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남북국시대92

[남북국] 남북국 시대 남북국 시대   ★ 남북국 시대(南北國時代) : 한국사의 시대구분 중 하나. 넓게는 신라의 삼국통일전쟁부터 후삼국시대 이전까지, 좁게는 발해가 건국한 698년부터 견훤이 호남지방에서 봉기한 892년 혹은 신라가 후삼국으로 갈라진 900년까지를 말한다. 신라를 남국, 발해를 북국이라 칭한다. 2024. 9. 15.
[남북국/신라하대/유적] 포석정(鮑石亭) 포석정(鮑石亭)    ★ 포석정(鮑石亭) : 경상북도 경주시 배동에 있는 신라의 별궁이 있던 자리로, 신라의 의례 및 연회 장소로 이용되었던 정자(亭子) '포석정'이 있던 터이다. 현재 건물은 없어지고 석조구조물만 남아 있다. 남북국 시대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며, 자연환경을 최대로 활용하였고, 자연과 인공의 조화미를 추구한 신라 궁원기술(宮苑技術)의 독특한 면모를 보여준다. 사적 제1호.  ,,등에서 왕들이 놀이를 즐기던 곳으로 서술하였다. 경애왕은 포석정에서 연회를 즐기다 후백제 군대에게 붙잡혔다(927).   유상곡수(流觴曲水)를 즐기며 연회를 행하던 곳이다, 최근에는 의례를 행하는 곳이라는 주장을 하기도 한다. ★ 유상곡수(流觴曲水) : 정원에서 술잔을 물에 띄우고 자기 앞으로 떠내려 올 때까지.. 2024. 9. 6.
[남북국/발해/건축] 발해 상경성과 당 장안성의 구조 발해 상경성과 당 장안성의 구조  ★ 발해의 상경성 : 발해의 도성. 한때 동경 용원부로 천도하기도 했으나, 가장 오랜 기간 발해의 수도였다. 상경성은 당의 장안성의 영향을 받아 구조가 비슷한 면이 있다. ★ 당의 장안성 : 당나라의 도성(都城).당대의 장안은 주변 여러 민족의 도성 건설의 모범으로서 한국의 신라 왕경이나 발해 상경용천부, 일본의 헤이조쿄와 헤이안쿄가 장안성의 영향을 받아 세워졌다. 2024. 9. 3.
[남북국/발해/국제관계] 발해 5도(渤海 五道) 발해 5도(渤海 五道)   ★ 발해 5도(渤海 五道) : 발해의 대외 교통로로, 주변 나라들과의 교류와 무역을 하였다. 당과 통교하던 조공도(朝貢道)·영주도(營州道)를 비롯하여 거란·일본·신라와 통교하던 거란도(契丹道)·일본도(日本道)·신라도(新羅道)가 있었다. 2024. 9. 1.
[남북국/발해] 전성기 때의 발해 영토 전성기 때의 발해 영토  ★ 발해의 전성기 : 9세기 전반, 발해는 전성기를 맞이했다. 영토는 북쪽으로는 흑룡강, 동쪽으로는 연해주, 서쪽으로는 요동, 남쪽으로는 영흥 지방에까지 이르렀으며, 당의 제도와 문화를 받아들여 문화적으로도 융성하였다. 2024. 8. 30.
[남북국/신라하대] 신라 말의 사회 변동과 후삼국의 성립 신라 말의 사회 변동과 후삼국의 성립 2024. 8. 30.
[남북국/신라하대/의학] 청동 초두 청동 초두 ★ 청동 초두 : 약을 볶는데 사용하는 도구. 부여 부소산 출토. 신라 하대(10세기), 국립 부여 박물관 소장. 2024. 8. 28.
[남북국/신라중대/문화예술] 왕오천축국전 왕오천축국전  ★ 왕오천축국전(往五天竺國傳) : 은 신라 성덕왕((聖德王, 재위 702∼737) 때, 신라의 승려 혜초가 인도 5국(五國) 부근의 여러 나라를 순례하고 그 행적을 적은 여행기. 혜초는 4년간(723~727) 인도와 중앙아시아, 아랍을 여행하였다. 왕오천축국전은 세계 4대 여행기로 손꼽히며, 그 중에서도 가장 오래된 여행기이다. 현재는 한 권의 두루마리로 된 필사본만이 남아 있는데, 훼손된 부분이 많다.   1908년 프랑스인 폴 펠리오(Paul Pelliot, 1878~1945)가 간쑤성 둔황의 막고굴 장경동에서 당시 장경동을 지키던 왕원록에게서 구매한 7,000점의 유물 중에 섞여 있었다. 현재 프랑스 국립도서관에 보관되어 있다. 2024. 8. 21.
