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자료40

7월 9일 오늘의 역사 7월 9일 오늘의 역사 2012년 ‘1인 창무극’ 창시자 공옥진 별세 2011년 남수단 독립 2004년 서울 광진구 광장동 아차산 고구려 보루터에서 서기 500년 전후로 추정되는 건물터와 기와, 토기 조각 발견 2004년 월북한 미군 탈영병 찰스 젠킨스, 인도서 일본인 아내 소가와 상봉 2003년 제11차 남북장관급 회담 2002년 정부 `도로교통법 위반자 벌점 등에 대한 특별감면조치` 의결, 481만명 교통벌점 말소 2002년 아프리카 50개국이 참여한 아프리카연합(AU) 공식 출범 2001년 박세리, 미국 LPGA투어 제이미 파크로거 클래식에서 최종합계 15언더파 269타로 우승 1996년 한국-파라과이, 범죄인인도협정 체결 1995년 순복음교회 안승운씨 안길서 납북 1995년 삼풍백화점 붕괴 10일.. 2018. 7. 26.
7월 7일 오늘의 역사 7월 7일 오늘의 역사 2009년 주요사이트, DDOS 사이버 테러 2005년 영국에서 G8 정상회의가 개최되던 중 런던에서 폭탄 테러 발생 2003년 국내 사스(SARS) 비상 방역 114일 만에 종료 2003년 이세돌(20) 후지쓰배 세계바둑 2연패, 최연소-최단기간 9단 달성 2000년 로비스트 린다 김(한국명 김귀옥) 법정구속 1998년 일본 세계최초로 무인위성 랑데부 도킹 성공 1998년 나이지리아의 재야지도자 모슈드 아비올라 옥중 사망 1988년 7.7 선언 : 노태우 대통령, 민족자존과 번영을 위한 대통령 특별선언 발표 1998년 박세리, 98US여자오픈골프대회 우승 1996년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국내 첫 폐이식 수술 1994년 천연기념물 324호 `붉은색 큰 소쩍새` 발견 1991년 전국 .. 2018. 7. 26.
7월 6일 오늘의 역사 7월 6일 오늘의 역사 2013년 판문점에서 개성공단 정상화를 위한 남북실무회담 개최 2009년 '베트남전 기획자' 맥나마라 전 미국 국방장관 별세 2006년 北미사일 7기 발사 안보리대응 2005년 싱가포르에서 열린 IOC 총회에서 2012년 하계올림픽 개최지로 런던 확정 2004년 최후의 마에스트로(거장) 카를로스 클라이버 타계 2004년 런던 하이드파크에 다이애나 추모 분수 제막 2004년 주간조선, 국내 첫 신문사 발행 시사잡지 ‘신조선’ 창간호 발견해 일반에 공개 2002년 은행 첫 토요휴무 실시 2000년 국회, 사법사상 최초로 대법관 후보 6인에 대한 인사청문회 개최 1998년 국산 중어뢰 `백상어` 개발 1998년 미국 영화배우 `카우보이의 왕` 로이 로저스 사망 1995년 넬슨 만델라 남.. 2018. 7. 26.
7월 5일 오늘의 역사 7월 5일 오늘의 역사 2009년 신장 위구르 자치구의 수도 우루무치 유혈사태로 140명 사망 2004년 신행정수도 충남 연기-공주로 확정 2003년 프랑스 사교계의 여왕 아사벨 도를레앙 에 브라강스 별세 2001년 박찬호 선수, 한국인으로는 처음으로 미국 메이저리그 올스타에 선정 2001년 한국마라톤의 대부 정봉수 감독 별세 2001년 국제식품규격위원회, 김치를 국제규격식품으로 승인 2001년 9인승 대형택시 첫 운행 2001년 대우조선 소속 12인승 헬기 추락, 동국제강 회장 등 8명 사망-실종 2001년 민주당 추미애 의원, 취중 욕설 파문 1998년 일본, 화성 탐사선을 뛰워 미국과 러시아에 이어 세 번째로 우주 탐사 국가가 됨 1997년 마르티나 힝기스 윔블던 테니스 최연소 등극 1996년 복제.. 2018. 7. 25.
7월 3일 오늘의 역사 7월 3일 오늘의 역사 2012년 이탈리아 유명 차 디자이너 세르지오 피닌파리나 별세 2012년 '100세 화가' 윤중식 화백 별세 2011년 백병원 창립자인 고 백인제 박사 부인 최경진 명예이사 별세 2011년 80년대 동아일보 이끈 김상기 전 회장 별세 2008년 조앤 롤링 동화 '음유시인 비들의 이야기' 공개 2007년 김승연 회장 징역1년 6월 실형선고 2005년 아르헨티나가 2005 세계청소년축구대회에서 나이지리아를 꺾고 우승 2002년 재정경제부, 내국인도 면세상품 구입 가능한 '제주도 여행객에 대한 면세점 특례규정안' 마련 2001년 한국연예제작자협회, MBC 출연 거부 결의 2001년 러시아 여객기 시베리아 남부 이르쿠츠크에 추락 145명 사망 2002년 부산지법, '행복추구권' 인정, 성.. 2018. 7. 25.
