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시1237

[중국사/진한삼국]중국의 통치 제도 중국의 통치 제도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9. 22.
[지리/지형]단층 단층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9. 21.
[중국사/춘추전국]공자묘 공자묘 중국 산둥성 취푸 시 소재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9. 21.
[조선/복식장신구]빗접 빗접 빗과 화장용품 등을 넣어두는 여성용 가구 ※ 저작권에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9. 21.
[조선/복식장신구]오조룡보(五爪龍補) 오조룡보 (五爪龍補) 조선 전기의 보(왼쪽)와 후기의 보(오른쪽) ★ 오조룡보(五爪龍補) : 왕과 왕비의 옷 가슴, 등, 양어깨에 달았던 보(補). 왕세자와 세자빈은 사조룡보(四爪龍補), 왕세손은 삼조룡보(三爪龍補)를 달았다. ※ 저작권에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9. 21.
[조선/복식장신구]화장품 화장품 ※ 저작권에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9. 21.
[중국사/춘추전국]취푸성(曲阜城)의 해자 취푸성(曲阜城)의 해자 중국 산둥성 취푸시 소재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9. 21.
[조선/복식장신구]거울 거울 코리아나 화장품 박물관 소장 ※ 저작권에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9. 21.
[조선/복식장신구]여성의 머리 꾸밈 여성의 머리 꾸밈 비녀 왕비의 봉황잠(비녀) 빗치개, 뒤꽂이, 떨잠 ※ 저작권에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9. 21.
[조선/복식장신구]호박 가락지와 은반지 호박 가락지와 은반지 ※ 저작권에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9. 20.
[중국사/하상주]서주 시대 화폐 서주 시대 화폐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9. 20.
[조선/복식장신구]단추 단추 ※ 저작권에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9. 20.
[조선/복식장신구]연밥 장식 연밥 장식 다산을 바라며 서민 여성들이 달고 다닌 주머니 장식 ※ 저작권에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9. 20.
[중국사/춘추전국]포전(布錢) 포전(布錢) ★ 포전(布錢) : 주~춘추전국시대에 제작된 화폐로 청동으로 만들어졌다. 농기구의 모양을 본떠 만들었으며 글자나 무늬를 새겼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9. 19.
[조선/복식장신구]장도 장도 장도는 남녀 모두 장신구로 이용하였으며, 조선시대에는 노리개로 유행하였다. ※ 저작권에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9. 19.
[조선/민속]떡살 떡살 ★ 떡살 : 떡을 눌러 무늬를 찍어 내는 판. 나무나 사기 등 다양한 재료로 만들며 장수나 복을 기원하는 문양이나 문자를 새겨넣기도 한다. ※ 저작권에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9. 19.
[조선/복식장신구]열쇄패 노리개 열쇄패 노리개 여성들의 장신구의 하나로 부와 복을 기원하였다. ※ 저작권에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9. 19.
[조선/세시풍속]수리취떡 수리취떡 ★ 수리취떡 : 단오에 먹는 음식. 수레바퀴 모양 떡살무늬를 찍은 푸른색의 쑥절편. ※ 저작권에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9. 19.
[중국사/춘추전국]전국시대의 화폐 전국시대의 화폐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9. 19.
[조선/민속]구첩 반상 구첩 반상 ※ 저작권에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9.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