[남북국/신라하대/불상] 철원 도피안사 철조 비로자나불 좌상 철원 도피안사 철조 비로자나불 좌상    불상 뒷면에 새겨진 명문 ★ 철원 도피안사 철조 비로자나불 좌상(鐵原 到彼岸寺 鐵造 毘盧遮▽那佛 坐像) : 신라 경문왕 5년(865)에 도선대사가 창건한 도피안사에 있는 철조비로자나불 좌상. 불상 뒤편에 명문이 있너 제작연대를 확실히 알 수 있다(신라 경문왕 5년, 865년).  신라 말~고려초에 유행했던 철불로 대좌까지 철로 만든 보기 드문 작품이다. 얼굴이 갸름하고 표정은 인자하며, 머리카락은 작은 소라 모양이다. 수인(手印)은 지권인(智拳印)이다.   옷은 양 어깨를 감싼 통견(通肩)이며 옷주름이 형식적으로 표현되었다.  대좌는 상대와 하대에는 연꽃무늬를 새겼으며 중대는 8각을 이루고 있다. 국보 제63호. 2024. 8. 13.
석조비로자나불좌상(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석조비로자나불좌상(국립중앙박물관 소장)  ★ 석조비로자나불좌상(국립중앙박물관 소장) : 8세기경 신라 하대(통일신라)의 비로자나불 석조 불상. 출토지 알 수 없으나 경상북도로 추정한다.   보존상태가 좋은 편이며, 조각기법도 섬세하고 정교하다. 신라 중대 양식에 비해 약간 왜소하고, 수인(手印)은 지권인(智拳印)을 하고 있다. 양쪽 어깨를 덮은 통견(通肩)의 법의를 입고 있다.   광배는 몸 전체를 감싸는 주형거신광(舟形擧身光)이며 두 줄의 선으로 두광과 신광을 구분하였다. 안쪽에는 보상화문과 당초문을 조각하고 바깥쪽에는 구름문과 화염문이 새겼다. 대좌는 3단으로 구성된 팔각연화대좌이다.  높이 278.8cm.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2024. 8. 11.
[남북국/신라하대] 혜공왕 이후 신라왕 계보 혜공왕 이후 신라왕 계보 ★ 혜공왕이 피살된(780년) 이후 시작된 신라 말기의 왕위 다툼은 150년 동안 이어졌다. 이 시기 동안 20여명의 왕이 즉위하였으며, 극심한 왕위 다툼으로 재위 기간이 몹시 짧았다. 2024. 8. 3.
[남북국] 남북국의 대외관계와 무역 남북국의 대외관계와 무역 2024. 8. 2.
[남북국/신라중하대/불상] 신라 중하대(통일신라시대)의 약사여래상들(국립경주박물관 소장) 신라 중하대(통일신라시대)의 약사여래상들(국립경주박물관 소장)  ★ 약사여래(藥師如來) : 대승불교의 부처 중 하나로, 중생의 질병을 치료해 주는 약사신앙의 대상이 되는 부처이다. 질병을 치료할 뿐 아니라, 재앙을 소멸시키고 수면을 연장시키며, 부처의 원만행을 닦는 등 여러 가지 역할을 한다. 동아시아에서 대중의 큰 지지를 받았다. 신라시대부터 약사신앙이 대중화 된 것으로 보이며, 오늘날에도 대부분의 사찰에서 약사전에 약사여래를 모시고 있다. 2024. 7. 23.
[남북국/신라중하대/불교유물유적] 석굴암 제 7 감실 보살상 석굴암 제 7 감실 보살상 ★ 석굴암 감실 조각상 : 나한상(부처의 10대 제자) 위에 10개의 작은 감실이 있는데, 안에 작은 조각상이 안치되어 있다. 조각상은 유마거사상이 1개, 보살상이 8개 있다. 원래 10개였으나, 대한제국 때 일본인이 제1감실과 제10감실에 있던 조각상 2개를 반출해서 사라졌다. 지금은 그 자리에 조명이 설치되어 있다. 2024. 7. 3.
