이고, 양계는 북방의 국경 지대에 설치한 군사지역이었다. 2016. 1. 30.
후삼국의 통일과 고려의 성립 후삼국의 통일과 고려의 성립 2016. 1. 27.
발해와 신라의 무역 발해와 신라의 무역 2015. 11. 14.
장보고의 해상 무역로 장보고의 해상 무역로 2015. 11. 12.
신라 하대의 혼란 신라 하대의 혼란 2015. 11. 10.
신라의 선종 5교 9산 신라의 선종 5교 9산 2015. 11. 7.
발해 무역로 발해 무역로 2015. 11. 5.
9주 5소경 9주 5소경 2015. 10. 31.
발해의 3성 6부제 발해의 3성 6부제 발해의 3성 6부제 당의 3성 6부제 2015. 10. 28.
발해 지도 발해 지도 2015. 10. 27.
[삼국시대]백제와 고구려의 부흥운동 백제와 고구려의 부흥운동 ★ 백제 부흥운동(百濟復興運動) : 백제가 660년에 패망한 후 유민들이 전개한 투쟁 운동. 신라가 백제를 정복하자 당나라는 웅진도독부를 설치했으며, 의자왕을 당나라로 끌고 갔다.백제의 장군 흑치상지가 임존성을 거점으로 유민을 규합하였고, 왕족 복신(福信)과 승려 도침(道琛)은 주류성(周留城)에서 왜로부터 왕자 부여풍(豊)을 맞아 왕으로 삼아 부흥운동을 전개하였으나 내분으로 와해되었다. 백제 왕족인 부여융은 당나라 항복하여 당의 장군이 되어 백제 부흥군을 토벌하고 주류성을 함락하였으며(663), 이듬해(664) 임존성이 함락되면서 백제 부흥운동은 실패로 끝났다. ★ 고구려 부흥운동(高句麗復興運動) : 고구려 멸망(668) 후 유민들이 전개한 투쟁 운동. 당은 고구려 유민들을 당으.. 2015. 10. 25.
발해 상경성 발해 상경성 2015. 10. 22.
고구려의 전성기 고구려의 전성기 2015. 10. 20.
[고조선]고조선의 멸망 고조선의 멸망 ★ 고조선(古朝鮮, BC 2333 ~ BC 108) : 한민족이 세운 최초의 국가. 정식 국호는 조선이나, 근세 조선과 구분하기 위해 고조선이라 부른다. 단군왕검이 세웠다고 전해지며, 일반적으로 청동기 문명을 기반으로 영토는 만주지방과 한반도 북부에 걸쳐 있었다고 파악한다. 대륙의 문화를 받아들이고 경쟁하기도 하면서 발전하였으나, 한(漢)의 침임으로 멸망하였다. 한국 문헌에서는 에 처음으로 등장하며, 중국에서 등에 단편적인 기록이 남아있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5. 9.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