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화성13 [조선후기/건축] 화홍문(수원화성) 화홍문(수원화성) ★ 화홍문(수원화성) : 대천(大川)이 성으로 들어오는 입구에 북수문을 내고 그 위에 세운 누각. 북수문은 7칸짜리 홍예문으로 만들었다. 2024. 12. 9. [조선후기/건축] 포루(수원화성) 포루(수원화성) ★ 포루(수원화성) : 골출시킨 성벽의 내부에서 적을 공격하도록 한 군사 시설물. 각 층에 군사가 머물고 3층에서는 불랑기포를 쏠 수 있다. 2024. 12. 8. [조선후기/건축] 서남암문(수원화성) 서남암문(수원화성) ★ 서남암문(수원화성) : 적들을 알지 못하나 평상시에는 백성이 자유롭게 드나들 수 있다. ‘용도’라는 화양루의 매복로와 연결된다. 2024. 12. 7. 동북공심돈(수원화성) 동북공심돈(수원화성) ★ 동북공심돈(수원화성) : 적을 살피는 척후시설로 화성에만 있는 시설물. 3층을 잇는 나선형 구조로 ‘소라각’이라는 별명이 붙었다. 2024. 12. 6. [조선후기/건축] 봉돈(수원화성) 봉돈(수원화성) ★ 봉돈(수원화성) : 봉화 연기를 피우는 돈대. 보통 때는 남쪽의 한 굴뚝에서만, 위급할 때에는 다섯 굴뚝 모두에서 연기를 피웠다. 2024. 12. 5. [조선후기/건축] 팔달문(八達門) 팔달문(八達門) ★ 팔달문(八達門) : 화성의 남문으로 사방팔방으로 길이 열린다는 뜻이다. 팔달문 주변은 삼남 지방으로 통하는 길목이어서 화성 축성 전에도 사람이 많이 오갔다. 규모와 형식은 장안문과 같다. 문 밖에 항아리 모양의 옹성(甕城)을 만들고, 방어를 위해 좌우에 적대를 세웠다. 팔달문은 도성의 문루처럼 우진각 형태의 지붕과 잡상 장식을 갖추었으며, 규모와 형식에서 조선 후기 문루 건축을 대표한다. 2013년 해체・수리하였다. 보물 제 402호. 2024. 11. 21. [조선후기/문화] 낙성연도(落成宴圖) 낙성연도(落成宴圖) ★ 낙성연도(落成宴圖) : 수원 화성 낙성 잔치(정조 20년, 1796)의 기록화. 화성성역의궤>에 수록되어 있다. 2020. 1. 9. [조선후기/문화] 화성성역의궤 화성성역의궤 ★ 화성성역의궤(華城城役儀軌) : 조선 후기 화성 성곽 축조에 관한 경위와 제도, 의식 등을 수록한 책이다. 조선 순조 1년(1801년) 9월에 발간되었다. 2020. 1. 9. [조선후기/건축] 수원 화성의 구조 수원 화성의 구조 ★ 수원 화성(水原 華城) :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와 장안구에 걸쳐 있는 5.52킬로미터의 성곽. 조선 후기 정조 때 착공하여 준공되었다(1794~1796). 화강암을 사용하는 기존 방식 대신 벽돌로 쌓았으며 정약용이 고안한 거중기를 사용하였다. 한국전쟁 당시 일부가 파괴되었으나 를 바탕으로 복원하였다. 대한민국의 사적 제3호.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2019. 12. 18. [조선후기/건축] 화서문과 서북공심돈 화서문과 서북공심돈 서북공심돈 ★ 화서문(華西門) : 화성의 서문. 문밖으로 넓은 평지가 펼쳐져 있어 주변을 감시하기 위해 높다란 서북공심돈을 함께 세웠다. 홍예 위에 1층 문루와 팔작지붕을 세웠으며, 흥인지문(동대문)처럼 한쪽모서리가 열린 옹성을 둘러세웠다. 화서문은 창건 당시 모습을 잘 유지하고 있어 18세기 건축 기술을 보여주며. 창룡문처럼 옹성 안 석축에는 공사 감독관과 우두머리 석공의 이름이 새겨져 있다. ★ 서북공심돈(西北空心墩) ; 화성 서북쪽에 세운 망루로 주변을 감시하고 공격하는 시설이다. 공심돈은 속이 빈 돈대라는 뜻으로, 우리나라 성곽 중 화성에서만 볼 수 있다. 화서문 북쪽 모서리에 있다. 치성 위에 벽돌로 3층의 망루를 세우고 꼭대기에는 단층의 누각을 올렸으며, 외벽에는 .. 2019. 11. 3. [조선후기/건축] 장안문(長安門) 장안문(長安門) ★ 장안문(長安門) : 수원 화성의 북문. 보통 성(城)의 남문을 정문으로 삼으나, 화성은 임금을 가장 먼저 맞이하는 북문인 장안문이 정문이다. 화강암으로 쌓은 석축에 홍예문을 냈고 그 위에 정면 5칸 측면 2칸의 다포 양식의 2층 문루가 있다. 지붕은 우진각 지붕이다. 문 밖에 항아리 모양의 옹성을 만들고 방어를 위해 좌우에 적대를 세웠다. 한국 전쟁 때 파괴되어 1975년 복원하였다. 2019. 11. 3. [조선후기/건축] 창룡문(蒼龍門) 창룡문(蒼龍門) ★ 창룡문(蒼龍門) : 화성의 동문. 창(蒼)은 푸른색을 뜻하므로 ‘동쪽을 지키는 신령한 청룡’을 상징한다. 창룡문은 바깥쪽에서 보면 안쪽으로 휘어 들어가는 곳에 자리 잡고 있어, 돌출된 좌우 성벽이 자연스럽게 성문을 보호하는 치성 역할을 한다. 문 안쪽의 넓은 공터는 군사들의 훈련장으로 쓰였다. 홍예 위에 1층 문루를 세우고 팔작지붕이다. 옹성은 서울의 흥인지문(동대문)처럼 한쪽 모서리를 열어둔 형태다. 옹성 안 석축에는 당시의 공사 감독관과 석공 우두머리 이름을 새긴 실명판이 남아 있다. 한국 전쟁 때 문루가 파괴되어 1976년에 복원했다. 2019. 11. 3. [조선/과학기술] 거중기 거중기 화성성역의궤에 실린 거중기 설계도 거중기 복원 모형 ★ 거중기(擧重器) : 수원 화성을 쌓을 때 사용된 복합 도르래. 정약용이 고안하였으며 화성성역의궤에 설계도가 실려 있다. 2019. 11. 3.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