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록문화7 [조선후기/문화와예술] 처용무(김홍도) 처용무 ★ 처용무 : 중 14면. 김홍도, 조선후기, 개인소장. ★ 김홍도(金弘道, 1745~1806) : 조선 후기의 화가. 호는 단원(檀園). 정조 시대 때 문예부흥기의 대표적인 화가. 회화의 다양한 분야에서 독자적인 화풍을 구축하였으며, 특히 풍속화가 유명하다. 2020. 6. 9. [근대/대한제국및황실]명성황후국장도감의궤 명성황후국장도감의궤 ★ 명성황후국장도감의궤(明成皇后國葬都監儀軌) : 을미사변(1895)으로 시해당한 명성황후의 장례를 치르는 국장(國葬) 과정을 기록한 의궤로 광무 2년(1898)에 제작되었다. 규장각 소장. 2020. 6. 2. [조선후기/기록문화] 홍화문 사미도 홍화문 사미도 ★ 사미도(賜米圖) : 원행을묘정리의궤(1769)>에 수록된 홍화문 사미도>. 홍화문(창경궁 정문)에서 빈민에게 쌀을 나누어 주는 그림. 규장각 소장. 2020. 1. 30. [조선후기/기록문화] 평창 오대산사고 평창 오대산사고 김홍도가 그린 오대산사고 조선고적도보에 실린 오대산사고(1931년) 현재 복원된 오대산 사고 ★ 평창 오대산사고(平昌 五臺山史庫) :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진부면, 오대산에 있는 과 왕실의 족보인 을 보관하기 위해 지었던 조선 후기 5대 사고 중 하나이다.오대산에 보관된 실록은 일제강점기에 일본으로 옮겨져 관동대지진 때(1923) 대부분 불타 버렸다. 사고 건물은 한국전쟁으로 불탔으나 1992년 복원하였다. 대한민국의 사적 제37호. 2020. 1. 10. [조선후기/문화] 화성성역의궤 화성성역의궤 ★ 화성성역의궤(華城城役儀軌) : 조선 후기 화성 성곽 축조에 관한 경위와 제도, 의식 등을 수록한 책이다. 조선 순조 1년(1801년) 9월에 발간되었다. 2020. 1. 9. [조선후기/문화] 낙성연도(落成宴圖) 낙성연도(落成宴圖) ★ 낙성연도(落成宴圖) : 수원 화성 낙성 잔치(정조 20년, 1796)의 기록화. 화성성역의궤>에 수록되어 있다. 2020. 1. 9. [조선중기/문화와예술] 공성왕후추숭도감의궤 공성왕후추숭도감의궤 ★ 공성왕후추숭도감의궤(恭聖王后追崇都監儀軌): 1615년 선조의 후궁이며 광해군의 생모인 공빈 김씨(恭嬪金氏)를 공성왕후(恭聖王后)로 추숭(追崇)하여 부묘한 기록이다. 그러나 인조반정 후 다시 공빈(恭嬪)으로 추삭(追削)되었다.※ 부묘(祔廟) : 삼년상이 지난 뒤에 그 신주를 종묘에 모심 2019. 11. 27. 이전 1 다음