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시1237

[지리/지형형성]순상지와 탁상지 순상지와 탁상지 ★ 순상지(shield, 楯狀地) : 지각에서 지질학적으로 가장 오래되고 안정되어 있는 부분. 조산운동이 많이 일어나지 않아서 주로 선캄브리아기의 화성암이나 변성암으로 구성되어 있다. ★ 탁상지(table land, 卓上地) : 지표의 연한 지층이 깍여나가고 단단한 암석층이 수평.. 2019. 10. 17.
[조선/정치]과거 시험(재현) 과거 시험(재현) ※ 저작권에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10. 16.
[지리/지형형성]판 구조론 판 구조론 ★ 판 구조론(板構造論, plate tectonics) : 대륙 이동을 설명하는 지질학 이론. 지구 표면은 약 12개의 판으로 이루어져 있고, 이런 판들이 지구 내부의 맨틀 대류 때문에 서로 다른 방향과 속도로 움직이며 상호 작용을 하므로 판 경계 부분에서 지진이나 화산 활동, 조산운동 등의 .. 2019. 10. 16.
[조선/정치] 사림(士林) 사림(士林)  ★ 사림(士林) : 정계에 진출하지 않고 유학을 공부하던 문인과 학자로서 고려 말 온건파 사대부를 계승했다. 15세기 이후 조선 중기 중앙 정계를 주도한 정치집단이다. 훈구파에 대립하여 사림파(士林派)라고 불리기도 하며, 유림(儒林)으로도 불린다. 2019. 10. 16.
[조선/정치]의과 시험(잡과) 의과 시험(잡과) MBC 드라마 마의 중 한 장면 ※ 저작권에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10. 16.
[지리/지형형성]해저확장설 해저확장설 ★ 해저확장설 : 1960년 초 다이츠와 헤츠가 멘틀 대류설을 바탕으로 해양 지각이 확장되고 있는 주장. 해저확장설은 대륙 이동설과 결합하여 판 구조론으로 발전하였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10. 15.
[지리/지형형성]화산 지형 화산 지형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10. 14.
[지리/지형형성]칼데라의 형성 칼데라의 형성 ★ 칼데라(caldera) : 화산의 화구 주변의 붕괴와 함몰에 의해 생긴 대규모적인 원형 또는 말굽형의 우묵한 지형.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10. 13.
[지리/지형형성]화산 활동 화산 활동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10. 12.
[중국사/진한삼국]사마 천(司馬遷) 사마 천(司馬遷) ★ 사마 천(司馬遷, BC 145 ~ BC 86) : 중국 전한(前漢) 시대의 역사가. <사기(史記)>의 저자로 동양 최고의 역사가의 한 명으로 꼽힌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10. 10.
[중국사/진한삼국]사기(史記) 사기(史記) ★ 사기(史記) : 중국 전한 왕조 무제 시대에 사마천이 저술한 중국의 역사서이며, 중국 이십사사의 하나이자 정사의 으뜸으로 꼽힌다. 기전체 형식의 역사서로서 동아시아에서 정사를 기술하는 대표적인 방식으로 자리잡았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10. 9.
[중국사/진한삼국]불사약을 찧는 토끼와 두꺼비 무늬 벽돌(한) 불사약을 찧는 토끼와 두꺼비 무늬 벽돌(한)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10. 8.
[북방민족]흉노의 성장 흉노의 성장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10. 7.
[지리/해안지형]사빈(하와이) 사빈(하와이) ★ 사빈(沙濱) : 하천에서 운반되거나 파도에 의한 해안 침식으로 인해 생긴 모래가 퇴적되어 만들어지는 모래해안.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10. 7.
[조선/학문]훈민정음(訓民正音) 훈민정음 (訓民正音) ★ 훈민정음(訓民正音) : 조선조 제 4대 세종대왕 집현전 학자들과 창시한 한국어 표기 문자 체계(한글), 또는 그것을 해설한 책의 제목. '백성(民)을 가르치는(訓) 바른(正) 소리(音)'라는 뜻으로, 독창적이고 쓰기 편한 28자의 소리글자이다. 세종 25년(1443)에 완성하고 .. 2019. 9. 25.
[조선/정치]호패(戶牌, 號牌) 호패 (戶牌, 號牌) ★ 호패(戶牌, 號牌) : 전통 봉건시대에 신분증 구실을 하는 작은 패(牌)로 16세 이상의 남자가 차고 다녔다. 고려 말에 시작되었으나 전국적으로 시행된 것은 조선 시대부터였다. 조선은 태종대부터 호패법을 실시하였으며(태종 13, 1413년), 호적법(戶籍法)이 보조 역할로 .. 2019. 9. 24.
[지리/지형]습곡 습곡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9. 23.
[조선전기/인물치] 정도전(鄭道傳) 정도전(鄭道傳)   ★ 정도전(鄭道傳, 1342년~1398)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이자 유학자, 혁명가. 고려의 신진사대부 중 한사람으로 역성혁명을 지지하였다. 조선의 개국 공신으로 조선의 이념적 바탕과 체제 정비에 큰 공을 세웠으마 1차 왕자의 난 때 이방원의 군사에게 피살되었다. 2019. 9. 23.
[중국사/진한삼국]후한(後漢)의 영역 후한(後漢)의 영역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9. 22.
[지리/지형]습곡 습곡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9.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