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한민국임시정부35

[근대/독립운동가] 김구 김구 ★ 김구(金九, 1876~1949) : 일제강점기의 독립운동가, 정치인, 대한민국 정치인, 남북통일 활동가.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내무부위원, 경무국장, 주석 등을 지냈으며, 항일비밀결사인 한인애국단을 이끌었고 한국 광복군을 조직하였다. 1949년 안두희에게 암살되었으며, 1962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에 추서되었다. 2020. 12. 31.
[일제강점기/독립운동]3.1 운동 전후의 동립 운동 단체 3.1 운동 전후의 동립 운동 단체 ★ 3·1 운동 : 일제 강점기에 있던 조선인들이 일제의 지배에 항거하여 1919년 3월 1일 한일 병합 조약의 무효와 한국의 독립을 선언하고 비폭력 만세 운동을 시작한 사건. 3.1운동은 전국으로 확산되었고 5월까지 지속되었으며, 해외에서도 있어났다. 일제는 3.1운동을 무자비하게 탄압하였다. 3.1운동을 계기로 일제의 무단 통치가 해외에 알려졌고, 일제는 통치 방식으로 문화통치로 바꾸었다. 또한, 3.1운동을 계기로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수립되어 국내외의 독립운동이 조직적으로 실행되었다. 대한민국 제헌 헌법에서는 3·1 운동을 대한민국 건국의 기원으로 삼아 임시정부의 법통을 계승한다는 것을 천명하였다. 2020. 11. 7.
[일제강점기/독립운동가] 김좌진 김좌진 ★ 김좌진(金佐鎭, 1889~1930) : 일제 강점기의 군인이자 독립운동가,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정치인. 충청남도의 부유한 가문에서 태어나 1905년 대한제국 육군무관학교에 입학하고 가노 해방 및 전답을 무상 분배, 교육사업과 언론운동을 펼쳤다. 무관학교 졸업 후 북간도에 독립군 사관학교 설립을 추진하였으나 실패하였다. 이후, 1917년 대한광복단을 조직하여 활동하였고 1918년 만주로 망명, 무오 독립선언에 하였다. 1919년 북로군정서 사단장과 사관연성소 소장을 역임하였고, 1920년 청산리 전투를 지휘하여 큰 승리를 거두었다. 자유시 참변 이후 1925년 군사위원장 겸 사령관직 겸임한 신민부를 창건하고, 성동사관학교를 세워 부교장으로서 정예사관 양성에 심혈을 기울였다. 이때 대한민국 임시정.. 2020. 10. 26.
[일제강점기/임시정부]대한민국 임시정부에서 발행한 외교 책자 대한민국 임시정부에서 발행한 외교 책자 ★ 대한민국 임시 정부(大韓民國臨時政府,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1919년 4월 11일 ~ 1948년 8월 15일) : 1919년 3월 1일 경성(서울)에서 선포된 3·1 독립선언에 기초하여 일본의 대한제국 침탈과 식민 통치를 부인하고 한반도 내외의 항일 독립운동을 주도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립된 대한민국의 망명 정부이다. 1919년 4월 11일 중국 상하이에서 설립되었으며, 같은 해 9월 11일에는 각지의 임시 정부들을 통합하여 상하이에서 단일 정부를 수립하였다. 1919년 4월 11일 임시 헌법을 제정하여 국호는 '대한민국'으로 하고 정치 체제는 '민주공화국'으로 하였으며, 대통령제를 도입하고 입법·.. 2020. 10. 24.
[일제강점기/임시정부]상하이의 임시정부 청사 상하이의 임시정부 청사 ★ 대한민국 임시 정부(大韓民國臨時政府,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1919년 4월 11일 ~ 1948년 8월 15일) : 1919년 3월 1일 경성(서울)에서 선포된 3·1 독립선언에 기초하여 일본의 대한제국 침탈과 식민 통치를 부인하고 한반도 내외의 항일 독립운동을 주도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립된 대한민국의 망명 정부이다. 1919년 4월 11일 중국 상하이에서 설립되었으며, 같은 해 9월 11일에는 각지의 임시 정부들을 통합하여 상하이에서 단일 정부를 수립하였다. 1919년 4월 11일 임시 헌법을 제정하여 국호는 '대한민국'으로 하고 정치 체제는 '민주공화국'으로 하였으며, 대통령제를 도입하고 입법·행정·사법의 3권.. 2020. 10. 24.
