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동아시아30

[고려전기/국제] 고려 전기의 동아시아 정세 고려 전기의 동아시아 정세 2024. 6. 24.
서구열강의 아시아 침략 서구열강의 아시아 침략 2023. 2. 5.
[북방] 북방민족의 중국 지배와 기온 변화 북방민족의 중국 지배와 기온 변화 2023. 2. 4.
[영토]대한민국 공군의 방공식별구역 대한민국 공군의 방공식별구역 이미지 출처 : 경향신문 ★ 대한민국 공군의 방공식별구역(Korea Air Defense Identification Zone (KADIZ) : 한반도 지역으로 접근하는 비행물체에 대한 사전 탐지, 식별 및 적절한 조치를 위해 설정된 구역. 1951년 한국전쟁 기간 중에 미국 공군이 설정하였으며, 2013년 범위를 조정하였다. 기존 한국방공식별구역의 남쪽 구역(북위 34도 17분 이남)을 국제적으로 통용되고 인접국과 중첩되지 않는 인천 비행 정보 구역(FIR)과 일치되도록 조정하였다. 이 조정 구역에는 마라도와 홍도 남쪽의 대한민국 영공과 이어도 수역 상공이 모두 포함되어 있다. 2022. 11. 15.
[한일관계]일본의 혐한 시위 일본의 혐한 시위 ★ 일본의 혐한(嫌韓) : 오랜 역사를 거치며 쌓인 반한감정, 사회 내부의 불안을 외부로 돌리는 일본의 성향, 한국의 발전과 일본의 경기침체 등으로 인한 일본의 ‘한국 콤플렉스’가 복합되어 표출되어 한국에 대한 극도의 반감을 표출하는 일본의 독특한 사회 현상. 일본의 우익 세력이 주측이 되어 혐한 서적 출판, 혐한 시위, 한국사 왜곡, 재일한국인에 대한 차별과 탄압 등을 자행하고 있다. 2022. 11. 11.
[역사]야스쿠니 신사 야스쿠니 신사 ★ 야스쿠니 신사(靖國神社/靖国神社) : 일본 동경의 왕궁 북쪽에 있으며, 전쟁에서 전사한 사람들을 신(영령)으로 모시고 제사를 지낸다. 신사에는 약 2백만 여명의 이름과 사망 장소들을 적어 봉인하고 있다. 이들 중 1,048명은 극동국제군사재판에서 유죄 판결을 받았고 14명이 A급 전범이며, 일본의 강제 징병으로 전쟁에서 사망한 한국인과 대만인들도 합사되어 있어 일본의 침략에 피해를 입은 국가들과 갈등을 겪고 있다. 또한, 일본의 고위 정치인들과 외교관들이 이곳에 참배하여 국제적으로 물의를 일으키고 있다. 2022. 11. 10.
[역사]한중일 공동 역사 교재 한중일 공동 역사 교재 ★ 한중일 3국 공동 역사 편찬 위원회 : 한국, 중국, 일본, 3국의 역사학자와 연구자들이 동아시아 공동의 역사 인식 공유를 위해 공동 역사 교재를 출간을 위해 연구하는 모임으로, 2002년부터 활동하고 있다. , 등을 출판하였다. 2022. 11. 9.
[역사]한국사를 왜곡한 일본의 역사교과서 한국사를 왜곡한 일본의 역사교과서 ★ 일본의 역사 왜곡 : 일본의 우익 세력이 주축이 되어 일본과 주변국, 주로 중국과 한국의 역사를 왜곡하고 있다. 한국과 일본의 고대사를 왜곡하여 고대 일본이 한반도 남부를 지배했다 날조하고, 근현대의 일본의 전쟁범죄와 만행 등을 은폐하여 침략을 부정하고 있다. 2022. 11. 7.
[현대]센카쿠 열도(조어도) 센카쿠 열도(조어도) ★ 센카쿠 열도(尖閣列島) : 동중국해 남서부에 위치한 다섯 개의 무인도와 세 개의 암초로 구성된 군도로, 타이완과 류큐제도 사이에 있다. 중화인민공화국(중국)과 중화민국(대만), 일본이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으며, 현재 일본이 실효지배하고 있다. 2022. 11. 4.
[현대]소련 붕괴 후 동아시아의 정세와 국제 관계 소련 붕괴 후 동아시아의 정세와 국제 관계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2. 8. 23.
[조선/왕실문화] 왕세자의 면복 왕세자의 면복 ★ 면복(冕服) : 고대 중국에 연원을 둔 예복으로 동아시아 각국의 제왕(帝王)이 착용하였으며, 고려 전기에서 조선 말기까지 국왕이 제례(祭禮) 때 착용하였다. 황제의 면복은 12개의 류가 달린 면류관에 12개의 장문(章紋)이 있는 12류면 12장복, 황태자와 왕의 면복은 9류면 9장복, 왕세자의 면복은 8류면 7장복, 왕세손의 면복은 7류면 5장복이었다. 2020. 4. 14.
[조선후기/행정]시권(試券) 시권(試券) ★ 시권(試券) : 과거 응시자들이 제출한 답안지 혹은 채점지를 지칭하는 용어.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2. 7.
[중국사&북방민족/명청]명.청대의 산업와 경제 명.청대의 산업와 경제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2. 2.
[중국사&북방민족/명]명 중심의 동아시아 질서 명 중심의 동아시아 질서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2. 1.
[기후] 동아시아의 최종 빙기와 해수면의 변화 동아시아의 최종 빙기와 해수면의 변화 2020. 1. 13.
[조선/복식및장신구]곤룡포(衮龍袍) 곤룡포  ★ 곤룡포(衮龍袍) : 수나라 이후의 중국, 고려 이후의 한국, 베트남, 류큐국의 군주와 태자의 일상복. 용문양을 수놓은 원형 보(補)를 달았고 익선관을 착용했다. 착용자의 신분에 따라 문양과 장식의 차이가 있다. 조선에서는 왕은 붉은색, 세자는 아청색(검푸른색)을 착용했다. 조선의 태조 이성계는 푸른색 청룡포(靑龍袍)를 입었고, 대한제국 선포 이후 고종은 황룡포(黃龍袍)를 입었다. 2019. 12. 16.
[조선/정치행정] 과거 시험(문과, 재현행사) 과거 시험(문과, 재현행사)  ★ 과거제/문과(科擧制, 문과) : 동아시아, 특히 중국과 한국에서 시험을 치러서 관리를 뽑는 제도. 중국에서는 수나라 때, 한국에서는 고려 때 처음 시작했으며, 조선 시대에 관리를 선발하는 가장 대표적인 제도로 자리잡았다. 문과, 무과, 잡과로 구성되었고, 문과는 3년마다 정기적으로 치르는 식년시와 비정기적으로 치르는 증광시, 별시, 알성시 등이 있었다. 2019. 10. 16.
[지형]한국의 지형 한국의 지형 2019. 4. 20.
동아시아의 지형 동아시아의 지형 ※ 저작권에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3. 29.
동아시아의 기후 동아시아의 기후 ※ 저작권에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3.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