7월 2일 오늘의 역사 7월 2일 오늘의 역사 2012년 '민주화 운동 단골 변호사' 장기욱 전 의원 별세 2010년 크리스티안 불프, 독일의 대통령으로 취임 2009년 중국 경극 배우 스페이푸 사망 2005년 아프리카 빈곤 문제 해결을 촉구하는 `라이브 8` 공연이 세계 10개 도시에서 개최 2003년 원로 여행가 김찬삼(77) 별세 2001년 소설가 이문열, 시론 `신문없는 정부 원하나` 조선일보에 기고 2000년 전국 144개 시-군지역번호를 16개 광역시-도 단위로 통합하여 광역화 2000년 비센테 폭스 멕시코 대통령에 당선, 71년 만에 정권교체 1999년 소설 의 작가 마리아 푸조 사망 1999년 서울 지하철 8호선 개통 1997년 미국 배우 제임스 스튜어트 심장마비 사망 1997년 타이 `바트`화 폭락 1994년 .. 2018. 7. 25.
7월 1일 오늘의 역사 7월 1일 오늘의 역사 2018년 김복득 위안부 피해 할머니 별세(향년 101세) 2009년 러시아 국민가수 류드밀라 지키나 사망 2008년 미국잡지 출판계의 혁신가 클레이 펠커 별세 2006년 하시모토 류타로 전 일본총리 사망 2004년 사담 후세인 전 이라크 대통령 첫 재판 개최 2004년 미국의 배우 말론 브랜도 타계 2004년 카시니-호이겐스호, 발사 7년 만에 토성 궤도 진입 2003년 청계천 복원공사 기공식-청계 고가 철거 시작 2002년 김병현 선수, 미국 진출 4년 만에 메이저리그 내셔널리그 올스타 첫 선발 2001년 `반공검사`로 유명한 오제도씨 타계 2000년 직장의료보험-지역의료보험 통합 2000년 의약분업 실시 1999년 제1회 코리아 인터넷 서바이벌 게임 1997년 미국 영화배우 .. 2018. 7. 25.
6월 26일 오늘의 역사 6월 26일 오늘의 역사 2011년 재일동포 출신 세계적 건축가 이타미 준 별세 2010년 채문식 전 국회의장 별세 2005년 US여자오픈 골프대회에서 김주연 선수 우승 2003년 미국 항공우주국(NASA) 화성의 북극지역 사진공개, 화성의 물(凍土) 발견 2001년 탈북 장길수군 가족 7명, 중국 베이징 유엔난민고등판무관실(UNCHR) 사무실에 들어가 망명 신청 2000년 미국 셀레라 제노믹스사와 인간 게놈프로젝트, 인간 게놈지도 공동 발표 2000년 국회, 이한동 총리서리를 상대로 사상 첫 인사청문회 1996년 영국서 1세기 경 자작나무에 기록된 불교 최고문서 발견 1987년 ‘6ㆍ26 대행진’, 비폭력ㆍ평화시위 1987년 네덜란드 작곡가 바딩스 사망 1987년 민주헌법국민운동본부 주최 국민평화대행진.. 2018. 7. 24.
6월 24일 오늘의 역사 6월 24일 오늘의 역사 2013년 국정원, NLL관련 남북정상회담 대화록 공개 2009년 원로 성악가 오현명씨 별세 2009년 나경우씨, 한국인 첫 'PGA 마스터' 2003년 배리 본즈 500홈런-500도루 달성 2002년 북경 한국총영사관과 대사관 등 진입한 탈북자 26명 서울 도착 2001년 해군, 서해 북방한계선(NLL)을 침범한 북한 어선에 경고사격 1999년 네로 `황금궁전` 18년 만에 재공개 1989년 엔카의 여왕 미소라 히바리 사망 1989년 중국 당총서기 강택민 선출 1985년 조각가 김세중 사망 1984년 프랑스 파리서 사학자유 요구 데모 1983년 `외교관 등 국제적 보호인물에 대한 범죄 및 처벌에 관한 협약` 국내 발효 1983년 서방19개국 정치지도자, 런던서 사회주의인터내셔날.. 2018. 7. 24.
[선사/구석기시대]불을 피우는 방법(구석기시대) 불을 피우는 방법(구석기시대)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8. 3. 25.