[일제강점기/독립운동]대한국 노인 연맹단 명부 대한국 노인 연맹단 명부 ★ 대한국노인연맹단 : 이라고도 한다. 1919년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조직되었던 독립운동단체. 3.1 운동 이후 한국의 노인들이 동지 규합과 자금 모금을 목적으로 신한촌 덕창국(新韓村 德昌局)에서 결성하였으며, 46세 이상 70세까지의 남녀 노인으로 구성되었다.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외곽단체로서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사업을 지원, 협조하였다. 단장 김치보(金致寶), 고문 이순(李舜), 재무 천수점(千手漸) 등이었고, 1919년 조선 총독 사이토 마코토에게 폭탄을 던진 강우규 의사가 요하현 지부장이었다. 2020. 10. 22.
[근대/1차세계대전]파리 강화회담 파리 강화회담 ★ 파리 강화회담(회의) :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연합국이 패배한 동맹국에 관련하여 평화를 보장하기 위해 1919년 1월 18일 파리에서 열린 회담. 32개국에서 온 정치가들과 민족주의 세력이 참여하여 국제연맹 창립과 패전국의 식민지 박탈 등을 논의하였다. 결과는 독일과의 베르사유 조약 체결로 독일의 식민지 해체 및 전쟁보상금 부과 등의 광범위한 재제가 주된 내용이었다. 회담은 1919년 1월 18일에 개최되어 1923년 7월이 되어서야 완료되었다. 대한민국 임시정부도 탄원서를 제출하고 외교활동을 전개했으나 회담에 참석하지 못했다. 2020. 10. 19.
[일제강점기/3.1운동]3·1독립선언서 3·1독립선언서 ★ 3·1독립선언서(3·1獨立宣言書) : 기미독립선언서라고도 한다. 한국(조선)이 주권을 가진 독립국임을 선언한 문서로 1919년 3월 1일의 3·1 운동 때 민족대표 33인이 독립을 선언한 글로, 상해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기초가 되었다. 이보다 앞서 1919년 2월 1일에 중국 지린에서 발표된 대한독립선언(무오독립선언)과 일본 도쿄에서 선포된 2·8 독립 선언의 영향을 받았다. 2020. 10. 11.
[일제강점기/3.1운동]3.1운동 기념탑 3.1운동 기념탑 ★ 3·1 운동 : 일제 강점기에 있던 조선인들이 일제의 지배에 항거하여 1919년 3월 1일 한일 병합 조약의 무효와 한국의 독립을 선언하고 비폭력 만세 운동을 시작한 사건. 3.1운동은 전국으로 확산되었고 5월까지 지속되었으며, 해외에서도 있어났다. 일제는 3.1운동을 무자비하게 탄압하였다. 3.1운동을 계기로 일제의 무단 통치가 해외에 알려졌고, 일제는 통치 방식으로 문화통치로 바꾸었다. 또한, 3.1운동을 계기로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수립되어 국내외의 독립운동이 조직적으로 실행되었다. 대한민국 제헌 헌법에서는 3·1 운동을 대한민국 건국의 기원으로 삼아 임시 정부의 법통을 계승한다는 것을 천명하였다. 2020. 10. 4.
