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106 [한국지리/기후/식생] 봄나물 봄나물 ★ 봄나물 : 나물은 한국에서 발달한 채소의 조리 양식. 요리를 위해 채집·수확한 재료나 식물 자체를 뜻하기도 한다. 계절마다 다양한 나물이 있으며, 특히 봄에 많이 자라고 즐겨 먹는다. 2019. 12. 30. [한국지리/빙하지형] 백두산의 빙식곡(U자곡) 백두산의 빙식곡(U자곡) ★ U자곡(빙식곡) : 곡빙하의 침식으로 형성된 U자 모양의 골짜기 2019. 11. 17. [기후/계절] 벚꽃축제(봄의 꽃놀이) 벚꽃축제(봄의 꽃놀이) ★ 꽃놀이 : 한국의 전통적인 세시풍속 중 하나로 꽃을 감상하며 즐기는 놀이. 주로 봄에 하였다. 과거에는 꽃을 감상하며 별식을 먹고 음주가무를 즐기며, 시를 짓고 그림을 그리기도 하였다. 현대에는 지역마다 꽃이 필 때 축제를 많이 연다. 2019. 11. 17. [한국지리/산악지형]다랑이 논(남해 가천 마을) 다랑이 논(남해 가천 마을) ★ 다랑이 논 : 산비탈을 깍아 만든 계단식 논, 주로 산간 지역에 발달하였다. 2019. 11. 15. [한국지리/화산지형] 백록담(白鹿潭) 백록담(白鹿潭) ★ 백록담(白鹿潭) : 대한민국 제주특별자치도의 한라산 정상에 있는 화구호(火口湖). 한라산은 경사가 완만한 순상화산으로 정상에 화구호인 백록담(白鹿潭)이 있다. ★ 순상 화산(楯狀火山, shield volcano, aspite) : 완만한 경사면을 가진 밑바닥의 면적이 넓은 화산이다. 점성이 낮은 현무암질 용암의 분출·유동·퇴적에 의해서 형성된다. 2019. 11. 13. [한국지리/화산지형] 천지(天池) 천지(天池) ★ 천지(天池) : 백두산 정상에 있는 화산호. 송화강(松花江)의 발원지. 백두산은 성층화산으로 상단부가 함몰되어 거대한 칼데라를 이루었으며, 물이 차서 호수가 되었다. 2019. 11. 13. [한국지리/화산지형] 나리분지(羅里盆地) 나리분지(羅里盆地) ★ 나리분지(羅里盆地) : 울릉도에 중북부에 있는 분지로, 성인봉의 북쪽에 있다. 이곳은 성인봉의 화산 폭발로 만들어졌으며, 칼데라이다. 500만 년 전 강력한 분화로 성인봉을 중심으로 울릉도가 형성되었고, 그 후 봉우리 아랫 부분이 함몰되어 나리분지가 생겨났다. 현재 취락과 농경지로 이용된다. 2019. 11. 12. [한국지리/화산지형] 성인봉(聖人峰) 성인봉(聖人峰) ★ 성인봉(聖人峰) : 대한민국 경상북도 울릉군에 있는 높이 984m의 성층화산. ★ 성층 화산(成層火山, Stratovolcano) : 높고 굳은 용암과 테프라(퇴적한 화산재) 그리고 화산재로 이루어진 여러 층으로 구성된 원뿔형 화산. 측면이 가파르며 폭발적인 분출이 주기적으로 일어난다. 흘러내리는 용암은 점착성이 강해 멀리 퍼지기 전에 굳는다. 복식화산으로도 부른다. 2019. 11. 12. [지리/하천지형] 영산강 하구둑의 단면도 영산강 하구둑의 단면도 ★ 하굿둑(하구언河口堰) : 강물이 바다로 흘러 들어가는 강어귀의 넓이와 수심을 일정하게 유지하려 하거나 바닷물이 침입하는 것을 막기 위하여 강어귀 부근에 쌓은 댐. 대한민국의 낙동강, 금강, 영산강 등의 강에는 염해를 방지하기 위해 하굿둑이 건설되었다. 2019. 11. 10. [지형/하천지형] 낙동강의 하구둑 낙동강의 하구둑 ★ 하굿둑(하구언河口堰) : 강물이 바다로 흘러 들어가는 강어귀의 넓이와 수심을 일정하게 유지하려 하거나 바닷물이 침입하는 것을 막기 위하여 강어귀 부근에 쌓은 댐. 대한민국의 낙동강, 금강, 영산강 등의 강에는 염해를 방지하기 위해 하굿둑이 건설되었다. 2019. 11. 