[선사/신석기시대]한반도의 신석기 유적 한반도의 신석기 유적 ★ 신석기 시대(新石器時代, The Neolithic Age) : 석기 시대 후기. 돌을 갈아 만든 간석기(磨製石器)와 질그릇(土器토기)을 사용하여 식량을 생산하고 저장하는 단계에 이른 시대. 구석기시대의 채집 경제로에서 신석기 시대의 생산 경제로의 전환은 인류 문화사상 큰 전기를 가져왔으며, 신석기 혁명이라고도 한다. 빙하기가 끝나고 현재와 같은 기후로 변화한 것이 큰 영향을 주었다. 지금까지 알려진 가장 이른 신석기문화는 팔레스티나의 예리코(Jericho)와 이라크의 자르모(Jarmo)로 기원전 9600~9500년 전에 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 한국의 신석기 시대 : 한반도와 만주 일대에서 고대 한국인이 활동한 기원전 8000년~ 기원전 1500년까지의 시기. 간석기와 빗살무.. 2017. 8. 29.
[일제강점기/농민운동] 1920~30년대 소작쟁의 1920~30년대 소작쟁의 2017. 6. 7.
[일제강점기/경제수탈] 토지조사 사업 이후 농민의 변화 토지 조사 사업 이후 농민의 변화 ★ 조선 토지 조사 사업(朝鮮土地調査事業) : 1910년부터 1918년까지 일본이 한국의 식민지적 토지 소유 관계를 확립하기 위하여 시행한 대규모 조사 사업. 근대적 토지소유권의 확립을 구실로 내세웠으나, 실질적으로는 한국인의 토지 수탈이 목적이었다. 토지 조사 사업 이후, 조선 총독부와 일본인 소유 토지가 대폭 늘어났느며, 대지주 계층이 등장하고 영세 소작농이 대폭 늘었다. 특히 농민들은 세습적 경작권을 빼앗겨 더욱 빈곤해졌다. 2017. 5. 29.
[일제강점기/1910년대]일제의 무단통치 일제의 무단통치 2017. 5. 27.
[조선전기/국제관계]조선전기의 외교 조선전기의 외교 2016. 12. 24.
연호(年號) 연호(年號) 동아시아의 군주 국가에서 사용되었던 기년법(紀年法, 특정 연도를 기원으로 하여 햇수를 세는 것)으로 원호(元號)나 다년호(大年號)라고도 한다. 일반적으로 군주의 재위년을 연호로 사용하나 별도의 연호를 사용하기도 하였다. 명나라(明) 때부터 한 군주가 하나의 연호를 쓰는 일세일원제가 정착되었다. 연호는 황제국의 상징이었다. 동아시아의 여러나라는 연호를 사용하였는데, 한국, 중국, 일본, 몽골, 베트남 연호를 제정하였다. 현재까지 연호를 사용하는 나라는 입헌군주제도를 채택한 일본이 유일하다. 광개토왕의 정복전쟁(민족기록화) 한국에서는 삼국시대부터 독자적인 연호를 사용하였다. 고구려의 광개토왕이 최초로 연호를 썼으며, 신라도 독자적인 연호를 사용한 기록이 남아있다. 발해는 건국할 때부터 줄곧 독자.. 2014. 2. 19.
단기(檀紀) 단기(檀紀) 단군(檀君)이 고조선(古朝鮮)을 세운 것을 기준으로 하는 한민족의 기년(紀年)이다. 기원전 2333년은 단기 원년(1년)으로 하며 서력기원에 2333년을 더하여 산출한다. 2014년은 단기 4347년이다. 단기를 최초로 사용한 것은 고려 공민왕 때 백문보의 제안으로 시작되었으며 정식으로 국가 기년을 사용된 것은 대한민국이 최초이다. 대한민국 정부수립 이후 사용되다가 5.16 군사정변 이후 폐지되어 1962년부터 공식적으로 사용이 중단되었다. 2014. 1. 28.
BC, AD, BP의 차이 BC, AD, BP의 차이 BC (Before Christ) 예수 탄생을 기준으로 그 이전 시기를 의미한다. “기원전 00년”으로 읽으며 숫자가 작을수록 현대에 가깝다. BC 3,000년은 예수가 탄생하기 3,000년 전이라는 의미이다. AD (Anno Domini) 예수 탄생을 기준으로 삼는 서력기원(西曆紀元)의 기원 후를 의미한다.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연대표기법으로 “서기 00년”으로 읽으며 보통 서기(西紀)는 생략한다. BP (Before Present) 고고학에서 사용하는 연대로 현재 이전을 의미한다. 2014. 1. 28.
10.4 남북 공동선언문 전문 남북관계 발전과 평화번영을 위한 선언 (10.4 남북 공동선언문) 대한민국 노무현 대통령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김정일 국방위원장 사이의 합의에 따라 노무현 대통령이 2007년 10월 2일부터 4일까지 평양을 방문했다. 방문기간중 역사적인 상봉과 회담들이 있었다. 상봉과 회담에서는 6.. 2014. 1. 21.
6.15 공동 선언 전문 6.15 공동 선언 조국의 평화적 통일을 염원하는 온 겨레의 숭고한 뜻에 따라 대한민국 김대중 대통령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김정일 국방위원장은 2000년 6월 13일부터 6월 15일까지 평양에서 역사적인 상봉을 하였으며 정상회담을 가졌다. 남북정상들은 분단 역사상 처음으로 열린 이번.. 2014. 1.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