[일제강점기/3.1운동]3.1운동 참여 인원 3.1운동 참여 인원 ★ 3·1 운동 : 일제 강점기에 있던 조선인들이 일제의 지배에 항거하여 1919년 3월 1일 한일 병합 조약의 무효와 한국의 독립을 선언하고 비폭력 만세 운동을 시작한 사건. 3.1운동은 전국으로 확산되었고 5월까지 지속되었으며, 해외에서도 있어났다. 일제는 3.1운동을 무자비하게 탄압하였다. 3.1운동을 계기로 일제의 무단 통치가 해외에 알려졌고, 일제는 통치 방식으로 문화통치로 바꾸었다. 또한, 3.1운동을 계기로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수립되어 국내외의 독립운동이 조직적으로 실행되었다. 대한민국 제헌 헌법에서는 3·1 운동을 대한민국 건국의 기원으로 삼아 임시 정부의 법통을 계승한다는 것을 천명하였다. 2020. 10. 3.
[일제강점기/3.1운동]3.1운동 시 투옥자 직업 분포 3.1운동 시 투옥자 직업 분포 ★ 3·1 운동 : 일제 강점기에 있던 조선인들이 일제의 지배에 항거하여 1919년 3월 1일 한일 병합 조약의 무효와 한국의 독립을 선언하고 비폭력 만세 운동을 시작한 사건. 3.1운동은 전국으로 확산되었고 5월까지 지속되었으며, 해외에서도 있어났다. 일제는 3.1운동을 무자비하게 탄압하였다. 3.1운동을 계기로 일제의 무단 통치가 해외에 알려졌고, 일제는 통치 방식으로 문화통치로 바꾸었다. 또한, 3.1운동을 계기로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수립되어 국내외의 독립운동이 조직적으로 실행되었다. 대한민국 제헌 헌법에서는 3·1 운동을 대한민국 건국의 기원으로 삼아 임시 정부의 법통을 계승한다는 것을 천명하였다. 2020. 10. 3.
[일제강점기/3.1운동]3.1운동 3.1운동 ★ 3·1 운동 : 일제 강점기에 있던 조선인들이 일제의 지배에 항거하여 1919년 3월 1일 한일 병합 조약의 무효와 한국의 독립을 선언하고 비폭력 만세 운동을 시작한 사건. 3.1운동은 전국으로 확산되었고 5월까지 지속외었으며, 해외에서도 있어났다. 일제는 3.1운동을 무자비하게 탄압하였다. 3.1운동을 계기로 일제의 무단 통치가 해외에 알려졌고, 일제는 통치 방식으로 문화통치로 바꾸었다. 또한, 3.1운동을 계기로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수립되어 국내외의 독립운동이 조직적으로 실행되었다. 대한민국 제헌 헌법에서는 3·1 운동을 대한민국 건국의 기원으로 삼아 임시 정부의 법통을 계승한다는 것을 천명하였다. 2020. 10. 2.
[일제강점기] 해외의 독립운동 해외의 독립운동 2020. 10. 2.
[개화기/정치]태극기 태극기 ★ 태극기(太極旗) : 대한민국의 국기. 1882년 고종이 조선의 군주을 상징하는 어기(御旗)인 '태극 팔괘도'를 일부 변형하여 만들었고, 조미 수호 통상 조약과 박영효 등 일본 수신사 일행이 사용하였다. 이후 태극기는 조선, 대한제국,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공식 국기로 사용되었고, 1948년 8월 15일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에도 계속 정식 국기로 사용되고 있다. 2020. 9. 26.
[일제강점기/독립운동]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이동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이동 ★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만주사변(1932), 이봉창 의거와 윤봉길 의거(1932), 중일 전쟁(1937) 등으로 1932년부터 1940년 충칭에 정착할 때까지 여러 차례 본거지를 옮겼다. ★ 대한민국 임시 정부(大韓民國臨時政府,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1919년 4월 11일 ~ 1948년 8월 15일) : 1919년 3월 1일 경성(서울)에서 선포된 3·1 독립선언에 기초하여 일본의 대한제국 침탈과 식민 통치를 부인하고 한반도 내외의 항일 독립운동을 주도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립된 대한민국의 망명 정부이다. 1919년 4월 11일 중국 상하이에서 설립되었으며, 같은 해 9월 11일에는 각지의 임시 정부들을 통합하여 상.. 2017. 6.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