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국시대92 [신라중하대/유물]경주 월지 목간 경주 월지 목간 ★ 경주 월지 목간(慶州 月池 木簡) : 경상북도 경주시 월지(月池, 안압지)에서 발견된 신라시대 목간으로, 대부분 8세기 경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한다. 얇게 깎은 나무쪽에 글씨를 써서 편지나 문서로 사용하였으며, 위쪽에 홈을 내거나 구멍을 뚫어 끈을 묶어 어디에 걸거나 매달 수 있도록 하였다. 서체는 예서체가 가장 많고 초서체도 있으며, 칼로 글자를 새긴 것도 있다. 제작 연대, 관청, 궁궐 구조, 경비 인원, 음식 등 당시 신라의 생활상과 다양한 정보를 알려주며, 이두로 기록된 것도 있어 국어 연구에도 귀중한 자료이다. 1975년 안압지 발굴 중 51점(묵서 45쪽)이 출토된 이후 지속적으로 발견되 약 200여점에 이른다. 2019. 6. 13. [남북국시대/신라중하대/석탑] 경주 불국사 다보탑 경주 불국사 다보탑 ★ 경주 불국사 다보탑(慶州佛國寺 多寶塔) : 경주 불국사에 있는, 남북국 시대 신라의 석조 다보탑. 대웅전 앞뜰에 석가탑과 함께 나란히 서 있다. 높이 10.29m. 석가탑과 달리 구조가 복잡하고, 조각이 정교하고 섬세하다. 1925년 탑을 해체, 보수하였는데, 이 과정에서 탑 속의 사리장치와 유물들이 유시되었고, 난간의 돌사자 3마리를 일제가 약탈하여 1마리만 남아있다. 2008년, 2016년 복원을 진행하였다. 국보 제20호. 2019. 6. 4. [남북국시대/신라중하대/석탑] 경주 불국사 삼층석탑(석가탑) 경주 불국사 삼층석탑(석가탑) ★ 경주 불국사 삼층석탑(慶州佛國寺三層石塔) : 경주 불국사에 있는, 남북국 시대 신라의 삼층석탑. 원래 이름은 석가여래상주설법탑(釋迦如來常住設法塔)이며 흔히 줄여서 석가탑(釋迦塔)이라고도 한다. 대웅전 앞 뜰에 다보탑과 함께 나란히 서있다. 경덕왕 10년(751)에 불국사를 중수할 때 세워져다 추정하나, 742년 완성되었다는 주장도 있다. 높이 10.75m. 신라의 전형적인 삼층석탑으로 가장 우수하고 아름다운 탑이다. 1966년 도굴로 탑 일부가 훼손되어 탑을 해체 보수하던 중, 탑신에서 사리장엄구와 유물이 발견되었다. 국보 제21호. 2019. 6. 4. [삼국시대/가야/유물유적] 간돌칼(마제석검) (경남 김해 율하리 출토) 간돌칼(마제석검) (경남 김해 율하리 출토) ★ 간돌칼(마제석검 磨製石劍) : 청동기시대를 대표하는 석기의 하나로 갈아서 만든 돌칼이다. 한반도 전역에서 출토된다. 실제로 사용하기보다는 껴묻거리(부장품)으로 무덤에 넣어 묻었다.★ 김해 율하리 유적 (金海 栗下里 遺蹟) : 경상남도 김해시 장유면에 있는 청동기시대부터 남북국 시대까지의 집터와 고인돌 · 돌널무덤 · 건물터 관련 생활유적. 2019. 4. 28. [남북국/발해] 동모 산성 터 동모 산성 터 ★ 동모산(東牟山) : 발해의 초기 도읍지로 알려져 있으며 대조영과 고구려 유민들이 이곳에서 발해를 건국하였다. 현재의 중국 지린성 옌볜 조선족 자치주 둔화 시 일대로 추정된다. 2019. 2. 3. 수 . 당의 영역 수 . 당의 영역 2018. 3. 27. 장보고의 해상 무역로 장보고의 해상 무역로 2015. 11. 12. 신라 하대의 혼란 신라 하대의 혼란 2015. 11. 10. 9주 5소경 9주 5소경 2015. 10. 31. 발해의 3성 6부제 발해의 3성 6부제 발해의 3성 6부제 당의 3성 6부제 2015. 10. 28. 발해 지도 발해 지도 2015. 10. 27. 발해 상경성 발해 상경성 2015. 10. 22. 이전 1 2 3 4 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