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106

[한국지리/해안지형] 해안 사구의 형성(태안 신두리 사구) 해안 사구의 형성(태안 신두리 사구)  ★ 해안사구(海岸砂丘) : 바닷가에서 사빈의 모래가 해풍에 불려 내륙 쪽으로 이동하여 모래 언덕을 쌓은 것. 2019. 11. 1.
[한국지리/해안지형] 사취(砂嘴) 사취(砂嘴)   ★ 사취(砂嘴) : 모래부리. 파도나 조류, 바람 등에 의해 모래나 자갈이 해안에서 바다로 부리처럼 길게 뻗어나간 둑 모양의 모래톱. 2019. 10. 30.
[한국지리/해안지형] 육계도(제주도 성산일출봉) 육계도 (제주도 성산일출봉)  ★ 육계도(陸繫島) : 육계사주에 의해 육지와 연결된 섬.★ 성산 일출봉(城山日出峰) : 서귀포시 성산읍에 있는 산으로 원래는 독립된 화산체로서 사주가 형성되어 본섬과 연결된 육계도이다. 2019. 10. 29.
[지형/하천지형] 감입곡류하천(동강) 감입곡류하천(동강)   ★ 감입곡류하천(嵌入曲流河川, inside meande) : 지반의 융기나 침식기준면의 하강으로 인하여 자유곡류하천이 원래의 형태를 유지하면서 깊게 파인 하천. ★ 동강(東江) : 한강 본류의 일부로 영월군 영월읍 동편에서 유입되기에 붙여진 명칭이며 조양강(朝陽江)과 오대천이 만나는 지점에서 영월 서강(西江)에 합쳐지는 지점(영월 합수거리)까지의 강. 2019. 10. 28.
[기후/바람] 높새 바람 높새 바람  ★ 높새바람 : 한국에서 늦봄부터 초여름에 걸쳐 동해안에서 태백산맥을 넘어 서쪽 사면으로 부는 북동 계열의 바람. 높새바람은 매우 건조하고 온도가 높아, 농작물에 피해를 준다. 높새바람은 한반도 북동쪽의 오호츠크해에서 발달한 오호츠크해 기단이 한반도까지 세력을 미칠 때 나타나며, 일종의 푄 현상이다. 2019. 5. 18.
[기후/식생] 단풍 시기 단풍 시기 2019. 5. 18.
합리적 선택 합리적 선택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5. 12.
[기후/기온] 한반도의 1월 평균 기온 한반도의 1월 평균 기온 2019. 5. 10.
[기후/식생] 개나리, 진달래의 개화 시기(2012) 개나리, 진달래의 개화 시기(2012)   개나리의 개화 시기(2012)  진달래의 개화 시기(2012) 2019. 5. 10.
[기후/기온] 한반도의 8월 평균 기온(1971~2000년) 한반도의 8월 평균 기온(1971~2000년) 2019. 5. 10.
[기후/강수] 한반도의 강수량 한반도의 강수량    ★ 강수(降水) : 비, 눈, 우박, 안개 따위로 지상에 내린 물★ 강수량(降水量) : 일정한 지역에 비, 눈, 우박 등의 형태로 내린 물의 총량 2019. 5. 9.
[위치]한국의 지정학적 장점 한국의 지정학적 장점 ★지정학(地政學, geopolitics) : 지리적인 위치 관계가 정치, 국제 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 학문.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4. 27.
[지형] 한국의 강과 평야 한국의 강과 평야 2019. 4. 26.
[지형] 한국의 산맥 한국의 산맥 2019. 4. 26.
[지형] 한국의 위성사진 한국의 위성사진 2019. 4. 26.
[지리]한국의 위치 한국의 위치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4. 20.
[지형]한국의 지형 한국의 지형 2019. 4. 20.
[지리]지리정보체계(GIS) 구축 지리정보체계(GIS) 구축  ★ 지리 정보 시스템(地理情報system,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 지리공간적으로 참조가능한 모든 형태의 정보를 효과적으로 수집, 저장, 갱신, 조정, 분석, 표현할 수 있도록 설계된 컴퓨터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및 지리적 자료, 인적자원의 통합체. 2019. 4. 19.
[지리/지도] 그림지도 그림지도 ★ 그림지도 : 수리적인 계산이나 수치에 토대하지 아니하고 그림처럼 나타낸 지도. 2019. 4. 9.
[지리/지도] 지번도(地番圖) 지번도(地番圖)  ★ 지번도(地番圖) : 어떤 지역 안에 있는 토지를 일정한 구역으로 나누고 번호를 표시하여 그린 지도. 2019. 4.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