[신라중대] 신라 중대의 발전 신라 중대의 발전 2023. 12. 13.
[신라중하대/정치행정]9주 5소경 9주 5소경 ★ 9주 5소경(九州五小京) : 통일 신라가 지방에 설치한 5개의 특수 행정 구역. 영토를 9개 주로 나누고, 지역의 요충지에 다섯 개의 소경(小京)을 설치하여, 넓어진 영토의 동남쪽에 치우친 수도(경주)의 단점을 보완하려 하였다. 2023. 10. 14.
[남북국/신라중하대/고분]김유신 묘 십이지상 탁본(호랑이) 김유신 묘 십이지상 탁본(호랑이) ★ 김유신묘(金庾信墓) : 신라의 장군이자 재상이었던 김유신의 무덤으로 알려진 고분. 신라중대(통일신라)의 고분으로 굴식돌방무덤(횡혈식 석실분)이다. 봉분 자락에 면석과 탱석을 24개씩 사용한 호석 구조이며, 회랑을 따라 난간석을 둘렀다. 탱석에는 십이지신상을 부조로 새겼다. 8~9세기 신라 왕릉의 형식을 갖추고 있다. 김유신묘가 아니라 신라 45대 왕 신무왕(재위 839)의 무덤이라는 주장도 있다. 경상북도 경주시 충효동 소재. 사적 제 21호. 2023. 4. 15.
[남북국/발해/유물유적] 연해주 크라스키노 성터 쪽구들 주거지 연해주 크라스키노 성터 쪽구들 주거지(2005) ★ 연해주 크라스키노 성터 : 러시아 연해주의 하산 지방에 있는 남북국시대 발해의 성곽터. 크라스키노(Краскино) 마을에서 2~3km 떨어진 곳에 있다. 발해 동경용원부에 속한 염주(鹽州)의 중심 유적지로 추정한다. 성곽터는 바다와 가까운데, 염주의 항구에서 일본도(日本道)가 시작된다. 발해의 유물과 함께 고구려 시기의 유물과 문화층이 발견되었다. 2019. 7. 12.
정효공주묘의 불탑 정효공주묘의 불탑  ★ 정효공주묘 불탑(貞孝公主墓 佛塔) : 발해 문왕의 넷째 딸 정효공주 묘 위 지상에 세워져 있던 불탑으로 벽돌탑이다. 무덤 위에 탑을 쌓는 것은 발해의 독특한 양식으로 무덤 위에 건물을 짓던 풍습이 불교와 결합되어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탑은 기단부만이 남아 있다. 그림은 복원한 모습을 유추하여 그린 것이다.  ★ 정효공주묘(貞孝公主墓) : 남북국시대 발해의 제3대 왕인 문왕의 넷째 딸 정효공주의 묘로, 793년에 만들어진 발해 초기 고분이다. 중국 길림성 연변 조선족 자치주 화룡시 룽터우산 고분군(中國 吉林省 朝鮮族 自治州 和龍市 龍頭山古墳群) 가운데 하나이다.   불탑(佛塔)아래 지하에 묘가 조성되어 있다. 굴식돌방 무덤이고 벽돌로 쌓았으며, 천장은 모줄임 구조이다. 당나라식 벽.. 2019. 7. 12.
[남북국/발해/탑] 영광탑 영광탑   ★ 영광탑(靈光塔) : 남북국시대 발해의 벽돌탑(塼塔). 중국 길림성 백산시 장백조선족자치현 장백진(長白鎭)에 있다. 탑의 형태는 누각을 닮았으며, 탑 아래 지하에는 무덤이 있다. 무덤에서 인골이 발견되지 않아 무덤탑이 아닌 사리탑으로 보기도 한다. 탑의 동서면은 연꽃무늬 벽돌로 국(國)과 왕(王)자를, 남북면은 구름무늬 벽돌로 입(立)과 토(土)자를 형상화하였는데, 이 탑이 발해의 왕 또는 왕실과 관련성이 있다고 추정하고 있다. 2019. 7.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