9. [지리/하천지형] 금강의 하구둑 금강의 하구둑 ★ 하굿둑(하구언河口堰) : 강물이 바다로 흘러 들어가는 강어귀의 넓이와 수심을 일정하게 유지하려 하거나 바닷물이 침입하는 것을 막기 위하여 강어귀 부근에 쌓은 댐. 한국의 낙동강, 금강, 영산강 등의 강에는 염해를 방지하기 위해 하굿둑이 건설되었다. 2019. 11. 9. [한국지리/해안지형/경제] 갯벌 체험 갯벌 체험 ★ 갯벌 체험 : 관광객들에게 갯벌에서 서식하는 조개류 등을 채취하는 것을 체험할 수 있는 관광 상품. 관광객들은 체험료나 도구 대여료 등을 지불한다. 어민들의 새로운 소득원 중 하나이다. 2019. 11. 7. [한국지리/해안지형] 갯벌 어로 갯벌 어로 ★ 갯벌어로 : 맨손 혹은 손도구를 활용해 갯벌에서 패류·연체류 등을 채취하는 어로 기술, 전통지식, 관련 공동체 조직문화와 의례·의식이다. 옛날부터 어민들은 갯벌을 공동재산으로 여겨 마을 사람들이 함께 관리해 왔다. 2019. 11. 7. [한국지리/해안지형] 갯벌 갯벌 ★ 갯벌(개펄, 뻘) : 조류나 강에 의해 진흙이 쌓인 해안 습지. 썰물 때 드러나는 지역만을 가리켜 간석지(干潟地)로 부르기도 한다. 크고 작은 만, 석호(潟湖), 강어귀 등 조류의 흐름이 느리고 물살이 약한 곳에서 많이 생성된다. 야생 생물의 중요한 서식지이며 해안 침식 방지와 수질 오염 정화에도 큰 역할은 한다. 한국은 조수간만의 차이가 큰 서해안과 남해안에 넓은 갯벌이 발달되어 있다. 2019. 11. 6. [한국지리/해안지형] 갯벌의 다양한 생명체 갯벌의 다양한 생명체 ★ 갯벌(개펄, 뻘) : 조류나 강에 의해 진흙이 쌓인 해안 습지. 썰물 때 드러나는 지역만을 가리켜 간석지(干潟地)로 부르기도 한다. 크고 작은 만, 석호(潟湖), 강어귀 등 조류의 흐름이 느리고 물살이 약한 곳에서 많이 생성된다. 야생 생물의 중요한 서식지이며 해안 침식 방지와 수질 오염 정화에도 큰 역할은 한다. 한국은 조수간만의 차이가 큰 서해안과 남해안에 넓은 갯벌이 발달되어 있다. 2019. 11. 6. [한국지리/해안지형] 리아스식 해안(서남해안) 리아스식 해안(서남해안) ★ 리아스식 해안 : 하천 침식을 받은 지역이 해수면 상승이나 지반의 침강으로 침수되어 형성된 해안. 해안선이 복잡하며, 곶과 만이 많다. 한국의 서남해안은 대표적인 리아스식 해안으로 섬이 많아 다도해(多島海)라고도 불린다. 2019. 11. 5. [지형/해안지형] 동해안의 수평선 동해안의 수평선 ★ 신생대 제 3기에 발생한 경동성 요곡운동의 영향으로 한반도는 동고서저(東高西低)의 지형을 이루며 동해안의 해안선은 단순하고 섬이 적다. 2019. 11. 5. [한국지리/해안지형] 해식동굴(海食洞) 해식동굴 제주도의 해식 동굴 ★ 해식동굴(海食洞) : 파랑에 의한 침식으로 해식 절벽에 형성된 동굴. 2019. 11. 4. [한국지리/해안지형] 해식애와 파식대 해식애와 파식대 동해안 하조대(해식애) ★ 해식애(海蝕崖) : 해식절벽이라고도 한다. 육지가 파랑의 침식작용을 받아 후퇴할 때 해안에 형성되는 절벽. 해식애는 암석해안에 널리 나타나며 파식에 의하여 발달 유지된다. ★ 파식대(波蝕臺) : 암석해안에서 육지의 기반암이 파식을 받아 후퇴할 때, 해식애 밑에 형성되는 평평한 침식면이다. 2019. 11. 3. [한국지리/해안지형] 시아치(sea arch) 시아치(sea arch) 제주 마라도 대문 바위 ★ 시아치(sea arch) : 해식애가 후퇴할 때 차별 침식의 결과로 단단한 암석이 남아 아치 형태를 이룬 것. 2019. 11. 2. 이전 1 2 3 4 5 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